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증기흡인을 시행하는 목적을 열거하시오.
2.산소흡입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합병증을 열거하고 각 방법에 따른 장단점을 써 보시오
3.환기 및 호흡 증진의 종류와 각 방법을 간단히 쓰시오
4.체위 배액을 실시하기 위해 대상자가 준비해야 될 것을 쓰시오.
5.기도 흡인 시 주의해야 할 사항 등을 열거하시오
6.기관지 절개 간호시 유의점에 대하여 쓰시오.
2.산소흡입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합병증을 열거하고 각 방법에 따른 장단점을 써 보시오
3.환기 및 호흡 증진의 종류와 각 방법을 간단히 쓰시오
4.체위 배액을 실시하기 위해 대상자가 준비해야 될 것을 쓰시오.
5.기도 흡인 시 주의해야 할 사항 등을 열거하시오
6.기관지 절개 간호시 유의점에 대하여 쓰시오.
본문내용
는 대상자를 피로하게 하며, 골다공증,폐색전증,심장 상태 혹은 폐암의 경우 금기이다.
5.기도 흡인 시 주의해야 할 사항 등을 열거하시오.
1)시간 및 빈도
①1회 흡인 시간은 15초를 초과하지 않으며, 총 흡인 시간은 3∼5분 이내로 한다.너무 장시간 실시하면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산소량이 감소될수 있기 때문이다.
②흡인을 3∼5회정도 시행한다.
2)삽입길이
①흡인경로를 경정하고 경로의 지름이 1/2지점인 카테터를 선택한다.
②12∼15cm정도 삽입한다.
3)무균적 관리적인 면
①흡인시 사용하는 물품은 멸균 즉 무균적으로 준비해야한다
②멸균포,멸균된카테터, 멸균장갑, 멸균된용액(생리식염수나 증류수)등을 준비한다.
③멸균된 용액을 멸균된 컵에 따른다. 이것은 카테터를 헹굴 때 사용한다.
④우세한 손에 멸균장갑을 끼고 카테터를 연결관에 연결시킨다.
⑤경로를 바꾸게 되면, 카테터,장갑,컵,용액 등은 교환한다. 이는 다른경로로 주입시 세균감염을 피하기 위해서다.
4)흡인압
①성인:80∼140mmHg
②아동:50mmHg
③연령에 따라 안전한 음압을 제공해주며 지나친음압은 기흉을 일으킬수있다.
5)합병증
①전산소증과 무기폐가 올 수 있다.
②카테터가 미주신경을 자극하면 심부정맥으로 심실빈맥, 심실세동, 심정지 등이 초래된다.
6.기관지 절개 간호시 유의점에 대하여 쓰시오.
①캐눌라를 막고 숨쉬는 연습을 하여 제거에 대비하도록한다.
②자신이 캐뉼라를 막고 몇마디를 말할수 있도록 연습시킨다.
③드레싱 교환은 1일 1회 이상 시행하며, 필요시 젖을 때 마다 교환한다.
④분비물이 딱지가 되어 붙어있는 경우 멸균 생리식염수에 적신 솜으로 수분간 그자이레 얹어 놓는다.그 후 다시 베타딘 솜으로 닦아내어 분비물 딱지를 제거한다.
⑤기관절게 튜브 고정용 끈을 새것으로 준비한다.
◎기관절개 튜브 고정용 끈은 새것으로 준비한다.
◎기관절개 튜브의 고정구에 넣어 대상자의 목을 한바퀴 돌아오도록 한다.
◎이 끈이 반대편 고정구를 통과하도록 하여 뒤로 다시 돌아 처음 시작한 쪽까지 오도록한 다.
◎양끝을 가볍게 당기어 고정끈을 손가락 2개 정도가 들어갈 정도로 고정하여 기관절개튜 브로부터 2cm되는곳에 단단히 매듭을 짓는다.
※근거:기관절개 튜브 끝에 매듭을 지으면 분비물이 딱지되어 앉는다. 매듭이 경추부위에 오면 대상자에게 불편감을 준다.
⑥기관 절개관의 교환(silastic 혹은 silicon 경우)은 처음 기관 절개술 후는 경로가 형성될때까지 48∼72시간동안은 새로운 캐뉼라로 교환하지 않는다.
⑦그 이후에는 캐뉼라 내의 가피 및 분비물의 응고 정도에 따라 7일간격으로 교환한다.
⑧풍선(Balloon)관리(공기주입 및 제거시)
◎Potex 캐뉼라의 경우 인공호흡기를 사용하거나 기관절개 튜브가 제 위치에 놓이게 하기 위하여, 또는 흡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cuff를 부풀리는 경우에는 기관지의 손상을 방지하 기 위하여 흡인시 2∼3시간 간격에 한번씩 cuff를 이완시킨다.
◎공기를 주입한 경우는 기관지 벽에 압력이 가지 않도록 하며 주입한 공기의 양을 기록한 다.
5.기도 흡인 시 주의해야 할 사항 등을 열거하시오.
1)시간 및 빈도
①1회 흡인 시간은 15초를 초과하지 않으며, 총 흡인 시간은 3∼5분 이내로 한다.너무 장시간 실시하면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산소량이 감소될수 있기 때문이다.
②흡인을 3∼5회정도 시행한다.
2)삽입길이
①흡인경로를 경정하고 경로의 지름이 1/2지점인 카테터를 선택한다.
②12∼15cm정도 삽입한다.
3)무균적 관리적인 면
①흡인시 사용하는 물품은 멸균 즉 무균적으로 준비해야한다
②멸균포,멸균된카테터, 멸균장갑, 멸균된용액(생리식염수나 증류수)등을 준비한다.
③멸균된 용액을 멸균된 컵에 따른다. 이것은 카테터를 헹굴 때 사용한다.
④우세한 손에 멸균장갑을 끼고 카테터를 연결관에 연결시킨다.
⑤경로를 바꾸게 되면, 카테터,장갑,컵,용액 등은 교환한다. 이는 다른경로로 주입시 세균감염을 피하기 위해서다.
4)흡인압
①성인:80∼140mmHg
②아동:50mmHg
③연령에 따라 안전한 음압을 제공해주며 지나친음압은 기흉을 일으킬수있다.
5)합병증
①전산소증과 무기폐가 올 수 있다.
②카테터가 미주신경을 자극하면 심부정맥으로 심실빈맥, 심실세동, 심정지 등이 초래된다.
6.기관지 절개 간호시 유의점에 대하여 쓰시오.
①캐눌라를 막고 숨쉬는 연습을 하여 제거에 대비하도록한다.
②자신이 캐뉼라를 막고 몇마디를 말할수 있도록 연습시킨다.
③드레싱 교환은 1일 1회 이상 시행하며, 필요시 젖을 때 마다 교환한다.
④분비물이 딱지가 되어 붙어있는 경우 멸균 생리식염수에 적신 솜으로 수분간 그자이레 얹어 놓는다.그 후 다시 베타딘 솜으로 닦아내어 분비물 딱지를 제거한다.
⑤기관절게 튜브 고정용 끈을 새것으로 준비한다.
◎기관절개 튜브 고정용 끈은 새것으로 준비한다.
◎기관절개 튜브의 고정구에 넣어 대상자의 목을 한바퀴 돌아오도록 한다.
◎이 끈이 반대편 고정구를 통과하도록 하여 뒤로 다시 돌아 처음 시작한 쪽까지 오도록한 다.
◎양끝을 가볍게 당기어 고정끈을 손가락 2개 정도가 들어갈 정도로 고정하여 기관절개튜 브로부터 2cm되는곳에 단단히 매듭을 짓는다.
※근거:기관절개 튜브 끝에 매듭을 지으면 분비물이 딱지되어 앉는다. 매듭이 경추부위에 오면 대상자에게 불편감을 준다.
⑥기관 절개관의 교환(silastic 혹은 silicon 경우)은 처음 기관 절개술 후는 경로가 형성될때까지 48∼72시간동안은 새로운 캐뉼라로 교환하지 않는다.
⑦그 이후에는 캐뉼라 내의 가피 및 분비물의 응고 정도에 따라 7일간격으로 교환한다.
⑧풍선(Balloon)관리(공기주입 및 제거시)
◎Potex 캐뉼라의 경우 인공호흡기를 사용하거나 기관절개 튜브가 제 위치에 놓이게 하기 위하여, 또는 흡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cuff를 부풀리는 경우에는 기관지의 손상을 방지하 기 위하여 흡인시 2∼3시간 간격에 한번씩 cuff를 이완시킨다.
◎공기를 주입한 경우는 기관지 벽에 압력이 가지 않도록 하며 주입한 공기의 양을 기록한 다.
추천자료
산소화 요구
중독(DI)
질병보고서(기흉)
건축재료 아스베스토(석면)란 무엇인가?
직업병의 원인, 종류, 실태, 예방
호흡기계장애 만성폐쇄성폐질환 억제성 폐질환 기관지 폐 감염
흡연과 영양
폐결핵 대상자 간호사례연구
기본간호학- 유치도뇨
다문화 가족과 가족복지
[공압][공압 원리][공압기술][공압액추에이터][공압실린더][미세변위 제어][공유압]공압의 원...
[성인간호학][Lung cancer][폐암] 문헌고찰
[신생아실] 미숙아(Premature infant) & 일과성빈호흡(Transient Tachpnea of Newborn : ...
COPD :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사례연구,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