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P 원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DP 원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PDP소개

2. PDP역사

3. PDP구조

4. PDP발광원리

5. PDP특징

6. PDP동작

본문내용

V0가 인가되면 방전이 개시되고 방전공간에는 플라
스마가 형성되며, 이 플라스마 내 공간전하들은 서로 반대극성을 갖는 전극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AC PDP에서는 각 전극 위에 유전체가 도포되어 있으므로 이동된 공간전하들은 거의 대부분 유전체 위에 쌓이게 되며, 이들 유전체 위에 쌓인 전하들을 벽전하라 한다. 이들 벽전하에 의해 실제 방전공간상에 형성되는 전압은
V0 - Vw 가 된다. 방전이 지속될수록 벽전하량은 증가하고, 따라서 벽전압도 커지게 되므로 방전공간상에 형성되는 전압은 점점 감소하여 결국 방전은 자동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형성된 벽전하는 외부 전압이 0이 되더라도 없어지지 않고 그대로 유전체 위에 남아서 벽전하가 없는 셀과 벽전하가 있는 셀간에 큰 차이를 주게된다. 이제 외부전압의 극성을 바꾸어서 XY 전극에 인가한다면 벽전압의 극성과 외부 인가전압의 극성이 일치하게 되므로 종전에 인가했던 V0보다도 낮은 전압, Vs를 인가하여도 Vs + Vw > Vf의 조건을 만족하기만 하면 방전이 개시될 수 있다. 이때의 전압 Vs를 방전유지 전압이라 한다. 즉 벽전하가 이미 생성되어 있는 경우와 벽전하가 전혀 없는 두 경우에 방전개시를 위한 외부인가 전압의 최소값에 큰 차이가 있게 된다. 이것을 기억 또는 메모리 특성이라 한다. 셀들이 아무리 많더라도 AC PDP의 기억 특성을 이용하면 개별구동이 아닌 동시 다중구동이 가능하며, 다만 원하는 위치의 셀에 벽전하를 생성시키거나 소거시키는 작업이 가능하기만 하면 된다. 실제 PDP에서는 벽전하를 형성시키거나 소거시킬 때, 전체 셀들에 대한 액세스(access)가 가능하도록 매트릭스로 배열된 Y 전극과 신호 또는 어드레스 전극 A를 활용하며 유지방전을 위해서는 XY 전극을 활용한다.
AC-PDP 구동의 기본이 되는 ADS(Address Display-period Separation) 방식을 기초로 하여 전체 패널의 구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자. 옆 그림은 AC PDP의 전극배열 모식도이다. Yn과 Xn으로 표시된 전극들이 주 방전에 사용되는 주사 및 표시전극들이며 An으로 표시된 전극들이 어드레스 또는 신호 전극들이다. Yn 전극들은 어드레싱(addressing)에 사용되므로 주사(scan) 전극이라고도 하며, 이들 각 전극들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은 그림 9에 표시한 시간 도표(timing chart)에 잘 나타나 있다. 이 과정을 세 개의 단계로 나누어보면 먼저 전체 셀의 벽전하를 모두 균일하게 만드는 초기화 단계(reset), 특정 위치의 셀들 내에 벽전하를 형성시키기 위한 쓰기 방전단계(addressing) 그리고 표시(display)를 위한 유지방전(sustain) 등의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어드레싱과 표시를 시간적으로 완벽히 분리하여 AC PDP가 갖는 메모리 특성을 십분 활용하고 있다.
AC PDP에서 계조는 일반 브라운관인 CRT와는 달리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된다. CRT는 각 셀에 주사되는 전자빔의 강도를 아날로그적으로 변화시켜서 형광체의 발광 강도를 조절하지만
PDP에서는 방전 유지 펄스의 수를 차등화 함에 의하여 얻어지는데 이를 그림 7에 나타내었다. 256 계조의 구현을 위하여 1 TV 필드(16.7 ms)에 해당하는 시간을 모두 8개의 서브 필드(sub-field)로 구분하고 각 서브 필드 안에서 앞서 설명한 3 단계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각 서브 필드 안의 발광 횟수는 8 비트 (bit)로 차등화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어떤 특정 셀에 발광 휘도를 112 레벨로 하기 위해서는 4, 5, 6번째 서브 필드 (24 + 25 + 26 = 112)에서만 addressing을 해주면 되며, 휘도를 최대로 하기 위해선 모든 서브 필드에서 addressing을 수행하면 된다. 결국 한 장의 그림을 제대로 구성하기 위해서 8장의 불완전한 그림이 병렬로 합쳐지며 우리의 눈은 잔상 효과로 인하여 이를 구별하지 못한다. 이와 같은 ADS 방식은 현재 AC PDP 구동의 기본이 되고 있으나, 어드레싱에 필요한 시간이 전체 1 TV 필드 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표시시간 비율(display duty)이 저하되어 전체 휘도가 감소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 점을 개선하고자 요사이에는 표시시간 중에 어드레싱을 수행하는 AWD(addressing while display) 방식 및 이들의 변형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5.09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93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