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우리의 낙태 현실_(문제제기)
낙태를 하는 이유
본론
낙태의 정의
낙태 방법
낙태의 문제점
낙태 찬반론
결론
낙태에 대한 나의 의견 및 해결 방안 모색-*
우리의 낙태 현실_(문제제기)
낙태를 하는 이유
본론
낙태의 정의
낙태 방법
낙태의 문제점
낙태 찬반론
결론
낙태에 대한 나의 의견 및 해결 방안 모색-*
본문내용
내가 도대체 낙태에 대하여 취하여야 할 태도는 무엇인가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낙태에 대하여 찬성? 아니면 반대? 아니면 절충적 입장? 참 어려운 일이다. 아까 제일 처음에(서론부분) 이중적 사고를 가지고 있다고 했지만, 나 역시 그런 사람들 중 하나였다. 주변에 강간당하여 임신을 한 처자가 있다면 난 분명히 낙태는 인정되어야 한다고 말할 지도 모르고, 인간적으로 살아 숨쉬는 태아를 죽이는 것은 도저히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면, 아직 눈도 제대로 뜨지 못한 그 조그마하고 예쁜 아기를 생각한다면 아마 낙태를 찬성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더군다나 낙태에 관한 그 끔직한 비디오를 보았다면 더 그러할 것이다 난 또다시 낙태에 대하여 반대를 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실제 낙태를 고려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서 '무조건 낙태반대'를 주장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성폭행 임신, 미혼모, 산모건강 위험 등의 경우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 실제 성폭행을 당해 임신하는 확률은 매우 적다. 또 24시간 내에 조치를 취하면 임신을 막을 수 있다. 미혼모에 대해서는 먼저 예방 적인 차원에서 성에 대한 바른 실제적인 교육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실 우리나라의 성교육은 실질적이지 못하고 너무도 현실적이지 못하다. 고등 학교때 받아본 성교육이라면 비디오가 고작일텐데... 것 또한 시대에 너무나 뒤떨어진 비디오거나 아직은 우리나라의 사회적 배경 때문인지 몰라도 성교육을 하는게 아니라 무슨 상상하라는 것처럼 느껴질 만큼 추상적이다. 시대는 이제 순결만 강조하는게 아니라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대비하게 위해서 피임이나 또 미혼모가 됐을 경우를 대비해야하겠다. 출산 할 수 있도록 정서적 환경적 제반 여건을 마련해 주고 만일 태어난 아기를 본인이 키울 의사가 있을 경우 이에 합당한 환경 즉, 직장과 가정적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만일 아기를 양육 할 의사가 없을 경우 다른 가정에 입양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우리나라가 고아 수출 1위 국이라는 사실에 분노만 할 것이 아니라 입양 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 가야할 것이다. 또 산모의 건강이 조금만 문제가 있어도 낙태해 버리는 성급함보다는 발달된 의학 기술을 사용해서 먼저 의학적으로 최선을 다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대부분의 낙태의 원인 남아선호사상, 이기주의 개인주의적 사고를 바꿔 가는 의식의 변화가 중요하다. 흔히들 낙태는 여성만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낙태는 우리 모두의 문제이다. 여성이 낙태하게 되는 대부분의 이유가 바로 사회와 남성위주문화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낙태법 개정, 미혼모 보호, 입양, 바른 성교육 등에 모든 사람들이 참여해야 한다. 낙태가 살인이라는 것을 가능한 많은 사람에게 알리고 낙태반대운동을 직접 참여하고 재정으로 지원해야 한다. 의학적이고 과학적인 타당성을 가지고 낙태문화를 알릴 수 있는 사람들을 양성하고 국회, 언론, 정부에 바른 정책을 요구해야 한다. 특히 낙태는 의료인들에게 많이 달려 있다. 낙태 현장에 있는 의료인들이 바른 의식을 가지고 생명을 구하는 일에 나서야 할 것이다. 시급한 과제는 올바른 성 윤리의 확립과 건전한 인간관계의 회복, 나아가서는 인간 생명이 지니는 존엄성에 대한 윤리의식의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일 것이다.
참고문헌 - 네이버 백과 사전
http://www.hli-korea.org/70.htm
http://www.hli-korea.org/7.htm
http://my.netian.com/~sajgj/
http://www.prolife.or.kr/life_frame.html
http://www.sangsaeng.org/mnu04.html
참고문헌 - 네이버 백과 사전
http://www.hli-korea.org/70.htm
http://www.hli-korea.org/7.htm
http://my.netian.com/~sajgj/
http://www.prolife.or.kr/life_frame.html
http://www.sangsaeng.org/mnu04.html
추천자료
생명복제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점
병원 윤리위원회
의료윤리
의료윤리
의료윤리의 개념
[A+레포트} 의료사고 사례 조사 및 의료윤리와 예방법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과 관련된 윤리적 딜레마에 대해서 토론하시오
동물실험과 관련된 연구자 윤리.ppt
우리나라 사회복지사의 윤리강령 전문을 살펴보고 보강 되어야 할 것과 수정해야 할 사항들에...
간호법, 간호법제정의 필요성, 간호법 제정의 진행과정 및 어려움, 간호법과 의료법의 비교
고위험모아간호학) 죽음앞둔 아동 의사소통 유념할점들 고위험모아간호학, 고위험신생아 분류...
간호의 특성(간호와 인접학문과의 관계, 간호학과 의학의 관계, 전문직업으로서의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