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실습 목표--------------------------------------3
Ⅱ. 연 구 기 간 및 방 법
Ⅲ. 간 호 과 정
(1) 간호사정
① 개인력----------------------------------------4
② 산욕부건강사정---------------------------------5
③ 기능적 건강 양상 사정----------------------------6
(2) 의학적 진단 및 치료계획
1. 특수진단 및 치료
(1) NST---------------------------------------7
(2) SONO--------------------------------------8
(3) C/SEC-------------------------------------10
2. 약물치료-------------------------------------15
(3) 간호 과정 적용----------------------------------16
Ⅳ. 결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실습 목표--------------------------------------3
Ⅱ. 연 구 기 간 및 방 법
Ⅲ. 간 호 과 정
(1) 간호사정
① 개인력----------------------------------------4
② 산욕부건강사정---------------------------------5
③ 기능적 건강 양상 사정----------------------------6
(2) 의학적 진단 및 치료계획
1. 특수진단 및 치료
(1) NST---------------------------------------7
(2) SONO--------------------------------------8
(3) C/SEC-------------------------------------10
2. 약물치료-------------------------------------15
(3) 간호 과정 적용----------------------------------16
Ⅳ. 결 론
본문내용
자료
객관적 자료
사정
“너무 아파요”
침상 체위변경시 매우 고통스러워 하는 표정
-통증 사정 NRS 8점
“끊어질 듯이, 지속적으로 통증느낌”
간호진단
#1 수술과 관련된 통증
목표
- 대상자는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 진통제 요구횟수가 감소한다.
간호중재 -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 통증의 부위와 정도/강도/기간등을 사정한다.
- 통증평가도구로 환자의 통증 정도를 사정한다.
-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침상안정을 도모한다.
- 제 4의 활력징후라고 불리우는 통증은 신체 이상징후의 큰 지표로 수술과 관련된 절개부위의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평가
- 복부 아래쪽 찌르는듯한 통증을 호소하였다.
- ketorac 1 amp을 IV로 투여하였다.
- 110/80-88-20-36.9 의 활력징후를 나타내었다.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사정
“몸이 무겁고 부은거 같아요”
- 임신으로 인한 체중증가(46kg->56kg)
- 정맥내로의 수액주입(I/O Positive)
간호진단
#2 출산과 관련된 체액과다
목표
- 환자의 체중이 정상범위로 돌아온다.
간호중재 -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 임신 전후 체중증가량을 확인한다.
- 부종의 유무와 정도를 사정한다.
- 현재의 체중을 확인한다.
- 처방되고 있는 수액으로 인한 체내 수분 축적여부를 확인한다.
- 수술 후 배뇨량과 잔뇨량을 확인한다.
- 체중감소량을 관찰한다.
평가
- 임신전 46kg에서 56kg으로 약 10kg 정도 증가하였다. (정상체중증가)
- 임신으로 인한 체중증가는 있으나 부종은 없었다.
- 환자 사생활로 인하여 현재 체중은 측정하지 못하였다.
- 수분 섭취 배설량이 +800cc 정도로 확인되었다.
- 유치 도뇨관 제거 후 200cc정도의 소변을 보았다.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사정
- 3일마다 정맥주사를 교체한다.
-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고 있다.
간호진단
#3 침습적인 시술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목표
- 환자에게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정상 활력징후, 정상 백혈구 수)
- 환자 및 보호자는 감염위험요인과 특성, 예방법을 안다.
간호중재 -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 매일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침습적인 처치 횟수를 사정한다.
- 천자부위 국소적 감염의 증상을 확인한다.
- 일반혈액검사결과를 관찰한다.
- 처방된 약물을 5R에 맞추어 투여한다.
- 간호활동을 하기 전후에 손씻기를 한다.
- 환자의 가족과 방문객에게 손씻기를 교육한다.
- 병실 환경을 청결히 한다.
- 감염발생시 체온은 증가하고, 백혈구 수치가 상승한다.
- 천자횟수를 최소화함으로써 감염의 기회를 낮출수 있다.
- 손씻기는 미생물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평가
- 120/80-80-20-36.5(3/29)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 3일마다 정맥주사를 교체하였다.
- 정맥 천자부위 발적이나 열감등의 감염의 증상이 없었다.
- 혈액 검사상 WBC 상승이 없었다.
- 간호 활동 전후 손씻기를 하였다.
- 환자와 가족들에게 손씻기를 교육하였다.
- 병실은 하루에 한번 직원이 청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사정
-환자가 무기력해 보이며 낙상의 위험성이 있어보임
- 화장실에 혼자 들어감(보호자 미동반)
- 한쪽 침상난간을 내리고 있음
간호진단
#4 신체손상위험성(낙상)
목표
-환자에게 낙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간호중재 -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 환자의 근력정도와 기동성을 사정한다.
- 보호자 상주시간을 확인한다.
- 침상난간이 올려져 있는지 확인한다.
- 환자 스스로 침상 난간을 조절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 화장실바닥의 미끄럼 정도를 사정한다.
- 화장실에서 환자 키에 맞는 손잡이가 있는지 확인한다.
- 낙상위험측정도구를 통한 낙상위험도를 사정한다.
- 침상난간이 내려져 있을시 낙상위험성이 크게 증가한다.
- 화장실에서 혼자 이동시 낙상의 위험성이 높다.
평가
- 환자의 손바닥 근력을 확인하였다.(정상근력의 약 60% 주관적느낌)
- 환자 혼자서 일어나거나 이동하기가 힘들다.
- 보호자는 특별한 일이 없을시에는 항상 환자와 같이 있다.
- 보호자가 있을때 한쪽 침상 난간이 내려져있어 보호자가 자리를 비울시 침상 난간을 올리고 가도록 교육하였다.
- 환자스스로 침상 난간을 조절할 수 없다.
- 화장실 바닥에 물기가 없으며 주기적으로 화장실을 청소하였다.
- 환자에게 낙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Ⅳ. 결 론
모성병동 실습은 나에게 처음이자 마지막 경험이 되는 실습이였다. 남자간호사가 모성병동에서 근무하는 이례가 없을뿐더러, 많은 환자들의 프라이버시로 인하여 모성병동에서 실습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 같았다. 한생명이 탄생한다는 것, 그 과정에서 치료하고 간호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인간이 어떻게 자궁에서 자라고, 태어나는지를 알 수 있게 되는 실습이였다. 사실 환자의 상처부위나 여러 가지 검사들을 많이 보고 싶었지만, 거의 보지 못한 것이 아쉬웠다. 하지만 제한된 환경속에서 내가 더 행동하고 생각하면 배울 것이 많은 곳이였다. 남자 간호사의 수가 많아지게 되어 간호의 큰 부분을 차지 하게 된다면, 남자간호사도 모성병동에 있을날이 오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http://blog.daum.net/daddyis2u/21 (NST)
병동메뉴얼
여성건강간호학 Ⅰ
http://www.dobongbaby.go.kr/html/birth/birth_02_08.asp
http://obgy.doctor.co.kr/pregnancy/cesarean.html
http://www.schobgy.co.kr/delivery/dv10.html
http://www.medtv21.net/ch3/babyclinic/happy/happy2_5.htm
http://www.ladyhosan.co.kr/m5/p9.htm
http://www.kimsonline.co.kr/drugsearch/drugsearch.asp
http://cafe.naver.com/voltguy777.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4347&
객관적 자료
사정
“너무 아파요”
침상 체위변경시 매우 고통스러워 하는 표정
-통증 사정 NRS 8점
“끊어질 듯이, 지속적으로 통증느낌”
간호진단
#1 수술과 관련된 통증
목표
- 대상자는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 진통제 요구횟수가 감소한다.
간호중재 -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 통증의 부위와 정도/강도/기간등을 사정한다.
- 통증평가도구로 환자의 통증 정도를 사정한다.
-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침상안정을 도모한다.
- 제 4의 활력징후라고 불리우는 통증은 신체 이상징후의 큰 지표로 수술과 관련된 절개부위의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평가
- 복부 아래쪽 찌르는듯한 통증을 호소하였다.
- ketorac 1 amp을 IV로 투여하였다.
- 110/80-88-20-36.9 의 활력징후를 나타내었다.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사정
“몸이 무겁고 부은거 같아요”
- 임신으로 인한 체중증가(46kg->56kg)
- 정맥내로의 수액주입(I/O Positive)
간호진단
#2 출산과 관련된 체액과다
목표
- 환자의 체중이 정상범위로 돌아온다.
간호중재 -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 임신 전후 체중증가량을 확인한다.
- 부종의 유무와 정도를 사정한다.
- 현재의 체중을 확인한다.
- 처방되고 있는 수액으로 인한 체내 수분 축적여부를 확인한다.
- 수술 후 배뇨량과 잔뇨량을 확인한다.
- 체중감소량을 관찰한다.
평가
- 임신전 46kg에서 56kg으로 약 10kg 정도 증가하였다. (정상체중증가)
- 임신으로 인한 체중증가는 있으나 부종은 없었다.
- 환자 사생활로 인하여 현재 체중은 측정하지 못하였다.
- 수분 섭취 배설량이 +800cc 정도로 확인되었다.
- 유치 도뇨관 제거 후 200cc정도의 소변을 보았다.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사정
- 3일마다 정맥주사를 교체한다.
-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고 있다.
간호진단
#3 침습적인 시술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목표
- 환자에게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정상 활력징후, 정상 백혈구 수)
- 환자 및 보호자는 감염위험요인과 특성, 예방법을 안다.
간호중재 -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 매일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침습적인 처치 횟수를 사정한다.
- 천자부위 국소적 감염의 증상을 확인한다.
- 일반혈액검사결과를 관찰한다.
- 처방된 약물을 5R에 맞추어 투여한다.
- 간호활동을 하기 전후에 손씻기를 한다.
- 환자의 가족과 방문객에게 손씻기를 교육한다.
- 병실 환경을 청결히 한다.
- 감염발생시 체온은 증가하고, 백혈구 수치가 상승한다.
- 천자횟수를 최소화함으로써 감염의 기회를 낮출수 있다.
- 손씻기는 미생물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평가
- 120/80-80-20-36.5(3/29)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 3일마다 정맥주사를 교체하였다.
- 정맥 천자부위 발적이나 열감등의 감염의 증상이 없었다.
- 혈액 검사상 WBC 상승이 없었다.
- 간호 활동 전후 손씻기를 하였다.
- 환자와 가족들에게 손씻기를 교육하였다.
- 병실은 하루에 한번 직원이 청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사정
-환자가 무기력해 보이며 낙상의 위험성이 있어보임
- 화장실에 혼자 들어감(보호자 미동반)
- 한쪽 침상난간을 내리고 있음
간호진단
#4 신체손상위험성(낙상)
목표
-환자에게 낙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간호중재 -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 환자의 근력정도와 기동성을 사정한다.
- 보호자 상주시간을 확인한다.
- 침상난간이 올려져 있는지 확인한다.
- 환자 스스로 침상 난간을 조절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 화장실바닥의 미끄럼 정도를 사정한다.
- 화장실에서 환자 키에 맞는 손잡이가 있는지 확인한다.
- 낙상위험측정도구를 통한 낙상위험도를 사정한다.
- 침상난간이 내려져 있을시 낙상위험성이 크게 증가한다.
- 화장실에서 혼자 이동시 낙상의 위험성이 높다.
평가
- 환자의 손바닥 근력을 확인하였다.(정상근력의 약 60% 주관적느낌)
- 환자 혼자서 일어나거나 이동하기가 힘들다.
- 보호자는 특별한 일이 없을시에는 항상 환자와 같이 있다.
- 보호자가 있을때 한쪽 침상 난간이 내려져있어 보호자가 자리를 비울시 침상 난간을 올리고 가도록 교육하였다.
- 환자스스로 침상 난간을 조절할 수 없다.
- 화장실 바닥에 물기가 없으며 주기적으로 화장실을 청소하였다.
- 환자에게 낙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Ⅳ. 결 론
모성병동 실습은 나에게 처음이자 마지막 경험이 되는 실습이였다. 남자간호사가 모성병동에서 근무하는 이례가 없을뿐더러, 많은 환자들의 프라이버시로 인하여 모성병동에서 실습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 같았다. 한생명이 탄생한다는 것, 그 과정에서 치료하고 간호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인간이 어떻게 자궁에서 자라고, 태어나는지를 알 수 있게 되는 실습이였다. 사실 환자의 상처부위나 여러 가지 검사들을 많이 보고 싶었지만, 거의 보지 못한 것이 아쉬웠다. 하지만 제한된 환경속에서 내가 더 행동하고 생각하면 배울 것이 많은 곳이였다. 남자 간호사의 수가 많아지게 되어 간호의 큰 부분을 차지 하게 된다면, 남자간호사도 모성병동에 있을날이 오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http://blog.daum.net/daddyis2u/21 (NST)
병동메뉴얼
여성건강간호학 Ⅰ
http://www.dobongbaby.go.kr/html/birth/birth_02_08.asp
http://obgy.doctor.co.kr/pregnancy/cesarean.html
http://www.schobgy.co.kr/delivery/dv10.html
http://www.medtv21.net/ch3/babyclinic/happy/happy2_5.htm
http://www.ladyhosan.co.kr/m5/p9.htm
http://www.kimsonline.co.kr/drugsearch/drugsearch.asp
http://cafe.naver.com/voltguy777.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4347&
추천자료
제왕절게 환자 케이스 (간호과정)
CPD C/S (아두골반불균형 제왕절개)
CPD C/S (아두골반불균형 제왕절개)
Twin preg(쌍둥이임신), c-sec(제왕절개), 사례연구
제왕절개분만 C /S (Cesarean section) case study
난소양성종양 모성 병동 CASE STUDY
모성간호학실습 : 제왕절개술 사례연구
모성간호학 Case STudy - 제왕절개 (C-Sec)
산욕기(産褥期 / Postpartum Period) 케이스 CASE STUDY
[모성간호학 실습] 태변흡인증후군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MAS)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