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문학사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랑스 문학사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고전주의 대표 작가들
1)말레르브
2)데카르트
3)코르네유
4)파스칼
5)라 로슈푸코
6)라파예트 부인
7)몰리에르
8)라신
9)보쉬에
10)부알로

2.고전주의 3대 극작가

3.고전주의 이론
1)고전주의 이론의 기원
2)고전주의의 대원리
낭만주의, 사실주의, 상징주의
-19세기 프랑스 문학
사실주의(L'epoque realiste) : 1850~1880
상징주의 (L'epoque symboliste) : 1860~1890
초현실주의

본문내용

情緖)의 시적 정착(詩的定着)을 목표로 했다고 한다.
그러나 A.티보데는 고답파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롱사르로부터 위고에 이르기까지 프랑스시 전반에 대해서 상징파는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켰다고 풀이하였다. 티보데가 말하는 상징파의 새로운 바람이란 다음의 세 가지 점이다.
첫째, 자유시: 그 시작은 민중적인 노래의 형태를 필요에 따라 채용한 랭보의 《지옥의 계절》이다. 이에 대해 의식적 ·계통적으로 자유시를 발전시킨 것은 G.캉이었다. 이후 프랑스의 시인은 정형(定型)을 채용하는 자와 자유시 형태를 쓰는 자의 두 갈래로 나누어졌다.
둘째, 순수시(純粹詩): ■■음악에서 그 부(富)를 빼앗는다■■라는 말라르메의 말로 요약되는 순수시의 개념은 상징파에서 비롯된다(이 경우의 음악은 주로 바그너의 음악이다). 시 속에서 산문적 요소를 배제하고 순수하게 시적인 것을 찾으려는 의식적 노력은 바그너의 영향 아래 말라르메에서 시작되어 발레리에서 완성되었다.
셋째, 문학적 혁신과 발전의 개념: 상징파는 처음으로 젊은 세대에게 전세대(前世代)의 문학개념을 부정하는 권리와 의무를 인정했다. 전위(前衛: 아방가르드)의 개념이 탄생한 이후 문학은 ■■전통적 문학■■과 ■■전위문학■■으로 나누어졌고 유파(流派)의 수도 늘었으며, 선언(宣言)이 유행하게 되었다.
이상이 티보데가 말하는 상징파의 특징인데 이 경우, 순수한 문학사적 의미에서 상징파는 1890년에 전성기에 달했고 1902년에 종지부를 찍은, 대략 15년간에 걸친 일군(一群)의 시인들의 활동을 지칭한다.
즉,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시인들이다. G.캉, J.라포르그, A.사맹, F.잠, E.뒤자르댕 등을 들 수 있다. 외국인으로서 여기에 호응한 사람은 벨기에의 조르지 로당바크, E.베르아렝 등이다. 앙리 드 레니에, 장 모레아스는 일시적인 상징파 동지였으며, 그런 의미에서의 상징파 비평가는 레미 드 구르몽이었다. 티보데는 말라르메, 베를렌, 랭보, 코르 비에르, 로트레아몽을 상징파의 선구자로 보았으며 발레리를 그 후계자로 보았다.
만일 이 해석이 옳다면 상징파는 선구자와 후계자에 필적할 만한 대시인(大詩人)이 없다는 결과가 된다. 그러므로 말라르메를 비롯하여 티보데가 말하는, 선구자를 포함한 상징주의적 시인들이 활약한 15년간이라는 운동기간을 떠나, 좀더 넓게 상징주의를 문제삼을 필요가 있다. 즉, 보들레르를 선구자로 말라르메, 베를렌, 랭보에 의하여 전개되었으며 발레리, 잠, 클로델에게 계승되어 마침내 완성된 시적(詩的) 세계와 그 이론을 생각하게 된다. 보들레르는 하나의 시적 혁명(詩的革命)을 일으켰다 하겠다.
첫째로 그 의식적 방법에서, 이윽고 이것은 말라르메를 탄생시켜야 했다.
둘째로 원죄의식(原罪意識)에서 베를렌을 탄생시켰다.
셋째로 그 감수성(感受性)과 대응(對應)의 이론에서, 이것은 마침내 랭보를 탄생시켰다. 또한 말라르메와 발레리, 베를렌과 잠, 랭보와 클로델의 밀접한 관계를 증명하기는 어렵지 않다.
이렇게 하여 결정되는 상징주의적 세계의 분석에 샤를 뒤보스, 자크리비엘, 에른스트 로베르트 쿠르티우스 등의 비평가가 따랐다. A.지드도 여기에 넣을 수 있다. 어떤 의미에서는 상징파 시인들의 세계와 밀접하게 교류한 M.프루스트도 이 세계에 속한다 할 수 있다.
① 시
샤를르 보들레르(1821∼1867) : <악의 꽃>
로트레아몽(1846∼1870) : <말도로르의 노래>
말라르메(1842∼1898) : <목신의 오후>
아르튀르 랭보(1854∼1891) : <취한 배>, <일루미나시옹>, <지옥에서의 한 철>
폴 베르렌느(1844∼1896) : <예의바른 축제>, <예전과 이후>
② 희곡
폴 클로델(1868∼1955) : <볼모>, <황금머리>, <마리아에게 알려진 전갈>, <비단구두>
모리스 메테르링크(1862∼1949) : <펠라스와 멜리쟝드>
초현실주의
20세기에 접어들어 양 차 세계대전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각 방면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전쟁이 기존의 진리나 사회제도, 경제조 직 등을 파괴함으로써 인간들은 방황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와 같은 위기를 극복하고 불안에서 벗어나 자신들의 갈 길을 찾지 않으면 안되었는데, 거기에서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가 등장하게 된다.
다다이즘은 전위적 문학운동으로 전래의 시를 우선 철저히 부정하는 데 주력한 움직임이다. 아무런 뜻을 갖지 않은 말이라 하여 선택된 '다다'를 앞세운 다다이즘은 1916년 취리히의 한 다방에서 트리스탕 차라에 의해 태동되었는데, 그 목표는 현대 사회에서 공인 받고 있는 도덕적, 사회적, 미학적 가치들의 완전한 전복이었다. 다시 말해 문학과 예술에 있어서 기성관념을 파괴하자는 혁명이었으나 기존의 모든 것에 대해 철저히 반역한다는 파괴주의 때문에 운동은 해체된다.
그 후, 뒤를 이은 초현실주의는 현실이란 것을 부정하고 보다 높은 정신적 현실을 추구하는 것으로서 다다이즘과 그리 멀리 떨어진 경향은 아니다. 보다 높은 정신적 현실이란 표면의식 밑에서 엄청난 비중으로 잠재해 있는 꿈과 무의식, 자유로운 상상력의 세계를 말하는 것으로, 초현실주의는 다다이즘이 시도한 절대적 자유를 위한 거부와 파괴의 터전에서 꽃을 피웠다.
초현실주의자들은 논리적 사고 이전에 있는 혼돈 상태 또는 논리적 사고를 벗어난 모든 의식 상태, 이를테면 원시인들의 신화, 꿈과 환상, 광기, 불가사의, 정신병 환자들의 환각 증세 같은 것들에 관심을 보였다. 그래서 그들은 진리와 오류, 꿈과 현실, 이성과 광기라는 전래의 구별이 부질없다 하면서 정신병 의사들이 말하는 과대망상증, 정신분열증, 히스테리 등의 현상을 연구했다. 그리고 프로이드의 선례에 따라 꿈에서 이루어지는 자유로운 연상작용을 기록하려 했다. 그들이 사용한 ■■자동기술법■■은 계시적인 무질서 속에서 부조리함이나 부적절함에 전혀 개의치 않고 해방된 의식 속에 쌓이는 문장들을 그대로 옮겨 적는 것이다. 말이건 글이건 아니면 그 어떤 수단에 의해서건 사고의 진정한 작용을 표현하려는 심리적 자동현상, 이성의 모든 제약에서 벗어나고, 미학적이거나 도덕적인 어떤 규약에도 얽매이지 않는 사고의 받아쓰기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4.28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77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