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본문내용
의 결합을 상징
3)러시아 정교회 사원의 모양, 구성
러시아 정교회 사원 건물을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노아의 방주처럼 ‘바실리카’라고 불리는 것과 ‘로톤다’라 불리는 원형, ‘십자가형’으로 만든 것으로 구별할 수 있음. 보편적 양식은 십자가 형태. 러시아 정교회 사원 내부의 가장 중요한 곳은 제단의 감실이라 불리는 지성소인데 이 지성소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의 상징인 성물들이 보관되어 있음. 러시아 정교회 사원은 입구의 출입구가 있고 중간의 내부는 회중석인데 신자들이 예배를 드리는 장소임. 러시아 정교회의 회중석은 가톨릭이나 개신교와는 달리 의자가 없어 신자들은 예배를 서서 드림. 회중석의 양 쪽 벽에는 프레스코화 이콘이 걸려 있는데 신자들은 이 이콘 앞에서 초를 봉헌하고 기도함. 회중석과 지성소 사이에는 여러 이콘들이 그려진 벽이 가로놓여 있는데 이를 ‘이코노스타스(성화벽)’ 즉 ‘이콘의 벽화’라고 부름. 이코노스타스 앞에는 설교대 놓여 있고 그 안의 지성소에는 성찬식에 쓰이는 빵과 포도주를 준비하는 제대가 놓여 있음.
비잔틴 제국 시대의 그리스 정교의 이코노스타스는 무릎 높이의 석조 모자이크 벽이었으나, 러시아 정교에서는 제단과 회중석을 완전히 분리한 목조 벽으로 만들어 여기에 다양한 이콘들을 그렸음. 이코노스타스는 대개 3~4층의 단으로 구성되는데 1층 단에는 ‘황제의 문’이 있어서 사제는 이곳을 통해 지성소의 제단으로 갈 수 있음.
4)러시아 정교회 사원의 상징
러시아 정교회의 사원의 황금빛 양파머리 지붕은 ‘쿠폴’이라 불리며 불타는 촛불 모양은 성령의 불꽃을 상징.
쿠폴은 그 수에 따라 하나인 경우는 하느님의 유일함을 상징하며 두 개인 경우는 예수 그리스도의 두 가지 본성 즉 신성과 인성을 세 개인 경우는 성삼위일체를 네 개인 경우는 사복 음서를 다섯 개인 경우는 주 예수 그리스도와 네 명의 복음서 자자들을 일곱 개인 경우는 교회의 칠 성례와 7차례의 공의회를 상징함.
러시아 정교회는 쿠폴 외에도 종루의 종소리도 상징물. 이 종소리는 많은 러시아 작가들의 작품의 중요한 모티브로 사용. 특히 체호프의 <주교>에서 종소리는 행복한 과거의 어린 시절로의 회귀, 아름다움, 그리스도의 변용, 부활의 기쁨 등을 의미
5)러시아 정교의 사제
신품 성사를 받아 성직자가 되는 러시아 정교회의 사제는 결혼한 ‘백승’과 독신 수도사인 ‘흑승’으로 구분할 수 있음. 독신 수도사로 서품을 받고 나면 중간에 다시 결혼을 할 수 없으며 결혼한 백승 사제도 재혼을 할 수 없음. 일반 러시아 정교회 사원의 사제들을 대부분 백승들이고 수도원의 수도사들은 흑승들인 경우가 많음. 주교와 같은 고위 성직에는 독신 사제만 교구회의 선출로 임명됨,
러시아 정교회 성직자의 등급은, 크게 주교, 사제, 보제 또는 부제로 구분. 부제는 사제와 주교를 도와 전례의식에는 참여할 수 있으나 자신이 혼자 전례를 수행할 수 없음. 생존 시 존경을 받은 사제들은 종교회의의 결정에 따라 성인의 반열에 오르게 되며 종무원의 결정에 따라 주교들 중에서 대주교와 총주교를 선출함.
축일 명
날짜
내용
주 세례일
1월 6일
예수가 세례 요한에게 세례 받은 것을 축하
주 봉헌일
2월 2일
예수의 부모가 아기 예수를 성전에 바친 것을 축하
성모 수태고지일
3월 25일
천사가 성모께 예수의 잉태를 알려준 것을 기념
주 예루살렘
입성일
부활절 직전
일요일
버드나무 주일(러시아에는 종려나무가 없어 종려주일 대신 버드나무 주일이라 함)
주 승천일
부활절 후
40일째 목요일
예수가 십자가에서 죽은 후 천구에 오른 것을 기념
성령강림절
부활절 후
50일째 일요일
오순절 또는 성 삼위일체일
주 변용일
8월 6일
예수가 지상 생활 중 잠시 신성을 보임
성모 승천일
8월 15일
성모의 기일
성모 탄생일
9월 8일
성모 마리아 탄생일을 축하
십자가 헌양일
9월 14일
십자가를 찬양함
성모 입당일
11월 21일
성모의 성전 입당을 기념
성탄절
12월 25일
예수의 탄생을 축하
6)러시아 정교회의 12대축일
우리 달력과 13일 차이
7)부활절(파스하)
마슬레니차 축제 후 40일 간 즉 사순절 기간에 금욕과 금식, 절제의 고통을 체험하여 몸과 마음을 청결히 한 후 맞이하는 부활절은 러시아 정교회의 최고의 축일.
부활절 날짜는 유동적이어서 매해 춘분이 지난 첫 보름 후 첫째 일요일. 부활절과 관련해 마슬레니차와 같은 다른 축일들이 결정됨. 부활절에 러시아 정교회에서 성대한 의식이 거행되며 자정에 십자가 행렬을 한 후 부활절 자정 미사가 수 시간 지속됨. 가정에서는 색칠을 한 부활절 달걀과 콜리치라는 빵을 만들어 축하함. 부활절 예배는 보통 토요일 밤 11시에 시작되어 일요일 새벽 4시쯤 끝남. 교회 안에서는 항상 제단 쪽을 향해 서 있어야 하며 신도들은 교회에서 촛불을 사들고 성전 중앙의 성상화에 입을 맞춤. 예배 후에 육식이 허용되고 주류를 포함한 모든 음식을 마음껏 먹어도 됨. 러시아인들은 부활절 날 다른 이들에게 선물하거나 선한 일을 향하면 복을 받는다고 믿음
8)성령 강림절(트로이차)
부활절 후 50일째 되는 날로 오순절. 이 트로이차(삼위일체)주간에는 토속적 전통 행사, 즉 민속축제인 루살리 주간과 겹쳐 물의 요정 루살카와 송별하는 의식을 거행. 또한 이 주간은 망자의 영혼을 위로하고 여름 맞을 준비를 하는 세믹 축일과 중첩됨
*러시아의 공휴일
1월 1일-신년
1월 7일-크리스마스
3월 8일-국제 여성의 날
5월 1일-국제 노동자의 날
6월 12일-러시아 주권 선언일
11월 7일-평화와 화해의 날
<평가하기>
1)러시아 부활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3번1. 쿨리치라는 빵을 만들어 축하함 2. 러시아 정교회의 최고의 축일임
3.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과 세례를 기념하는 주간 4. 부활절 날짜는 유동적임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과 세례를 기념하는 주간을 스뱌트키라 하며 서구의 크리스마스주간에 해당함
2)러시아 정교회 사원 내부의 가장 중요한 곳은?2번
1. 이코노스타스 2. 지성소 3. 회중석 4. 설교대
3)키예프 부주교관을 모스크바로 옮긴 시대는 언제인가?4번
1. 11세기전반 2. 12세기 전반 3. 13세기 전반 4. 14세기 전반
3)러시아 정교회 사원의 모양, 구성
러시아 정교회 사원 건물을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노아의 방주처럼 ‘바실리카’라고 불리는 것과 ‘로톤다’라 불리는 원형, ‘십자가형’으로 만든 것으로 구별할 수 있음. 보편적 양식은 십자가 형태. 러시아 정교회 사원 내부의 가장 중요한 곳은 제단의 감실이라 불리는 지성소인데 이 지성소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의 상징인 성물들이 보관되어 있음. 러시아 정교회 사원은 입구의 출입구가 있고 중간의 내부는 회중석인데 신자들이 예배를 드리는 장소임. 러시아 정교회의 회중석은 가톨릭이나 개신교와는 달리 의자가 없어 신자들은 예배를 서서 드림. 회중석의 양 쪽 벽에는 프레스코화 이콘이 걸려 있는데 신자들은 이 이콘 앞에서 초를 봉헌하고 기도함. 회중석과 지성소 사이에는 여러 이콘들이 그려진 벽이 가로놓여 있는데 이를 ‘이코노스타스(성화벽)’ 즉 ‘이콘의 벽화’라고 부름. 이코노스타스 앞에는 설교대 놓여 있고 그 안의 지성소에는 성찬식에 쓰이는 빵과 포도주를 준비하는 제대가 놓여 있음.
비잔틴 제국 시대의 그리스 정교의 이코노스타스는 무릎 높이의 석조 모자이크 벽이었으나, 러시아 정교에서는 제단과 회중석을 완전히 분리한 목조 벽으로 만들어 여기에 다양한 이콘들을 그렸음. 이코노스타스는 대개 3~4층의 단으로 구성되는데 1층 단에는 ‘황제의 문’이 있어서 사제는 이곳을 통해 지성소의 제단으로 갈 수 있음.
4)러시아 정교회 사원의 상징
러시아 정교회의 사원의 황금빛 양파머리 지붕은 ‘쿠폴’이라 불리며 불타는 촛불 모양은 성령의 불꽃을 상징.
쿠폴은 그 수에 따라 하나인 경우는 하느님의 유일함을 상징하며 두 개인 경우는 예수 그리스도의 두 가지 본성 즉 신성과 인성을 세 개인 경우는 성삼위일체를 네 개인 경우는 사복 음서를 다섯 개인 경우는 주 예수 그리스도와 네 명의 복음서 자자들을 일곱 개인 경우는 교회의 칠 성례와 7차례의 공의회를 상징함.
러시아 정교회는 쿠폴 외에도 종루의 종소리도 상징물. 이 종소리는 많은 러시아 작가들의 작품의 중요한 모티브로 사용. 특히 체호프의 <주교>에서 종소리는 행복한 과거의 어린 시절로의 회귀, 아름다움, 그리스도의 변용, 부활의 기쁨 등을 의미
5)러시아 정교의 사제
신품 성사를 받아 성직자가 되는 러시아 정교회의 사제는 결혼한 ‘백승’과 독신 수도사인 ‘흑승’으로 구분할 수 있음. 독신 수도사로 서품을 받고 나면 중간에 다시 결혼을 할 수 없으며 결혼한 백승 사제도 재혼을 할 수 없음. 일반 러시아 정교회 사원의 사제들을 대부분 백승들이고 수도원의 수도사들은 흑승들인 경우가 많음. 주교와 같은 고위 성직에는 독신 사제만 교구회의 선출로 임명됨,
러시아 정교회 성직자의 등급은, 크게 주교, 사제, 보제 또는 부제로 구분. 부제는 사제와 주교를 도와 전례의식에는 참여할 수 있으나 자신이 혼자 전례를 수행할 수 없음. 생존 시 존경을 받은 사제들은 종교회의의 결정에 따라 성인의 반열에 오르게 되며 종무원의 결정에 따라 주교들 중에서 대주교와 총주교를 선출함.
축일 명
날짜
내용
주 세례일
1월 6일
예수가 세례 요한에게 세례 받은 것을 축하
주 봉헌일
2월 2일
예수의 부모가 아기 예수를 성전에 바친 것을 축하
성모 수태고지일
3월 25일
천사가 성모께 예수의 잉태를 알려준 것을 기념
주 예루살렘
입성일
부활절 직전
일요일
버드나무 주일(러시아에는 종려나무가 없어 종려주일 대신 버드나무 주일이라 함)
주 승천일
부활절 후
40일째 목요일
예수가 십자가에서 죽은 후 천구에 오른 것을 기념
성령강림절
부활절 후
50일째 일요일
오순절 또는 성 삼위일체일
주 변용일
8월 6일
예수가 지상 생활 중 잠시 신성을 보임
성모 승천일
8월 15일
성모의 기일
성모 탄생일
9월 8일
성모 마리아 탄생일을 축하
십자가 헌양일
9월 14일
십자가를 찬양함
성모 입당일
11월 21일
성모의 성전 입당을 기념
성탄절
12월 25일
예수의 탄생을 축하
6)러시아 정교회의 12대축일
우리 달력과 13일 차이
7)부활절(파스하)
마슬레니차 축제 후 40일 간 즉 사순절 기간에 금욕과 금식, 절제의 고통을 체험하여 몸과 마음을 청결히 한 후 맞이하는 부활절은 러시아 정교회의 최고의 축일.
부활절 날짜는 유동적이어서 매해 춘분이 지난 첫 보름 후 첫째 일요일. 부활절과 관련해 마슬레니차와 같은 다른 축일들이 결정됨. 부활절에 러시아 정교회에서 성대한 의식이 거행되며 자정에 십자가 행렬을 한 후 부활절 자정 미사가 수 시간 지속됨. 가정에서는 색칠을 한 부활절 달걀과 콜리치라는 빵을 만들어 축하함. 부활절 예배는 보통 토요일 밤 11시에 시작되어 일요일 새벽 4시쯤 끝남. 교회 안에서는 항상 제단 쪽을 향해 서 있어야 하며 신도들은 교회에서 촛불을 사들고 성전 중앙의 성상화에 입을 맞춤. 예배 후에 육식이 허용되고 주류를 포함한 모든 음식을 마음껏 먹어도 됨. 러시아인들은 부활절 날 다른 이들에게 선물하거나 선한 일을 향하면 복을 받는다고 믿음
8)성령 강림절(트로이차)
부활절 후 50일째 되는 날로 오순절. 이 트로이차(삼위일체)주간에는 토속적 전통 행사, 즉 민속축제인 루살리 주간과 겹쳐 물의 요정 루살카와 송별하는 의식을 거행. 또한 이 주간은 망자의 영혼을 위로하고 여름 맞을 준비를 하는 세믹 축일과 중첩됨
*러시아의 공휴일
1월 1일-신년
1월 7일-크리스마스
3월 8일-국제 여성의 날
5월 1일-국제 노동자의 날
6월 12일-러시아 주권 선언일
11월 7일-평화와 화해의 날
<평가하기>
1)러시아 부활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3번1. 쿨리치라는 빵을 만들어 축하함 2. 러시아 정교회의 최고의 축일임
3.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과 세례를 기념하는 주간 4. 부활절 날짜는 유동적임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과 세례를 기념하는 주간을 스뱌트키라 하며 서구의 크리스마스주간에 해당함
2)러시아 정교회 사원 내부의 가장 중요한 곳은?2번
1. 이코노스타스 2. 지성소 3. 회중석 4. 설교대
3)키예프 부주교관을 모스크바로 옮긴 시대는 언제인가?4번
1. 11세기전반 2. 12세기 전반 3. 13세기 전반 4. 14세기 전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