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붕괴
2. 해부학적인 성차이의 심적인 귀결
3. 여성의 성애에 대하여
2. 해부학적인 성차이의 심적인 귀결
3. 여성의 성애에 대하여
본문내용
것을 자각하는 것이 원인라고 한다. 또한 최근 H. 도이취의 <여성의 매저키즘과 불감증의 관계>(<국제 정신분석 잡지>, 제16권, 1930년)에서는 소녀의 남근기의 활동과 어머니에 대한 강한 애착도 기술되어 있다. 또한 애정의 대상을 아버지에게 전환하는 행위는 이미 어머니에 대한 애착에서 활동하고 있던 수동적인 움직임 아래서 발생한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앞서 살펴 본 많은 문헌에서와 같이 어린이의 가장 원초적인 리비도의 움직임보다 성장하고 나서부터의 발달을 중시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그 때문에 극단적으로 말한다면 리비도는 일정한 방향을 지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이고 이러한 방향을 개척해나가는 심적인 강도는 자라고 나서의 퇴행이나 반동 형성이 짊어지게 되고 만다.
앞서 살펴 본 많은 문헌에서와 같이 어린이의 가장 원초적인 리비도의 움직임보다 성장하고 나서부터의 발달을 중시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그 때문에 극단적으로 말한다면 리비도는 일정한 방향을 지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이고 이러한 방향을 개척해나가는 심적인 강도는 자라고 나서의 퇴행이나 반동 형성이 짊어지게 되고 만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