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DO
1. 실험목적
2. 기자재
3. 시약 및 시료
4. 실험방법
5. 유의사항
7. 실험이론
8. 참고문헌
*BOD
1. 실험목적
2. 기자재
3. 시약 및 시료
4. 실험방법
5. 유의사항
7. 실험이론
8. 참고문헌
1. 실험목적
2. 기자재
3. 시약 및 시료
4. 실험방법
5. 유의사항
7. 실험이론
8. 참고문헌
*BOD
1. 실험목적
2. 기자재
3. 시약 및 시료
4. 실험방법
5. 유의사항
7. 실험이론
8. 참고문헌
본문내용
O를 소비하는 양을 측정하는 것이 훨씬 용이하다.
BOD는 20 에서 5일간 배양했을 때 배양기간 동안 소모된 산소의 양을 측정하며 그 값을 통상 BOD 또는 BOD5라고 한다. BOD측정 결과를 보면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 섭취되므로 산소소비량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며 7~10일 후에는 탄소화합물에 의한 NOD이외에 질소화합물의 산화 즉, 질산화가 발생하는데 이를 질소 BOD 또는 NOD(Nitrogenous Oxygen Demand)라고 부르며, BOD5 시험에서 BOD병 내에 질산화를 일으키는 미생물이 존재하면 탄소화합물에 의한 BOD보다 높게 나타나고 도시하수의 경우에는 질산화가 잘 일어나지 않으나 처리된 폐수에서는 질산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7. 참고문헌
. 안송엽 저, 「수질 공학 실험」, 원광대학교 출판국, 1996, pp. 6 ~ 11
. 김형석 외 2명, 「수질분석 및 수처리 실험」, 동화기술, 1996, pp. 67 ~ 77
. Clair N. Sawyer·Perry L. McCarty·Gene F parkin, 「Chemistry for Environment Engineering」, 동화기술, 2000, pp. 643 ~ 653,
. 국립환경연구원 홈페이지(
www.nier.go.kr
) 자료실
'수질 오염 공정시험방법2000판과 정정 및 추가된 부분'
. 이승원 외 2명, 「수질 환경 기사」, 성안당, 2003, pp. 40 ~ 46
. 오영민, 신석봉, 「수질관리」, 녹원출판사, 1986, pp. 279 ~ 289
표
수중의 용존산소 포화량
온도
( )
수중의 염소 이온량( ㎎ Cl/L )
염소이온 100 ㎎ C1/L에
대한 용존산소 차감량
( ㎎ O/L )
0
5,000
10,000
15,000
20,000
수중 용존산소 포화량 ( ㎎ O/L )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14.16
13.77
13.40
13.01
12.70
12.37
12.00
11.78
11.47
11.19
10.92
10.67
10.43
10.20
9.97
9.70
9.56
9.37
9.18
9.01
8.84
8.68
8.53
8.39
8.25
8.14
7.99
7.87
7.75
7.64
7.53
7.43
7.32
7.23
7.13
7.04
13.40
13.03
12.68
12.45
12.03
11.72
11.42
11.15
10.87
10.61
10.36
10.12
9.90
9.68
9.47
9.27
9.06
8.90
8.73
8.57
8.41
8.26
8.11
7.98
7.85
7.72
7.60
7.48
7.37
7.26
7.16
7.06
6.96
6.86
6.77
6.67
12.63
12.29
11.97
11.65
11.35
11.00
10.79
10.52
10.27
10.03
9.79
9.57
9.36
9.16
8.97
8.78
8.60
8.44
8.27
8.12
7.97
7.83
7.70
7.57
7.44
7.32
7.21
7.10
6.99
6.88
6.78
6.66
6.59
6.49
6.40
6.30
11.87
11.55
11.25
10.95
10.67
10.40
10.15
9.90
9.67
9.44
9.23
9.02
8.82
8.64
8.40
8.29
8.12
7.97
7.82
7.67
7.54
7.40
7.26
7.06
7.14
6.95
6.82
6.71
6.61
6.51
6.41
6.31
6.21
6.12
6.03
5.93
11.10
10.80
10.52
10.25
9.99
9.71
9.51
9.28
9.06
8.85
8.66
8.47
8.29
8.11
7.95
7.79
7.63
7.49
7.36
7.22
7.10
6.97
6.85
6.74
6.65
6.52
6.42
6.32
6.22
6.12
6.03
5.93
5.84
5.75
5.65
5.56
0.0153
0.0148
0.0144
0.0440
0.0135
0.0131
0.0128
0.0124
0.0120
0.0117
0.0113
0.0110
0.0107
0.0104
0.0101
0.0099
0.0096
0.0094
0.0091
0.0089
0.0087
0.0086
0.0084
0.0082
0.0081
0.0079
0.0078
0.0077
0.0076
0.0076
0.0075
0.0075
0.0074
0.0074
0.0074
0.0074
BOD는 20 에서 5일간 배양했을 때 배양기간 동안 소모된 산소의 양을 측정하며 그 값을 통상 BOD 또는 BOD5라고 한다. BOD측정 결과를 보면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 섭취되므로 산소소비량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며 7~10일 후에는 탄소화합물에 의한 NOD이외에 질소화합물의 산화 즉, 질산화가 발생하는데 이를 질소 BOD 또는 NOD(Nitrogenous Oxygen Demand)라고 부르며, BOD5 시험에서 BOD병 내에 질산화를 일으키는 미생물이 존재하면 탄소화합물에 의한 BOD보다 높게 나타나고 도시하수의 경우에는 질산화가 잘 일어나지 않으나 처리된 폐수에서는 질산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7. 참고문헌
. 안송엽 저, 「수질 공학 실험」, 원광대학교 출판국, 1996, pp. 6 ~ 11
. 김형석 외 2명, 「수질분석 및 수처리 실험」, 동화기술, 1996, pp. 67 ~ 77
. Clair N. Sawyer·Perry L. McCarty·Gene F parkin, 「Chemistry for Environment Engineering」, 동화기술, 2000, pp. 643 ~ 653,
. 국립환경연구원 홈페이지(
www.nier.go.kr
) 자료실
'수질 오염 공정시험방법2000판과 정정 및 추가된 부분'
. 이승원 외 2명, 「수질 환경 기사」, 성안당, 2003, pp. 40 ~ 46
. 오영민, 신석봉, 「수질관리」, 녹원출판사, 1986, pp. 279 ~ 289
표
수중의 용존산소 포화량
온도
( )
수중의 염소 이온량( ㎎ Cl/L )
염소이온 100 ㎎ C1/L에
대한 용존산소 차감량
( ㎎ O/L )
0
5,000
10,000
15,000
20,000
수중 용존산소 포화량 ( ㎎ O/L )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14.16
13.77
13.40
13.01
12.70
12.37
12.00
11.78
11.47
11.19
10.92
10.67
10.43
10.20
9.97
9.70
9.56
9.37
9.18
9.01
8.84
8.68
8.53
8.39
8.25
8.14
7.99
7.87
7.75
7.64
7.53
7.43
7.32
7.23
7.13
7.04
13.40
13.03
12.68
12.45
12.03
11.72
11.42
11.15
10.87
10.61
10.36
10.12
9.90
9.68
9.47
9.27
9.06
8.90
8.73
8.57
8.41
8.26
8.11
7.98
7.85
7.72
7.60
7.48
7.37
7.26
7.16
7.06
6.96
6.86
6.77
6.67
12.63
12.29
11.97
11.65
11.35
11.00
10.79
10.52
10.27
10.03
9.79
9.57
9.36
9.16
8.97
8.78
8.60
8.44
8.27
8.12
7.97
7.83
7.70
7.57
7.44
7.32
7.21
7.10
6.99
6.88
6.78
6.66
6.59
6.49
6.40
6.30
11.87
11.55
11.25
10.95
10.67
10.40
10.15
9.90
9.67
9.44
9.23
9.02
8.82
8.64
8.40
8.29
8.12
7.97
7.82
7.67
7.54
7.40
7.26
7.06
7.14
6.95
6.82
6.71
6.61
6.51
6.41
6.31
6.21
6.12
6.03
5.93
11.10
10.80
10.52
10.25
9.99
9.71
9.51
9.28
9.06
8.85
8.66
8.47
8.29
8.11
7.95
7.79
7.63
7.49
7.36
7.22
7.10
6.97
6.85
6.74
6.65
6.52
6.42
6.32
6.22
6.12
6.03
5.93
5.84
5.75
5.65
5.56
0.0153
0.0148
0.0144
0.0440
0.0135
0.0131
0.0128
0.0124
0.0120
0.0117
0.0113
0.0110
0.0107
0.0104
0.0101
0.0099
0.0096
0.0094
0.0091
0.0089
0.0087
0.0086
0.0084
0.0082
0.0081
0.0079
0.0078
0.0077
0.0076
0.0076
0.0075
0.0075
0.0074
0.0074
0.0074
0.0074
추천자료
힘평형장치에의한 힘의 합성(예비레포트)
레이놀즈수 측정 실험 예비레포트
기초 회로 실험 예비레포트 01.R-L-C수동소자
빛의 간섭 및 회절실험 예비레포트
TWI직렬 통신프로그램 [마컴 예비레포트]
[물리학및실험] (예비레포트) RLC회로 - 전압센서 : 저항,인덕터,축전기의 RLC 직렬회로에 ...
[물리학및실험] (예비레포트) 등전위선 측정 : 전도성 종이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그 위에 ...
[물리학및실험] (예비레포트) 반사와 굴절의 법칙 : 레이져(LASER) 광을 이용하여 빛의 반사 ...
[물리학및실험] (예비레포트) 암페어 법칙 (Ampere`s law) : 직선도선, 원형도선 및 솔레노이...
[물리학및실험] (예비레포트)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사용법 : 가장 보편적인 계측 및 ...
[물리학및실험] (예비레포트) 옴의 법칙 (Ohm`s law) : 저항의 양단의 전위 차의 변화에 따른...
[물리학및실험] (예비레포트) 음파(Sound waves) 측정 : 소리센서를 이용해 소리굽쇠, 악기, ...
[물리학및실험] (예비레포트) 전기저항 측정 - 휘트스톤 브리지 (Wheatstone Bridge) : 휘트...
[일반화학실험] (예비레포트) 이산화탄소의 승화열 : 드라이아이스(고체 이산화탄소)의 승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