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1-9
1. 이자의 구조와 기능1-2
2. 당뇨병의 정의 및 병태생리2-3
3. 당뇨병의 종류3-4
4. 당뇨병의 원인4
5. 당뇨병의 증상4-5
6. 당뇨병의 진단검사5
7. 당뇨병의 치료와 간호5-8
8. 당뇨병의 합병증9
Ⅱ. 사례보고서10-28
1. 간호정보조사지10-19
1) 일반정보10
2) 건강과 관련된 정보10-11
3) 낙상, 욕창, 통증 사정 11-12
4) 임상검사 13
5) 진단검사 14-17
6) 약물18-19
2. 간호과정19-28
1) 간호문제19
2) 간호과정19-27
#1. 욕창과 관련된 조직 통합성 장애20-22
#2. 부적절한 당뇨관리와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수치의 위험22-25
#3. 허약감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25-28
Ⅲ. 참고문헌29
1. 이자의 구조와 기능1-2
2. 당뇨병의 정의 및 병태생리2-3
3. 당뇨병의 종류3-4
4. 당뇨병의 원인4
5. 당뇨병의 증상4-5
6. 당뇨병의 진단검사5
7. 당뇨병의 치료와 간호5-8
8. 당뇨병의 합병증9
Ⅱ. 사례보고서10-28
1. 간호정보조사지10-19
1) 일반정보10
2) 건강과 관련된 정보10-11
3) 낙상, 욕창, 통증 사정 11-12
4) 임상검사 13
5) 진단검사 14-17
6) 약물18-19
2. 간호과정19-28
1) 간호문제19
2) 간호과정19-27
#1. 욕창과 관련된 조직 통합성 장애20-22
#2. 부적절한 당뇨관리와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수치의 위험22-25
#3. 허약감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25-28
Ⅲ. 참고문헌29
본문내용
의 향상시켜 낙상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8. 물건이나 물기로 인한 낙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교육적 계획>
9. 낙상예방법을 교육함으로써 낙상의 위험성을 감소하기 위함이다.
10. 호출기 사용을 교육함으로써 낙상의 응급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1.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8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매일 6AM, 2PM, 8PM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함.
10/24
06:00
36.7
77
20
135/80
14:00
36.2
67
20
116/82
20:00
36.1
69
20
105/64
.
.
.
.
.
.
.
.
.
10/31
06:00
37.1
63
20
110/70
14:00
36.4
52
20
116/89
20:00
36.8
62
20
124/84
2. 하루에 3번 BST를 하여 혈당을 측정했다.
매일 주기적으로 혈당을 측정함.
10/24
11:00
150
15:00
268
21:00
308
10/25
10:00
188
15:00
199
21:00
271
10/30
10:00
189
15:00
143
21:00
199
10/31
10:00
502
15:00
117
21:00
286
3. 낙상위험 사정 도구(Morse Fall Scale)를 이용하여 낙상 위험성
을 사정했다.
- Morse Fall Scale 사정 결과 낙상 고위험군 대상자임.
4.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에 대해 사정했다. (낙상 경험, 나이, 신체 상태, 감각, 질병의 증상, 주변 환경, 등)
70세의 노인으로 전신이 쇠약한 상태고, 낙상경험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침상 주변 환경은 깨끗하게 유지하고 있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5. 대상자가 많이 사용하는 물건들(간호사 호출기, 물 등)을 닿기
쉬운 위치에 두었다.
- 호출기와 물 등 대상자 가까이에 둠.
6. pole대, 침상, 손목에 낙상주의 표시를 했다.
- 낙상 고위험군 대상자인 것을 알리기 위해 pole대, 침상, 손목에
낙상 고위험군, 낙상주의 표시를 함.
7. 대상자가 규칙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운동치료를 실시했다.
물리치료실에서 걷기 운동을 적극적으로 하도록 격려함.
8. 대상자 침상주변을 깔끔하게 유지하고 물기가 없도록 하였다.
필요없는 물건을 정리하고 물기가 있다면 제거하였다.
9. 대상자에게 집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낙상 위험요소와 낙상 예방법을 교육했다.
계단의 모서리에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적용한다.
물기가 없고 장애물이 없는 주변환경을 유지한다.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침상 가까이에 두도록 한다.
대상자의 발에 맞는 크기의 신발이나 슬리퍼를 신도록 한다.
자기 전에 화장실을 다녀온다.
침상안전 시 침상 난간을 올리고 있는다.
10. 간호사 호출기 사용에 대해 설명했다.
필요 시 간호사 호출기를 사용해 달라고 설명함.
평가(Evaluation)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일 이내 낙상예방법에 대해 1가지 이상 말할 것이다. (달성)
낙상예방법으로 침상난간 올리는 것을 인지하여 목표 달성함.
2. 대상자는 3일 이내 침상난간을 잘 올리는 모습을 보일 것이다. (달성)
3일 이내 침상난간을 혼자 스스로 올리는 것을 확인하여 목표 달성함.
3. 대상자는 보행의 도움, 체위변경이 필요할 때 간호사에게 알릴 것이다.(달성)
- 5일 이내 보행의 도움, 체위변경 필요시 콜벨을 누르는 모습을 보여 목표달성함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낙상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달성)
- 퇴원을 할 때 까지 입원기간 동안 낙상이 발생하지 않아 목표 달성함.
#3. 허약감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Ⅲ. 참고문헌
문헌고찰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하), p566~602, 현문사, 서울
유혜정(2021), 필통 간호학핵심요약집 성인간호학2, p400~416, 에듀팩토리
병원간호사회(당뇨병)
http://www.khna.or.kr/homecare_new/07_endoc/diabetes01.php
[네이버 지식백과] 이자의 구조와 기능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38606&cid=51006&categoryId=51006
3. [대교학습백과] 이자의 구조 사진
https://takentext.tistory.com/465
http://www.seehint.com/hint.asp?no=10898
4. [네이버 지식백과] 글루카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1716&cid=60266&categoryId=60266
5.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 당뇨병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200&CONT_SRC=CMS&CONT_ID=2690&CONT_CLS_CD=001020001010
6. [네이버 지식백과] 제1형당뇨병, 제2형당뇨병, 2차성 당뇨병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33501&cid=60266&categoryId=6026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33500&cid=60266&categoryId=6026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00056&cid=60408&categoryId=55558
7. 당뇨병 원인
https://blog.naver.com/parkjjam0513/221775384535
사례보고서
1.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하), p566~602, 현문사, 서울
2. 유혜정(2021), 필통 간호학핵심요약집 성인간호학2, p400~416, 에듀팩토리
3.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Ⅱ, p.377~401, 현문사
4. 이은희 외(2020), 제2판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별책, p28, 40, 105, 고문사
5. 병원간호사회(당뇨병)
http://www.khna.or.kr/homecare_new/07_endoc/diabetes01.php
8. 물건이나 물기로 인한 낙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교육적 계획>
9. 낙상예방법을 교육함으로써 낙상의 위험성을 감소하기 위함이다.
10. 호출기 사용을 교육함으로써 낙상의 응급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1.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8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매일 6AM, 2PM, 8PM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함.
10/24
06:00
36.7
77
20
135/80
14:00
36.2
67
20
116/82
20:00
36.1
69
20
105/64
.
.
.
.
.
.
.
.
.
10/31
06:00
37.1
63
20
110/70
14:00
36.4
52
20
116/89
20:00
36.8
62
20
124/84
2. 하루에 3번 BST를 하여 혈당을 측정했다.
매일 주기적으로 혈당을 측정함.
10/24
11:00
150
15:00
268
21:00
308
10/25
10:00
188
15:00
199
21:00
271
10/30
10:00
189
15:00
143
21:00
199
10/31
10:00
502
15:00
117
21:00
286
3. 낙상위험 사정 도구(Morse Fall Scale)를 이용하여 낙상 위험성
을 사정했다.
- Morse Fall Scale 사정 결과 낙상 고위험군 대상자임.
4.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에 대해 사정했다. (낙상 경험, 나이, 신체 상태, 감각, 질병의 증상, 주변 환경, 등)
70세의 노인으로 전신이 쇠약한 상태고, 낙상경험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침상 주변 환경은 깨끗하게 유지하고 있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5. 대상자가 많이 사용하는 물건들(간호사 호출기, 물 등)을 닿기
쉬운 위치에 두었다.
- 호출기와 물 등 대상자 가까이에 둠.
6. pole대, 침상, 손목에 낙상주의 표시를 했다.
- 낙상 고위험군 대상자인 것을 알리기 위해 pole대, 침상, 손목에
낙상 고위험군, 낙상주의 표시를 함.
7. 대상자가 규칙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운동치료를 실시했다.
물리치료실에서 걷기 운동을 적극적으로 하도록 격려함.
8. 대상자 침상주변을 깔끔하게 유지하고 물기가 없도록 하였다.
필요없는 물건을 정리하고 물기가 있다면 제거하였다.
9. 대상자에게 집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낙상 위험요소와 낙상 예방법을 교육했다.
계단의 모서리에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적용한다.
물기가 없고 장애물이 없는 주변환경을 유지한다.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침상 가까이에 두도록 한다.
대상자의 발에 맞는 크기의 신발이나 슬리퍼를 신도록 한다.
자기 전에 화장실을 다녀온다.
침상안전 시 침상 난간을 올리고 있는다.
10. 간호사 호출기 사용에 대해 설명했다.
필요 시 간호사 호출기를 사용해 달라고 설명함.
평가(Evaluation)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일 이내 낙상예방법에 대해 1가지 이상 말할 것이다. (달성)
낙상예방법으로 침상난간 올리는 것을 인지하여 목표 달성함.
2. 대상자는 3일 이내 침상난간을 잘 올리는 모습을 보일 것이다. (달성)
3일 이내 침상난간을 혼자 스스로 올리는 것을 확인하여 목표 달성함.
3. 대상자는 보행의 도움, 체위변경이 필요할 때 간호사에게 알릴 것이다.(달성)
- 5일 이내 보행의 도움, 체위변경 필요시 콜벨을 누르는 모습을 보여 목표달성함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낙상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달성)
- 퇴원을 할 때 까지 입원기간 동안 낙상이 발생하지 않아 목표 달성함.
#3. 허약감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Ⅲ. 참고문헌
문헌고찰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하), p566~602, 현문사, 서울
유혜정(2021), 필통 간호학핵심요약집 성인간호학2, p400~416, 에듀팩토리
병원간호사회(당뇨병)
http://www.khna.or.kr/homecare_new/07_endoc/diabetes01.php
[네이버 지식백과] 이자의 구조와 기능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38606&cid=51006&categoryId=51006
3. [대교학습백과] 이자의 구조 사진
https://takentext.tistory.com/465
http://www.seehint.com/hint.asp?no=10898
4. [네이버 지식백과] 글루카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1716&cid=60266&categoryId=60266
5.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 당뇨병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200&CONT_SRC=CMS&CONT_ID=2690&CONT_CLS_CD=001020001010
6. [네이버 지식백과] 제1형당뇨병, 제2형당뇨병, 2차성 당뇨병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33501&cid=60266&categoryId=6026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33500&cid=60266&categoryId=6026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00056&cid=60408&categoryId=55558
7. 당뇨병 원인
https://blog.naver.com/parkjjam0513/221775384535
사례보고서
1.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하), p566~602, 현문사, 서울
2. 유혜정(2021), 필통 간호학핵심요약집 성인간호학2, p400~416, 에듀팩토리
3.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Ⅱ, p.377~401, 현문사
4. 이은희 외(2020), 제2판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별책, p28, 40, 105, 고문사
5. 병원간호사회(당뇨병)
http://www.khna.or.kr/homecare_new/07_endoc/diabetes01.php
추천자료
성인간호학실습-중환자실-폐렴,당뇨병
[간호학]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사례연구
천식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3개 완벽!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골절(흉추,천추)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신경계(뇌경색)
[지역사회보건간호학] 가족간호과정 사례보고서
가족간호과정 가족간호 케이스 사례보고서 (당뇨병 보건소)
여성간호학 모성간호학 정상분만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교수님 극찬, a+보장, 피드백 수...
여성간호학 모성간호학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교수님 극찬, a+보장, 피드백 수...
[지역사회간호학실습/A+과제] 고혈압 케이스 스터디 (OMAHA / 간호진단 12개 / 간호과정1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