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부모 가정의 현황과 문제점 해결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편부모 가정의 현황과 문제점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편부모 가족의 현황 통계

2. 편부모 가족의 개념

3. 편부모 가족이 겪어야할 문제점

4. 편부모 가족에 대한 대책연구

5. 편부모 가족에 대한 국가정책제도 및 각종서비스

6. 정부의 편부모 가족에 대한 요구안건

7. 편부모가족의 현황과 결론

8. 상담소

9. 참고서적

10. 힘을 얻을 수 있는 영화, 비디오

11. 참고문헌, 싸이트

본문내용

친구, 이웃을 이용하든지 간에 병원이나 다른 사회 기관과 적절한 유대관계를 맺어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경제적 문제는 특히 편모인 경우 그 문제가 심각하게 되는데, 이는 여성을 표준적이고 정당한 임금 생활자로 간주하여 소득에서의 성차별을 없애는 데서 그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편부모 가족은 이상적 가족에 대한 대중의 이미지로 인하여 고통을 받고 있으므로 이러한 고정적인 이미지를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즉 정부 정책이나 교육 및 다른 정책에서 폭 넓은 이해와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전문가들은 사회가 편부모가족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갖고 가족의 한 형태로 받아들여야 하며 편부모역할에 대한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을 늘려야 한다고 지적한다.
사회학자 함인희교수(이화여대)는 먼저 우리사회도 편부모가족에 대한 편견어린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함교수는 또 편부모 가족은 친척들과 활발하게 교류하고 친구를 많이 만들라고 강조했다.
같은 처지의 편부모끼리 모임을 갖는 것도 방법일 수 있다.
사회적 관계가 많은 편부모 가족일수록 필요한 도움을 효율적으로 주고받아 어려움을 쉽게 극복할 수 있다는 것.
여성학자 오숙희씨는 「조각부모가 아닙니다」란 글에서 우리사회도 편부모가족에 결손가족이라고 낙인찍을 것이 아니라 그 결손을 어떻게 보충할 수 있을 지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씨는 또 편부모들은 자신의 처지 때문에 우울증에 빠지기 쉬우나 우울증은 자신의 삶과 자녀의 삶을 황폐화한다며 잃은 것에 연연해할 것이 아니라 현재 있는 것을 소중히 가꿔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자의 결혼, 여자의 이혼」의 저자 김혜련씨는 「대안찾기―홀로서기」란 글에서 이혼한 사람들은 자유로움과 안정감을 누리면서도 아이에 대해서는 미안함과 불안함을 느낀다며 그러나 쓸데없는 자책감에서 벗어나 아빠 혹은 엄마로서 최선을 다한다는 자긍심을 갖고 이를 실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95년 말 편부모가구는 94만1천1백83가구로 총가구의 8.5%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실정이다.
※ 상담소
△ 가족과 성 상담소 02―643―3606
△ 한국가정법률상담연구소 교육원의 기러기교실 02―780―5688
△ 한국 이혼자 클럽 02―999―3431
△ 한국남성의 전화 이혼자 새출발 모임 02―652―0458
※ 참고서적
△ 딸들에게 희망을 (석탑) △ 이별 그리고 홀로서기 (국민일보사)
△ 마지못해 한 이혼 뜻밖의 행복 (석탑)
※ 힘을 얻을 수 있는 영화, 비디오
△ 우리들만의 집 △ 미망인의 계절 △ 안토니아스 라인 △ 후라이드 그린 토마토
△ 터미네이터2 △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 디스 보이스 라이프 △ 아빠만들기
※ 참고문헌, 싸이트
현대가족 복지론 - 이소희外 - 양서원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정재外 - 나남出
가족복지론 - 조흥식外 - 학지사
사회복지의 이해 - 김기태外 - 박영사
http://www.donga.com
http://www.womenlink.or.kr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5.09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94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