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음과 수표의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어음과 수표의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어음

약속어음

약속어음의 발행과 교환

수표
1.수표란
2.수표의 발행과 사용
3.당좌수표
4.가계수표

본문내용

형적인 형태의 수표이다.
(4)가계수표
가계수표는 개인의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취지에서 만들어진 개인 당좌수표를 말하는 것으로 수표의 발행방법,결제방법,교환제도,부도처리절차와 방법 등이 당좌수표와 별다른 차이가 없지만 기업이 아닌 개인이 발행주체가 된 다 는 점에서 당좌수표와 다르다. 또한 은행이 발행 및 지급자가 되는 자기앞수표와는 구별되어진다. 가계수표는 가계의 일상생활자금을 가계종합예금에 예치시켜두고 필요할 때마다 수표를 발행하여 지급결제수단으로 활용하는 제도로써 1981년부터 시행되어졌다. 현재는 일반가계수표, 은행보증가계수표, 은행공동 정액 보증 가계수표등 크게 세가지종류가 발행되어지고 있다. 가계수표는 가계종합예금 가입자가 예금 잔액 범위 내 에서 수표를 발행하면 수취인이 발행인의 신용을 믿고 그 수표를 받을 수 있다. 또한 가계수표를 이용하면 발행인은 현금을 소지할 때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예금 잔액에 대해서는 소정의 이자를 받을수 있으며 일정한 한도 내에서 대월을 이용할 수도 있다.1981년 7월 1일 도입하여 실시되기 시작하였으며,이 중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는 일반가계수표의 경우는 장당 발행 한도가 개인의 경우 100만 원, 자영업자의 경우 500만 원이며, 이자는 연 1.0 %이다.
가계수표제도는 현대사회의 주요한 특징으로 부각되고 있는 신용사회가 전반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바탕이 되며, 현금유통량의 억제수단으로서 국민의 은행에 대한 이용도를 한층 높여줌으로써 자금의 동원 및 배분의 집중성을 가져오고 현금의 손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계자금에 대한 금융서비스가 순수한 신용에 기반 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장기적으로 은행거래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제도이다. 이 중요성 때문에 한국은행은 불량 거래자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기 위해 은행에 대손 및 대지급
) consol 만기가 없어 원금은 상환하지 않고 매기간 이자만 지급하는 영구채를 가리킨다.
을 초래하게 한 거래자의 경우, 거래정지처분기간을 2년으로 정하고 있다. 또, 분실하였거나 도난 당했을 경우 거래은행에 사고 신고하면 그 사고수표에 대해 지급거절을 하게 된다. 수표를 발행하여 분실이나 도난 당했다고 거짓 신고하는 등의 악용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사고수표의 해당금액을 사고 신고 시 은행에 예탁하도록 하고, 사고 후 15일까지 해당경찰관서 발행 사고관계 증빙서류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5.01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82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