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 적
2. 이 론
3. 실 험 방 법
1) 실험기기 및 장치
2) 실험 순서 및 방법
4. 참 고 자 료
5. 실 험 결 과
6. 고 찰 사 항
2. 이 론
3. 실 험 방 법
1) 실험기기 및 장치
2) 실험 순서 및 방법
4. 참 고 자 료
5. 실 험 결 과
6. 고 찰 사 항
본문내용
914
0.8669
● 물의 밀도는 0.99719
<물의 표면장력(문헌값)dyn/cm>
온도℃
0
1
2
3
4
5
6
7
8
9
0
75.626
75.470
75.312
75.155
75.006
74.850
74.713
74.555
74.410
74.263
10
73.957
73.957
73.800
73.653
73.497
73.530
73.203
73.045
72.889
72.732
20
72.853
72.427
72.270
72.113
71.957
71.810
71.652
71.495
71.339
71.192
30
71.035
70.869
70.710
70.599
70.337
70.230
70.073
69.906
69.740
69.573
40
69.416
69.249
69.083
68.925
68.759
68.592
68.424
68.257
63.091
67.914
50
67.799
67.571
67.405
67.238
67.072
66.894
66.717
66.541
66.374
66.208
60
65.040
65.864
69.688
65.521
65.344
65.167
64.992
64.805
64.628
64.453
70
64.274
64.099
63.922
63.746
63.570
63.393
63.217
63.038
62.863
62.676
80
62.500
62.312
62.137
61.950
61.773
61.587
61.410
61.224
61.047
60.861
90
60.684
60.570
60.321
60.136
59.949
59.763
59.576
59.380
59.184
58.987
100
58.802
6. 고 찰 사 항
이번 실험에서는 액체의 표면장력을 측정하는 실험이었다. 측정계 사용방법은 그다지 어려움이 없었으나. 백금-이리듐 고리가 많이 찌그러져있었서 그리 좋은 실험값을 얻지 못한것같다. 그리고 측정도중 약간의 충격이나 혹은 바람에 의해 잘못측정되었을 경우도 있을 것이다. 표면장력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을 이론적이로 알 수 있다. 그것은 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수축을 일으키는 힘을 능가해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백금-이리듐의 반지름이 작을수록 표면장력이 커진다는 것을 알았다. 그 이유는 표면장력의 정의가 분자 사이의 인력에 의해 액체 내부로 끌리게 되고 그로 인해 표면을 작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표면장력이 크다는 것은 점도가 크다는 것이고 표면장력이 높으면 흡착이 잘 된다. 문헌을 보면 물의 장력이 다른 용액의 장력보다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이번실험에서 백금-이리듐 고리의 반경과 반지름을 알지 못하여 보정계수F를 계산하지 못하여 표면장력Υ 또한 계산하지 못하였다.
7. 참 고 문 헌
Hugh W. Salzberg, Jack I. Morrow, Stephen R. cohen공저, 물리화학실험,
p106 ∼ 117, 형설출판사 (1983)
성기천, 이진휘, 김기준, 화학공학실험, p57 ∼ 64, 사이텍미디어(2000)
·http://naver.com/ 두산대백과사전
0.8669
● 물의 밀도는 0.99719
<물의 표면장력(문헌값)dyn/cm>
온도℃
0
1
2
3
4
5
6
7
8
9
0
75.626
75.470
75.312
75.155
75.006
74.850
74.713
74.555
74.410
74.263
10
73.957
73.957
73.800
73.653
73.497
73.530
73.203
73.045
72.889
72.732
20
72.853
72.427
72.270
72.113
71.957
71.810
71.652
71.495
71.339
71.192
30
71.035
70.869
70.710
70.599
70.337
70.230
70.073
69.906
69.740
69.573
40
69.416
69.249
69.083
68.925
68.759
68.592
68.424
68.257
63.091
67.914
50
67.799
67.571
67.405
67.238
67.072
66.894
66.717
66.541
66.374
66.208
60
65.040
65.864
69.688
65.521
65.344
65.167
64.992
64.805
64.628
64.453
70
64.274
64.099
63.922
63.746
63.570
63.393
63.217
63.038
62.863
62.676
80
62.500
62.312
62.137
61.950
61.773
61.587
61.410
61.224
61.047
60.861
90
60.684
60.570
60.321
60.136
59.949
59.763
59.576
59.380
59.184
58.987
100
58.802
6. 고 찰 사 항
이번 실험에서는 액체의 표면장력을 측정하는 실험이었다. 측정계 사용방법은 그다지 어려움이 없었으나. 백금-이리듐 고리가 많이 찌그러져있었서 그리 좋은 실험값을 얻지 못한것같다. 그리고 측정도중 약간의 충격이나 혹은 바람에 의해 잘못측정되었을 경우도 있을 것이다. 표면장력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을 이론적이로 알 수 있다. 그것은 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수축을 일으키는 힘을 능가해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백금-이리듐의 반지름이 작을수록 표면장력이 커진다는 것을 알았다. 그 이유는 표면장력의 정의가 분자 사이의 인력에 의해 액체 내부로 끌리게 되고 그로 인해 표면을 작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표면장력이 크다는 것은 점도가 크다는 것이고 표면장력이 높으면 흡착이 잘 된다. 문헌을 보면 물의 장력이 다른 용액의 장력보다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이번실험에서 백금-이리듐 고리의 반경과 반지름을 알지 못하여 보정계수F를 계산하지 못하여 표면장력Υ 또한 계산하지 못하였다.
7. 참 고 문 헌
Hugh W. Salzberg, Jack I. Morrow, Stephen R. cohen공저, 물리화학실험,
p106 ∼ 117, 형설출판사 (1983)
성기천, 이진휘, 김기준, 화학공학실험, p57 ∼ 64, 사이텍미디어(2000)
·http://naver.com/ 두산대백과사전
추천자료
[물리학실험]고체의 비열 측정 실험 예비, 결과 보고서
RLC 교류 회로의 임피던스 측정 예비 보고서
[공학]DNA의 농도 및 순도의 측정과 재생 및 변성 - 예비,결과보고서
오차론 및 길이&#47504; 측정(버니어 캘리퍼스와 마이크로 미터)예비 보고서^^
몰질량의 측정 실험보고서 (일반화학 실험 예비, 결과보고서)
몰질량의 측정 실험보고서 (일반화학 실험 예비, 결과보고서)
Reynolds Number 측정 예비 보고서
[예비,결과보고서] 빛의 속도 측정
일반 물리학[예비 보고서] - RLC회로에 의한 임피던스 측정
구심력 측정 예비- 결과 보고서
관성모멘트 측정 예비- 결과 보고서
6.중화열 측정) (예비+결과)보고서
3.분몰랄 부피측정(NaCl-H2O) (예비+결과)보고서
4.어는점 내림에 의한 분자량 측정 (예비+결과)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