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지층과 화석
1-1. 지층
1-2 암상의 변화
1-3. 표준화석
2. 지질시대
2-1 지질시대의 구분
2-2. 지질연대이 측정
2-3 지구의 연령
2-4. 시생대와 원생대
2-5 고생대
2-6 고생대의 지각변동
2-7 중생대
2-8 중생대의 지각변동 및 기후
2-9 신생대 및 신생대 지각변동
3. 우리나라 지질시대.
3-1 우리나라 지질의 특징
3-2 결정편암계
3-3 화강편마암계
3-4 상원계
3-5 조선계
3-6 평안계
3-7 대동계
3-8 경상계
3-9 제 3계
3-10 제 4계
3-11 우리나라 지사
1-1. 지층
1-2 암상의 변화
1-3. 표준화석
2. 지질시대
2-1 지질시대의 구분
2-2. 지질연대이 측정
2-3 지구의 연령
2-4. 시생대와 원생대
2-5 고생대
2-6 고생대의 지각변동
2-7 중생대
2-8 중생대의 지각변동 및 기후
2-9 신생대 및 신생대 지각변동
3. 우리나라 지질시대.
3-1 우리나라 지질의 특징
3-2 결정편암계
3-3 화강편마암계
3-4 상원계
3-5 조선계
3-6 평안계
3-7 대동계
3-8 경상계
3-9 제 3계
3-10 제 4계
3-11 우리나라 지사
본문내용
분포 상태가 평안계와 달리 고립된 소지역으로 각처에 흩어져 있다.
3-7-1 선연통
역암, 사암, 세일 등으로 되어 있으며, 2∼3층의 무연탄층이 끼어 있다.
3-7-2 유경통
하부는 엷은 청회색 사암으로 되어 있고 상부는 갈색세일로 되어있다. 식물 화석 많다.
3-8 경상계
경상도에 분포해 있다.
3-8-1 낙동통
세일, 사암 및 역암으로 되어 있으며 국부적으로 질이 좋지 않은 석탄층이 1∼2층 끼어 있다
3-8-2 신라통
퇴적암 중에는 열과 연흔이 낙동통 보다 많이 발견되며, 식물화석이 포함되어 있고 두께는 3500m이다.
3-8-3 불국사통
대부분 선입암으로 되어 있고 약간의 화산암을 수반한다
3-9 제 3계
한국 전면적의 약 1.5%에 불과한 좁은 면적에 걸쳐 있는 제 3계는 주로 동해안 연안에 분포해 이으며 유연탄층을 끼고 있다. 종류로는 봉산통, 용동통, 장기통, 칠보산통이 있다
3-10 제 4계
4계는 아직 굳지않은 자갈, 모래, 점토, 토탄 등과 현무암류 및 조면암으로 되어 있다.
3-11 우리나라 지사.
3-11-1 시생대
결정편마암계를 이루는 퇴적암층이 두껍게 퇴적해 있는 것으로 보아 시생대의 바다가 우리나라를 덮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3-11-2 원생대
시생대의 변질된 퇴적암과 화강편마암등이 오랫동안 지표에서 침식을 받은 후 원생대의 바다가 칩입하였다
3-11-3 고생대
상원계가 조륙운동으로 육화한 다음 고생대의 제 1회 해침에 의하여 화석을 포함하는 양덕통이 퇴적하였다. 바다는 점점 깊어져서 대석회암층을 퇴적하였다.
3-11-4 중생대
한국에서는 중생대지층이 이른바 평안누층군의 상부층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보이나 그 경계는 아직까지도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트라이아스기 초기에 평안퇴적분지가 형성된 뒤 송림변동(松林變動)에 의해 육지화하고 한반도 각처에 이른바 대동퇴적분지가 형성되었다. 평양 부근을 비롯하여 남한의 충남퇴적분지 ·김포퇴적분지 ·단양퇴적분지 ·문경퇴적분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 분지에서는 주로 육성층이 형성되었으며 간혹 탄층이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대동퇴적분지에서 퇴적이 일어난 후 한국에서는 가장 격렬한 지각변동이 일어나 대동누층군(大同累層群)과 그 이전의 지층들이 복잡한 지질구조를 형성하였다. 이를 대보조산운동(大寶造山運動)이라고 한다. 대보조산운동 이후에는 소규모의 퇴적분지(묘곡층퇴적)가 나타났다. 그 후 영남지방을 중심으로 한 경상퇴적분지에 매우 두꺼운 육성층이 퇴적되었다. 백악기지층으로 알려진 경상누층군은 환태평양지역의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화산활동을 수반하였다. 경상누층군이 퇴적되고 불국사(佛國寺) 화성암류가 관입하면서 한국에서 중생대가 막을 내렸다.
3-11-4 신생대
불국사 시대의 화산활동은 신생대의 초기까지 계속하였다. 그러나 이시대에 이르러 한반도는 대략 현재와 같은 윤곽에 가까워졌으며, 동해안과 두만강 유역에는 앝은 호소와 분지가 있어서 제 3기층이 퇴적하였고 유연탄증을 만든 곳도 있다. 화산활동은 계속 되었으며, 마이오세에는 최후의 지각변동으로 정단층이 생겼다.
3-7-1 선연통
역암, 사암, 세일 등으로 되어 있으며, 2∼3층의 무연탄층이 끼어 있다.
3-7-2 유경통
하부는 엷은 청회색 사암으로 되어 있고 상부는 갈색세일로 되어있다. 식물 화석 많다.
3-8 경상계
경상도에 분포해 있다.
3-8-1 낙동통
세일, 사암 및 역암으로 되어 있으며 국부적으로 질이 좋지 않은 석탄층이 1∼2층 끼어 있다
3-8-2 신라통
퇴적암 중에는 열과 연흔이 낙동통 보다 많이 발견되며, 식물화석이 포함되어 있고 두께는 3500m이다.
3-8-3 불국사통
대부분 선입암으로 되어 있고 약간의 화산암을 수반한다
3-9 제 3계
한국 전면적의 약 1.5%에 불과한 좁은 면적에 걸쳐 있는 제 3계는 주로 동해안 연안에 분포해 이으며 유연탄층을 끼고 있다. 종류로는 봉산통, 용동통, 장기통, 칠보산통이 있다
3-10 제 4계
4계는 아직 굳지않은 자갈, 모래, 점토, 토탄 등과 현무암류 및 조면암으로 되어 있다.
3-11 우리나라 지사.
3-11-1 시생대
결정편마암계를 이루는 퇴적암층이 두껍게 퇴적해 있는 것으로 보아 시생대의 바다가 우리나라를 덮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3-11-2 원생대
시생대의 변질된 퇴적암과 화강편마암등이 오랫동안 지표에서 침식을 받은 후 원생대의 바다가 칩입하였다
3-11-3 고생대
상원계가 조륙운동으로 육화한 다음 고생대의 제 1회 해침에 의하여 화석을 포함하는 양덕통이 퇴적하였다. 바다는 점점 깊어져서 대석회암층을 퇴적하였다.
3-11-4 중생대
한국에서는 중생대지층이 이른바 평안누층군의 상부층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보이나 그 경계는 아직까지도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트라이아스기 초기에 평안퇴적분지가 형성된 뒤 송림변동(松林變動)에 의해 육지화하고 한반도 각처에 이른바 대동퇴적분지가 형성되었다. 평양 부근을 비롯하여 남한의 충남퇴적분지 ·김포퇴적분지 ·단양퇴적분지 ·문경퇴적분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 분지에서는 주로 육성층이 형성되었으며 간혹 탄층이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대동퇴적분지에서 퇴적이 일어난 후 한국에서는 가장 격렬한 지각변동이 일어나 대동누층군(大同累層群)과 그 이전의 지층들이 복잡한 지질구조를 형성하였다. 이를 대보조산운동(大寶造山運動)이라고 한다. 대보조산운동 이후에는 소규모의 퇴적분지(묘곡층퇴적)가 나타났다. 그 후 영남지방을 중심으로 한 경상퇴적분지에 매우 두꺼운 육성층이 퇴적되었다. 백악기지층으로 알려진 경상누층군은 환태평양지역의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화산활동을 수반하였다. 경상누층군이 퇴적되고 불국사(佛國寺) 화성암류가 관입하면서 한국에서 중생대가 막을 내렸다.
3-11-4 신생대
불국사 시대의 화산활동은 신생대의 초기까지 계속하였다. 그러나 이시대에 이르러 한반도는 대략 현재와 같은 윤곽에 가까워졌으며, 동해안과 두만강 유역에는 앝은 호소와 분지가 있어서 제 3기층이 퇴적하였고 유연탄증을 만든 곳도 있다. 화산활동은 계속 되었으며, 마이오세에는 최후의 지각변동으로 정단층이 생겼다.
추천자료
농업과학개론
2014년 1학기 교육과정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인간과사회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인간과심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성사랑사회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현대의서양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현대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일본고중세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대중영화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행정학과 정책학원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행정학과 행정사례연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유아교육과 유아교육과정 기말시험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