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드러진 인물로 성격의 독자성을 보이는 인물을 가리킨다. 그리고 개성은 사상에서보다 감정이나 본능 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이런 개성적인 인물들이 시대적 보편성으로 확대되면 전형적인 인물로 바뀔 수도 있다. 바람직한 것은 전형적이면서도 개성적인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역할에 따라 주요 인물, 즉 주인공과 주인공을 도와주는 부차적 인물로 나눌 수 있으며 주인공, 사건의 주체, 주동적 역할을 수행하는 긍정적 성격의 주동 인물과 주인공의 의지나 행위에 맞서 갈등 대립을 빚는 적대자, 갈등을 일으키는 부정적 성격의 반동 인물로 나눌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비극에서는 플롯을 중시하며 성격을 그 다음 요소로 설정하는 반면에 소설에서는 성격, 즉 인물설정을 가장 중요한 요소 설정하며 인물은 작품 속에 등장하는 사람, 즉 행위하는 주체로서 사건의 담당자이며 또한 그 사람의 성격을 뜻하며 소설에서 인물은 단순한 등장 인물이 아니라, 고유한 개성을 가진 인물이어야 한다. 그리고 인물들의 신분이나 성격, 모습 등이 다양하다. 하지만 비극에서는 고귀하고 도덕적인 인물을 내세우며 소설에서 말하는 평면적인 인물, 전형적인 인물을 설정한다. 하지만 소설에서는 고귀한 인물에서 비천한 인물, 비도덕적 인물에서 도덕적 인물에 이르는 아주 다양한 인물들을 다루며 플롯 또한 비극의 플롯 보다 좀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생겨난 plot과 character 개념은 지금의 소설의 plot과 character 개념에 영향을 주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비극에서는 플롯을 중시하며 성격을 그 다음 요소로 설정하는 반면에 소설에서는 성격, 즉 인물설정을 가장 중요한 요소 설정하며 인물은 작품 속에 등장하는 사람, 즉 행위하는 주체로서 사건의 담당자이며 또한 그 사람의 성격을 뜻하며 소설에서 인물은 단순한 등장 인물이 아니라, 고유한 개성을 가진 인물이어야 한다. 그리고 인물들의 신분이나 성격, 모습 등이 다양하다. 하지만 비극에서는 고귀하고 도덕적인 인물을 내세우며 소설에서 말하는 평면적인 인물, 전형적인 인물을 설정한다. 하지만 소설에서는 고귀한 인물에서 비천한 인물, 비도덕적 인물에서 도덕적 인물에 이르는 아주 다양한 인물들을 다루며 플롯 또한 비극의 플롯 보다 좀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생겨난 plot과 character 개념은 지금의 소설의 plot과 character 개념에 영향을 주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음을 알 수 있다.
추천자료
황순원 소설『소나기』의 심리주의적 비평적 접근
패러디란
형식주의 비평이란 무엇인가?
[문학텍스트][영상문화][상호연관성]문학텍스트와 영상문화의 상호연관성(문학텍스트, 다의적...
국문학사
브레히트의 생애와 연극관, 브레히트의 서사극연기 무대표현, 브레히트의 미학과 페미니즘 연...
2012년 1학기 문학비평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오이디푸스 왕’ 분석
[교육과정 내용 상세화][작품에서 사건의 전개와 배경의 관계를 파악한다][초등학교 6학년 1...
2013년 1학기 문학비평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철학] 그리스 신화나 그리스 비극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그리스 신화 혹은 그리스 비극의 특...
[시(시문학), 심상, 소통구조]시(시문학)의 개념, 시(시문학)의 생성, 시(시문학)의 심상, 시...
[소설][영화][고소설][신소설][조선전기소설][기독교문학][상징][소설론]소설과 영화, 소설과...
[희곡연구] 셰익스피어의 오셀로(Othello) - 외재적 접근 & 내재적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