목차
1. 의의
2. 컴퓨터 바이러스의 특성
3. 컴퓨터 바이러스의 위험성
4.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오해와 유형 및 해결방안
2. 컴퓨터 바이러스의 특성
3. 컴퓨터 바이러스의 위험성
4.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오해와 유형 및 해결방안
본문내용
데이트를 하더라도 바이러스에 걸릴 확률은 있다. 요사이 바이러스는 하루가 다르게 수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선의 예방책은 지속적으로 엔진을 업데이트해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것이다.
9) CMOS 메모리도 바이러스에 걸린다?
1994년 4월경에 발견된 Anti-CMOS 바이러스의 명칭 때문에 CMOS 메모리에도 바이러스가 침투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는 CMOS 메모리는 컴퓨터 바이러스가 존재하기에는 너무도 작은 64byte 크기를 갖는 장소로, 바이러스 감염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
10) 바이러스가 활동하는 특정일에는 시스템을 꺼놓는 것이 좋다?
일부 사용자들은 특정 바이러스의 활동일만 되면 지레 겁먹고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다. 어떤 신문들은 바이러스를 경고하면서 시스템을 사용하지 말 것을 권유하기도 한다. 예컨대 미켈란젤로 바이러스가 활동하는 3월 6일이면 시스템을 아예 켜지 않거나 활동 시간을 묻는 등 수선을 피우는 사람을 많이 본다.
하지만, 특정일 활동 바이러스란 특정일에 감염되는 바이러스가 아니라, 미리 컴퓨터에 잠복해 있다가 약속한 날에 특유의 증상을 보이는 바이러스를 말한다. 결국, 미켈란젤로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시스템이라면 3월 6일이 되어도 아무런 피해가 없다.
만일 바이러스 감염이 걱정된다면 전날 백신프로그램으로 시스템을 검사하면 된다. 이미 알려진 바이러스는 백신 프로그램이 진단/치료하므로 백신 프로그램을 진단했을 때 이상이 없다면 그 날 사용해도 아무 문제가 없다.
11)파일 속성을 읽기전용으로 설정하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는다?
일부 파일 바이러스는 읽기전용 파일을 감염시킬 수 없지만, 대부분의 파일 바이러스들은 파일의 읽기전용 속성을 해제한 후 감염시킨다. 결국 파일의 속성을 읽기전용으로 바꾼다고 하더라도 컴퓨터 바이러스 예방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12) 바이러스는 운영체계를 가리지 않는다?
바이러스는 운영체계에 따라 활성 및 비활성의 기로에 서게 된다. 예를 들어 IBM 호환기종의 윈도우 환경으로 만들어진 바이러스는 매킨토시상에서 실행 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리눅스나 유닉스 운영체계에서도 활동하지 못한다.
하지만 매크로 바이러스는 운영체계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해 둘 일이다. 매크로 바이러스는 워드나 엑셀 프로그램만 있다면 활성화된다.
13) E-mail을 통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E-mail 프로그램도 감염된다?
그렇지 않다. 전자우편을 통해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인데, 송신자의 시스템 메모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태에서 파일이 전송되었거나, 파일이 감염된 상태에서 전송될 경우이다. 즉, 파일에 의한 감염이므로 전자우편 프로그램이 바이러스에 감염될 리 없으며, 해당 파일을 실행시키지만 않는다면 바이러스의 위협을 피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 가 메일에 첨부된 파일을 다운받을 때, 자동 실행이 아닌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이용하고 백신 프로그램으로 진단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바이러스 예방책이다.
9) CMOS 메모리도 바이러스에 걸린다?
1994년 4월경에 발견된 Anti-CMOS 바이러스의 명칭 때문에 CMOS 메모리에도 바이러스가 침투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는 CMOS 메모리는 컴퓨터 바이러스가 존재하기에는 너무도 작은 64byte 크기를 갖는 장소로, 바이러스 감염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
10) 바이러스가 활동하는 특정일에는 시스템을 꺼놓는 것이 좋다?
일부 사용자들은 특정 바이러스의 활동일만 되면 지레 겁먹고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다. 어떤 신문들은 바이러스를 경고하면서 시스템을 사용하지 말 것을 권유하기도 한다. 예컨대 미켈란젤로 바이러스가 활동하는 3월 6일이면 시스템을 아예 켜지 않거나 활동 시간을 묻는 등 수선을 피우는 사람을 많이 본다.
하지만, 특정일 활동 바이러스란 특정일에 감염되는 바이러스가 아니라, 미리 컴퓨터에 잠복해 있다가 약속한 날에 특유의 증상을 보이는 바이러스를 말한다. 결국, 미켈란젤로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시스템이라면 3월 6일이 되어도 아무런 피해가 없다.
만일 바이러스 감염이 걱정된다면 전날 백신프로그램으로 시스템을 검사하면 된다. 이미 알려진 바이러스는 백신 프로그램이 진단/치료하므로 백신 프로그램을 진단했을 때 이상이 없다면 그 날 사용해도 아무 문제가 없다.
11)파일 속성을 읽기전용으로 설정하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는다?
일부 파일 바이러스는 읽기전용 파일을 감염시킬 수 없지만, 대부분의 파일 바이러스들은 파일의 읽기전용 속성을 해제한 후 감염시킨다. 결국 파일의 속성을 읽기전용으로 바꾼다고 하더라도 컴퓨터 바이러스 예방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12) 바이러스는 운영체계를 가리지 않는다?
바이러스는 운영체계에 따라 활성 및 비활성의 기로에 서게 된다. 예를 들어 IBM 호환기종의 윈도우 환경으로 만들어진 바이러스는 매킨토시상에서 실행 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리눅스나 유닉스 운영체계에서도 활동하지 못한다.
하지만 매크로 바이러스는 운영체계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해 둘 일이다. 매크로 바이러스는 워드나 엑셀 프로그램만 있다면 활성화된다.
13) E-mail을 통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E-mail 프로그램도 감염된다?
그렇지 않다. 전자우편을 통해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인데, 송신자의 시스템 메모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태에서 파일이 전송되었거나, 파일이 감염된 상태에서 전송될 경우이다. 즉, 파일에 의한 감염이므로 전자우편 프로그램이 바이러스에 감염될 리 없으며, 해당 파일을 실행시키지만 않는다면 바이러스의 위협을 피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 가 메일에 첨부된 파일을 다운받을 때, 자동 실행이 아닌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이용하고 백신 프로그램으로 진단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바이러스 예방책이다.
추천자료
인터넷공황과 전자상거래 가속도의 기본조건
DreamWiz Partnership : 드림위즈 파트너쉽
생명의 존엄성
일 잘하는 사람에겐 특별한 것이 있다.
나의 개인정보는 안전한가 -옥션해킹사건-
[사이버범죄]사이버공간 범죄발생의 현황과 대응 및 과제
[보안시스템][무선인터넷 보안시스템][무선인터넷][정보통신기술][인터넷][보안][해킹][해커]...
[사이버범죄 발생 현황] 사이버범죄의 발생과 동향
[경영학원론]CEO
2001년(2000년대)의 정보화, 2001년(2000년대)의 세계경제, 2001년(2000년대)의 한국경제, 20...
[사이버테러][인터넷테러][보안대책][사이버][테러][사이버테러 유형]사이버테러(인터넷테러)...
E-BIZ(E비즈니스, 이비즈니스, 인터넷비즈니스)의 중요성, 발전단계, E-BIZ(E비즈니스, 이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