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GPS의 정의
2. GPS의 역사
3. GPS위성과 특성
4. GPS의 원리
5. GPS의 정확도
6.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법
7. GPS의 이용분야
2. GPS의 역사
3. GPS위성과 특성
4. GPS의 원리
5. GPS의 정확도
6.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법
7. GPS의 이용분야
본문내용
수신장치의 잡음, 수신장치의 Channel수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정확도는 1대의 수신기로 측정되는 절대위치의 경우에 C/A코드 사용시 100m, P코드 사용시 10m 정도이다. 반면에 2대 이상의 수신기로 측정되는 상대 위치에 경우에는 수십 Km 이상이 거리에서 Cmeksdnl의 오차가 위치결정의 있어서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L1과 L2의 두 개의 반송파를 제거시키고, VLBI(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과 GPS를 결합함으로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지각변동, 지질구조, 등을 연구하는 지구물리학 및 측지학 분야에서 많은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6.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법
가. 1점 위치측정법
1점위치 측정법은 절대 위치측정법 이라고도 하며, 1대의 GPS 수신기로 위성들의 전파와 코드를 분석하여 Real time으로 지구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절대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는 주로 자동차, 항공기 및 인공위성과 같은 고속운동체의 위치 결정과 등산, 해상위치 등과 같이 비교적 낮은 위치 정확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있다.
나. 상대 위치측정법
상대 위치측정법은 위치를 알고 있는 지점으로부터 위치를 알고자 하는 지점까지의 벡터를 구하여 위치를 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기지점에 수신기를 설치하고, 미지점의 수신기와 양쪽에서 받은 위성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위치를 계산한다. 상대 위치측정법의 원리는 위성에서 발신하는 반송파를 여러개의 수신기에서 수신하여 반송파 또는 코드의 위상을 측정함으로서 전파도달 시각의 차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이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근거리 측량의 오차는 수m에서 수mm이며, 원리의 경우에는 10(-8승)에 이르는 정확도가 얻어진다. DGPS(Differential GPS)는 상대 위치측정법중 위성의 발신하는 코드만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위치 정확도가 낮아 약 5m의 오차가 발생하며, OTF(on-The-Fly)은 위성에서 발신하는 반송파의 위상으로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반송파의 위상으로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수mm 이내의 오차로 위치 특정이 가능하다.
6. GPS의 이용분야
과학기술이나 산업활동에서 물론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도 자신의 위치나 대상물의 위치를 알아야 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GPS의 이용분야는 위치 파악이 필요한 분야는 전부 해당한다. 이러한 분야 중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분야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항법장치 : 선박, 자동차, 항공기, 인공위성 등
측지분야 : 기준점 측량, 중력측량, 항공사진측량, 노선측량, 수신측량 등
GIS분야 : 답사, 주제도 제작, 주요지물의 위치점 측정
해양분야 : 정기노선항래, 시추공 위치결정, 해상중역측량, 해상탐색 및 구조 등
지구물리학 : 지각변동관측, 지질구조해석 등
군사분야 : 각종 장비의 항법장치, 목표물 위치결정, 사전답사, 지휘 및 통신 등
레져분야 : 등산, 여행, 답사 등
6.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법
가. 1점 위치측정법
1점위치 측정법은 절대 위치측정법 이라고도 하며, 1대의 GPS 수신기로 위성들의 전파와 코드를 분석하여 Real time으로 지구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절대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는 주로 자동차, 항공기 및 인공위성과 같은 고속운동체의 위치 결정과 등산, 해상위치 등과 같이 비교적 낮은 위치 정확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있다.
나. 상대 위치측정법
상대 위치측정법은 위치를 알고 있는 지점으로부터 위치를 알고자 하는 지점까지의 벡터를 구하여 위치를 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기지점에 수신기를 설치하고, 미지점의 수신기와 양쪽에서 받은 위성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위치를 계산한다. 상대 위치측정법의 원리는 위성에서 발신하는 반송파를 여러개의 수신기에서 수신하여 반송파 또는 코드의 위상을 측정함으로서 전파도달 시각의 차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이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근거리 측량의 오차는 수m에서 수mm이며, 원리의 경우에는 10(-8승)에 이르는 정확도가 얻어진다. DGPS(Differential GPS)는 상대 위치측정법중 위성의 발신하는 코드만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위치 정확도가 낮아 약 5m의 오차가 발생하며, OTF(on-The-Fly)은 위성에서 발신하는 반송파의 위상으로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반송파의 위상으로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수mm 이내의 오차로 위치 특정이 가능하다.
6. GPS의 이용분야
과학기술이나 산업활동에서 물론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도 자신의 위치나 대상물의 위치를 알아야 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GPS의 이용분야는 위치 파악이 필요한 분야는 전부 해당한다. 이러한 분야 중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분야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항법장치 : 선박, 자동차, 항공기, 인공위성 등
측지분야 : 기준점 측량, 중력측량, 항공사진측량, 노선측량, 수신측량 등
GIS분야 : 답사, 주제도 제작, 주요지물의 위치점 측정
해양분야 : 정기노선항래, 시추공 위치결정, 해상중역측량, 해상탐색 및 구조 등
지구물리학 : 지각변동관측, 지질구조해석 등
군사분야 : 각종 장비의 항법장치, 목표물 위치결정, 사전답사, 지휘 및 통신 등
레져분야 : 등산, 여행, 답사 등
추천자료
중공 수립 이후 신 중국과학기술의 발전과 경제적 효과
한국의 시기별 과학기술정책목표 변화과정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문제점
세종대왕과 과학기술
건설기술의 정의, 특성 및 국내 건설 기술의 발전
북한의 과학기술 실태 및 전망
[중앙교육행정체제][교육과학기술부][교육행정][교육정책]중앙교육행정체제의 시대적 환경변...
미래사회와 조직 - 미래사회의 과학기술과 영향력
교육부(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개혁,기본방향, 교육부(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
[과학과 문화]교양으로서 과학과 기술 (과학과 기술, 21세기의 과학기술, 현대사회와 과학기술)
다양한 영화들과 그 속에서 ‘과학’의 위치 - 과학사 예술 “영화예술 속 과학” (현재 과학 기...
[★평가 우수★][자동차 관련 정책 분석] 세계 자동차 과학기술 정책 분석, 미국의 자동차 과학...
녹색성장 과제,경수로에 대하여,고속로기술,4세대 원자로,개량형 경수로 설계 및 건설기술,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