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양디자인 - 한국적인 디자인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양이란

2. 문양의 기원과 발전

3. 문양의 요소

4. 문양의 구성과 배치

5. 단독문양

6. 연속문양

7. 동물 문양
....

본문내용

있는 형상으로 표현되어 있다. '心'부분은 새우나 대합이 획을 대신하여 좌우로 배치되고 있다. 때로는 '中'자의 가운데 획을 대나무로 대신하고 새우를 구부려 그려서 '口'부분을 대신하기도 한다.
신(信)자 그림
신(信)은 원래 '인언위신(人言爲信)'의 뜻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에 오가는 말은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데서 나온 것이다. 신(信)이란 사람 사이에 언약과 말을 믿고 지키는 덕목이라 할 수 있다.
신(信)자 그림에는 새가 편지를 물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파랑새와 흰기러기이다. 파랑새는 서왕모(西王母)에 나오는 상상의 새인데, 얼굴은 사람, 몸은 새의 형상을 하고 있다.
예(禮)자 그림
예(禮)자를 소재로 하여 그린 그림을 보면 거북이가 책을 등에 메고 있는 모습이 예(禮)자의 '示'변의 첫 번째 획에 그려져 있는 경우가 보통이다. 어떤 때는 공자가 행단에서 예를 강론하는 모습을 그리고 그 옆에 '공부자예대수지하(孔夫子禮大樹之下)'라는 설명을 덧붙이기도 한다. 이것은 공자가 행단에서 제자들에게 예를 강론하였다는 고사를 그린 것 이다.
의(義)자 그림
의(義)자를 그린 그림은 글자의 넓은 획 속에 삼국지에 등장하는 유비, 관우, 장비가 도원에서 결의하는 장면이 그려지기도 하며, 때로는 복숭아 꽃만 그려 도원의 결의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의(義)자 그림에는 도원결의 고사 외에 두 마리의 새를 그리고 '관저화명(關雎和鳴)'이라는 화제를 붙인 그림이 있다. 이 화제는 시경 주남의 관저편의 내용과 관련이 있는데, 춘향가에서 이도령이 책방에서 춘향이를 생각하면서 바로 이 구절을 읊조렸던 것을 보면 이 시의 내용이 의와 관련이 있다기 보다도 남여간의 애정을 노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도원결의에서 보듯이 의로움은 상호화합이 이루어 졌을 때 더 큰 힘을 발휘하는 것이라고 보면 어우러져 지저귀는 한 쌍의 물수리도 의(義)의 의미와 전혀 관계가 없다고는 볼 수 없다고는 볼 수 없겠다.
염(廉)자 그림
염(廉)은 청렴, 검소, 정직과 통한다. 염(廉)자 그림에는 봉황새나 게가 단독으로 그려지기도 하고, 때로는 인물이 등장하기도 한다. 봉황이 등장하는 이유는 봉황의 성품이 염의 내용과 관계되기 때문이다. 한편 게의 등장은 게의 행동 습성을 인간의 윤리에 조응시킨 결과이다. 게는 앞으로 나아갔다가 뒤로 물러서는 것을 반복하면서 먹이를 찾는 행동습성을 지니고 있는데, 이 습성을 인간이 지녀야할 도리, 즉 남이 자기에게 호의를 베풀 때 무조건 사양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며, 분수에 맞으면 즐겁게 나아가 호의로 받아들이고, 분수에 넘치면 과감히 물러나 스스로를 다스려야 한다는 염의 도리에 조응 시킨 것이다.
치(恥)자 그림
치(恥)는 치격(恥格)을 말한다. 자신의 잘못된 행동에 대하여 부끄러움을 스스로 알고 바로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 그림에는 그들의 나라가 망한데 대하여 스스로 부끄러움을 느끼고 은둔하면서 비극적인 생애를 마친 백이(伯夷), 숙제(叔齊)의 산중 생활이 묘사된다. 또 다른 경우에 토끼가 방아를 찧고 있는 모습이 보이는 달과 매화나무를 그려 넣기도 하는데 이 달과 매화 꽃은 백이숙제가 수양산에서 절개를 지키기 위해 달과 매화, 즉 자연과 더불어 일생을 보냈다는 고사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달과 매화는 옛날부터 은일처사들의 애호이며 마지않던 고아함의 화신이요, 정절의 상징인 자연이었다.
 Discussion
처음 여러 가지 주제를 놓고 많이 고민했다. 영화 미술에 대한 부분도 상당한 매력이 있었고 Wearable Design도 요즘에 한창 각광 받는 분야이므로 해볼만한 주제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 것을 먼저 알아야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 되었고 교수님이 수업시간에 언급하셨던 서양 선진국에서 동양사상 혹은 동양 디자인에 관심이 깊어져 가고 있다는 부분에서 이 주제를 택하게 되었다.
Asia의 문화는 예전엔 많이 발달되어 있었다. 인도의 미술이라던지, 중국의 웅장하고 힘있는 미술과 일본의 아기자기한 디자인. 무엇보다 대륙의 미술과 나름대로의 문화를 접목한 한국의 미술도 고고 미술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요즘의 우리나라 디자인은 너무 서구화 되어 있고 학생들의 관심학과도 동양화쪽 보다는 서양화에 회화 보다는 디자인에 치우쳐 있는 것이 사실이다. 주제를 택하고 나서 그런 생각이 들었다. 한국의 전통 디자인과 현대의 디자인을 접목 시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다.
다시 한국의 미술로 넘어와서, 한국의 전통미술에는 여러 가지 분야가 있다. 선조들의 지혜가 살아 숨쉬는 건축에서부터 회화, 서예, 염색, 문양, 공예까지 그 분야는 실로 방대하다. 처음 에는 모든 부분을 소개하고 접목시키는 방향으로 나가려 했으나, 현대 디자인과 가장 접목하기 쉬운 그리고 효과적으로 접목 시킬 수 있는 문양으로 그 방향을 잡았다. 디자인과 생활 3주 시간에 배운 시각 디자인과 많은 관련이 있기 때문이었다.
현대 사회에 있어서 시각 디자인은 광고 혹은 제품의 이미지나 회사의 이미지와 직결되는 키워드이므로 간결하고 상징적인 한국의 전통문양은 C.I.P(Corporate Identity Program)이나 B.I.P(Brand Identity Program) 직접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가령 만(卍)자 혹은 한자를 문신으로 하는 외국인이 늘고 있고, 외국의 스타들이 기체조를 연습하고 하는 것을 볼 때 더욱 확실히 그 효과를 알 수 있다.
Fusion, Cross-over 라는 단어가 말해주는 것처럼 서양의 기술위에 우리 한국의 전통적인 문양을 발전시켜 접목 시킨다면 확실한 작품이 나올 것이라 생각된다.
References
①한국미술 문화의 이해  장경희외 5명, 김원용 감수 예경 1994
②한국문화상징사전    한국문화상징사전 편찬위원회 두산동아 1992,1995
③전통미술의 상징    허균 교보문고 1991
④전통 문양      허균 지음, 유남해 사진 대원사

http://www.chonhyang.com
/
⑥http://www.konmt.com/
⑦http://www.artland.pe.kr/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4.04.18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68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