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본 론
1. 공격성의 정의
2. 공격성 이론
(1) 본능에 의한 공격성
1) Freud
2) Lorenz
3)본능이론에 대한 비판
4)영화상에 나타난 본능에 의한 공격성
(2) 좌절에 의한 공격성
(3) 학습에 의한 공격성
1) 조건화 이론
2) 사회 학습 이론
(4). 공격성의 유발 요인들
1) 혐오(짜증나는) 사건들(경험)
2) 생리적 흥분(arousal)
3) 집단
4) 몰개성화(deindividualization)
결 론
공격성을 줄이는 방법
1) Catharsis(정화)
2) 공격에 대한 처벌강화
3) 대중매체의 역할
4) 보복에 대한 두려움을 갖도록 해야한다.
5) 가능한 한 좌절감(상대적 박탈감)을 줄여야 한다.
** 공격성 표출의 실례 -설 문 조 사
본 론
1. 공격성의 정의
2. 공격성 이론
(1) 본능에 의한 공격성
1) Freud
2) Lorenz
3)본능이론에 대한 비판
4)영화상에 나타난 본능에 의한 공격성
(2) 좌절에 의한 공격성
(3) 학습에 의한 공격성
1) 조건화 이론
2) 사회 학습 이론
(4). 공격성의 유발 요인들
1) 혐오(짜증나는) 사건들(경험)
2) 생리적 흥분(arousal)
3) 집단
4) 몰개성화(deindividualization)
결 론
공격성을 줄이는 방법
1) Catharsis(정화)
2) 공격에 대한 처벌강화
3) 대중매체의 역할
4) 보복에 대한 두려움을 갖도록 해야한다.
5) 가능한 한 좌절감(상대적 박탈감)을 줄여야 한다.
** 공격성 표출의 실례 -설 문 조 사
본문내용
양을 막론하고, 절대적인 이론임을 증명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3. 좌절을 일으킨 대상이 강력할때는 그것을 피하고, 상대적으로 만만한 대상에게 공격성을 배출하는가?
그러나, 좌절을 일으킨 대상이 강할때는 그를 바로 공격하지 못하고, 그와 유사하지만, 보다 만만한 대상에로 공격행동이 전이되어 나타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희생양삼기(scapegoating)이라고 한다.
정말 그러하다. 8.7% - 23.76명
그러하다. 40.5% - 108.24명
아니다. 40.9% - 108.24명
전혀 아니다. 9.8% - 26.4명
이번에는 희생양삼기라는 이론은 1.5%의 차이로 이 이론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50.7%)
4. 더운 날씨나, 고약한 냄새에도 공격성이 생기는가?
좌절-공격 가설의 최근의 수정이론은 좌절이 공격을 일으키는 것은 그 좌절이 분노와 같은 불쾌한 감정뿐만 아니라, 더운날씨나, 고약한 냄새같은 부적 자극상황도 포함되며, 이는 공격반응을 유발한다고 보았다.
정말 그러하다. 17% - 44.88명
그러하다. 48.9% - 129.36명
아니다. 28.8% - 76.56명
전혀 아니다. 5.3% - 13.2명
부적 자극상황에 대해서, 65.9%가 유발되었다고 하였으나, 유발되지 않는 사람들도 34.1%로 조사되었다.
5. 부모님의 공격적인 행동이나, tv등에서 폭력장면을 보고서, 어느덧, 따라하게 된다는 것을 느꼈는가?
공격행동에 대한 사회학습이론은 공격행동을 학습된 행동으로 본다. 즉 공격행동에 대한 부모의 강화와 처벌에 의해 공격행동이 학습될 뿐만 아니라, tv나 영화의 폭력장면에 대해서도 일어난다고 해석하고 있다.
정말 그러하다. 9.5% - 23.76명
그러하다. 34.1% - 89.76명
아니다. 41.7% - 110.88명
전혀 아니다. 14.8% - 39.6명
기성장한 대학생위주의 조사라서 그런지, 설문의 결과는 이론과는 반대로, 반대의견이 56.5%로 찬성의견보다 더 많은 비율을 보였다.
6. 공격성을 품고 있을때, 권투경기와 같은 스포츠나, 액션영화를 통해서 그 공격성이 해소된다고 생각하는가?
Freud의 관점에 의하면, 공격추동은 조금씩 방출하면서 줄어들면서, 공격행동의 표현이 후의 공격추동을 감소시키는 현상을 정화(catharsis)라고 한다. 이러한 정화는 직접공격뿐만 아니라, 대리공격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고 보았다.
정말 그러하다. 8.7% - 23.76명
그러하다. 29.9% - 79.2명
아니다. 44.3% - 116.16명
전혀 17.0% - 44.88명
대리공격에 의한 정화이론에 대해서도, 61.3%의 반대로 설문결과는 다른 내용을 보여주었다. 이는 다음 설문항목과 비교하여 생각해보기로 한다.
7. 공격성을 품고 있을때, 권투경기와 같은 스포츠나, 액션영화들을 본다면, 더욱더 공격성을 부추긴다고 생각하는가?
그러나 사회학습이론은 정반대의 예언을 한다. 즉, 미디어폭력의 시청은 모방학습을 일으켜 더욱더 공격행동을 조장시킬것이라고 보았다.
정말 그러하다. 6.8% - 18.48명
그러하다. 31.8% - 84.48명
아니다. 50.8% - 134.64명
전혀 아니다. 10.6% - 29.04명
대리공격에 의한 정화이론과 마찬가지로, 사회학습이론도 61.4%의 반대의견을 보였다.
이것 역시, 이미 교육을 받은 대학생의 심리적 성숙에 의해서, 공격성은 다른 방법으로 해결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9번 설문사항에서 생각해본다.
8. 무엇이 공격성을 자극하는가? (3개까지)
분노 35.5% - 92.4명
혼란 10.8% - 29.04명
절망 12.1% - 31.68명
우울증 9.8% - 26.4명
실망 8.3% - 21.12명
당황 2.8% - 7.92명
두려움과 불안 12.9% - 34.32명
죄책감 4.9% - 13.2명
슬픔 2.9% - 7.92명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에, 우리 대학생들의 공격성을 자극하는 요소의 58.4%를 차지하는, 분노, 혼란, 절망에 대하여 짧게 정리해 본다.
분노 - 원하는 바를 얻지 못했을 때 억지로 그것을 얻기 위해 화를 낸다. 이는 통제력을 되찾고, 논쟁따위에서 승리하거나, 누군가에 의해 욕망이 좌절되었을 경우에 그대로 앙갚음 하고 싶은 마음의 표현이다.
절망 - 절망감은 이미 여러 번 시도했지만 실패했을 경우에 느끼는 감정이다. 낙담한 사람이 한층 좌절하면 절망감을 느끼는데, 이는 스스로 포기할 것을 종용하는 심리상태이다.
혼란 - 혼란스러움은 무언가를 이해하지 못할 때 느끼는 감정이다. 결단을 피하고 다른 사람의 기대치에 맞춰 살기를 거부할 때 이런 감정을 보인다. 우리가 화를 낸다는 사실은 이들이 느끼는 혼란스러운 감정의 목적이 임무를 회피하는데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9. 당신에게 공격성이 유발되었을때, 무엇이 가장 그 공격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겠는가?
비공격행동으로 대응할 때 무엇인가의 보상을 준다. (칭찬,돈)
14.4% - 36.96명
부정적감정이 생겼을 때, 다른 긍정적인 생각으로 무마하게 만든다. (오락, 여가)
39% - 102.96명
공격행동을 하였을 때 처벌을 받게한다. (체벌, 벌금)
1.5% - 5.28명
상황을 잘 파악해서, 내가 왜 공격성이 생겼는지 조목조목 따져서 원인을 분석한다
13.6% - 36.96명
공격행동보다,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정확하게 전달하는 방법을 터득한다.
26.5% - 71.28명
이 조사는 앞선 설문에서의 정화현상에 대해서 결과를 찾기 위하여 추가된 설문으로서, 설문의 답변을 보면, 우리들은 보다 긍정적인 방법으로 우리의 공격성을 해소하는 성숙한 자세를 갖추고 있다고 생각된다.
10. 자신의 공격성에 대해서 생각해본적이 있는가?
생각 안한다. 18.2% - 47.52명
가끔 생각한다. 64% - 168.96명
자주 생각한다. 13.6% - 36.96명
항상 생각한다. 4.2% - 10.56명
마지막으로, 우리들이 우리의 공격성에 대해서 어느정도의 인식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3. 좌절을 일으킨 대상이 강력할때는 그것을 피하고, 상대적으로 만만한 대상에게 공격성을 배출하는가?
그러나, 좌절을 일으킨 대상이 강할때는 그를 바로 공격하지 못하고, 그와 유사하지만, 보다 만만한 대상에로 공격행동이 전이되어 나타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희생양삼기(scapegoating)이라고 한다.
정말 그러하다. 8.7% - 23.76명
그러하다. 40.5% - 108.24명
아니다. 40.9% - 108.24명
전혀 아니다. 9.8% - 26.4명
이번에는 희생양삼기라는 이론은 1.5%의 차이로 이 이론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50.7%)
4. 더운 날씨나, 고약한 냄새에도 공격성이 생기는가?
좌절-공격 가설의 최근의 수정이론은 좌절이 공격을 일으키는 것은 그 좌절이 분노와 같은 불쾌한 감정뿐만 아니라, 더운날씨나, 고약한 냄새같은 부적 자극상황도 포함되며, 이는 공격반응을 유발한다고 보았다.
정말 그러하다. 17% - 44.88명
그러하다. 48.9% - 129.36명
아니다. 28.8% - 76.56명
전혀 아니다. 5.3% - 13.2명
부적 자극상황에 대해서, 65.9%가 유발되었다고 하였으나, 유발되지 않는 사람들도 34.1%로 조사되었다.
5. 부모님의 공격적인 행동이나, tv등에서 폭력장면을 보고서, 어느덧, 따라하게 된다는 것을 느꼈는가?
공격행동에 대한 사회학습이론은 공격행동을 학습된 행동으로 본다. 즉 공격행동에 대한 부모의 강화와 처벌에 의해 공격행동이 학습될 뿐만 아니라, tv나 영화의 폭력장면에 대해서도 일어난다고 해석하고 있다.
정말 그러하다. 9.5% - 23.76명
그러하다. 34.1% - 89.76명
아니다. 41.7% - 110.88명
전혀 아니다. 14.8% - 39.6명
기성장한 대학생위주의 조사라서 그런지, 설문의 결과는 이론과는 반대로, 반대의견이 56.5%로 찬성의견보다 더 많은 비율을 보였다.
6. 공격성을 품고 있을때, 권투경기와 같은 스포츠나, 액션영화를 통해서 그 공격성이 해소된다고 생각하는가?
Freud의 관점에 의하면, 공격추동은 조금씩 방출하면서 줄어들면서, 공격행동의 표현이 후의 공격추동을 감소시키는 현상을 정화(catharsis)라고 한다. 이러한 정화는 직접공격뿐만 아니라, 대리공격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고 보았다.
정말 그러하다. 8.7% - 23.76명
그러하다. 29.9% - 79.2명
아니다. 44.3% - 116.16명
전혀 17.0% - 44.88명
대리공격에 의한 정화이론에 대해서도, 61.3%의 반대로 설문결과는 다른 내용을 보여주었다. 이는 다음 설문항목과 비교하여 생각해보기로 한다.
7. 공격성을 품고 있을때, 권투경기와 같은 스포츠나, 액션영화들을 본다면, 더욱더 공격성을 부추긴다고 생각하는가?
그러나 사회학습이론은 정반대의 예언을 한다. 즉, 미디어폭력의 시청은 모방학습을 일으켜 더욱더 공격행동을 조장시킬것이라고 보았다.
정말 그러하다. 6.8% - 18.48명
그러하다. 31.8% - 84.48명
아니다. 50.8% - 134.64명
전혀 아니다. 10.6% - 29.04명
대리공격에 의한 정화이론과 마찬가지로, 사회학습이론도 61.4%의 반대의견을 보였다.
이것 역시, 이미 교육을 받은 대학생의 심리적 성숙에 의해서, 공격성은 다른 방법으로 해결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9번 설문사항에서 생각해본다.
8. 무엇이 공격성을 자극하는가? (3개까지)
분노 35.5% - 92.4명
혼란 10.8% - 29.04명
절망 12.1% - 31.68명
우울증 9.8% - 26.4명
실망 8.3% - 21.12명
당황 2.8% - 7.92명
두려움과 불안 12.9% - 34.32명
죄책감 4.9% - 13.2명
슬픔 2.9% - 7.92명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에, 우리 대학생들의 공격성을 자극하는 요소의 58.4%를 차지하는, 분노, 혼란, 절망에 대하여 짧게 정리해 본다.
분노 - 원하는 바를 얻지 못했을 때 억지로 그것을 얻기 위해 화를 낸다. 이는 통제력을 되찾고, 논쟁따위에서 승리하거나, 누군가에 의해 욕망이 좌절되었을 경우에 그대로 앙갚음 하고 싶은 마음의 표현이다.
절망 - 절망감은 이미 여러 번 시도했지만 실패했을 경우에 느끼는 감정이다. 낙담한 사람이 한층 좌절하면 절망감을 느끼는데, 이는 스스로 포기할 것을 종용하는 심리상태이다.
혼란 - 혼란스러움은 무언가를 이해하지 못할 때 느끼는 감정이다. 결단을 피하고 다른 사람의 기대치에 맞춰 살기를 거부할 때 이런 감정을 보인다. 우리가 화를 낸다는 사실은 이들이 느끼는 혼란스러운 감정의 목적이 임무를 회피하는데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9. 당신에게 공격성이 유발되었을때, 무엇이 가장 그 공격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겠는가?
비공격행동으로 대응할 때 무엇인가의 보상을 준다. (칭찬,돈)
14.4% - 36.96명
부정적감정이 생겼을 때, 다른 긍정적인 생각으로 무마하게 만든다. (오락, 여가)
39% - 102.96명
공격행동을 하였을 때 처벌을 받게한다. (체벌, 벌금)
1.5% - 5.28명
상황을 잘 파악해서, 내가 왜 공격성이 생겼는지 조목조목 따져서 원인을 분석한다
13.6% - 36.96명
공격행동보다,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정확하게 전달하는 방법을 터득한다.
26.5% - 71.28명
이 조사는 앞선 설문에서의 정화현상에 대해서 결과를 찾기 위하여 추가된 설문으로서, 설문의 답변을 보면, 우리들은 보다 긍정적인 방법으로 우리의 공격성을 해소하는 성숙한 자세를 갖추고 있다고 생각된다.
10. 자신의 공격성에 대해서 생각해본적이 있는가?
생각 안한다. 18.2% - 47.52명
가끔 생각한다. 64% - 168.96명
자주 생각한다. 13.6% - 36.96명
항상 생각한다. 4.2% - 10.56명
마지막으로, 우리들이 우리의 공격성에 대해서 어느정도의 인식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추천자료
인간심리 이해 우울증
인간심리의 이해-내 경험 분석하기
의상심리, 색에 대한 인간의심리
우울증 발표자료
(인간과심리B형)지능과 창의성에 관한 이론들 중에서 2개를 선정하여 비교논하시오-지능창의...
문학과인간심리 가족의 기능 해체
[인간과 심리]인간의 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환경에 의해 결정 되는가는 심리학에서...
인간과 심리 : 심리학의 주요 이론 중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
인간人間과 심리(공통) 심리학의 주요 이론(정신분석, 행동주의, 인본주의)의 이상행동 비교,...
[인간과 심리 공통] 인간의 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혹은 환경에 의해 결정 되는가는 ...
[인간과 심리] 당신의 청소년기를 되돌아보고, 청소년기에 가장 힘들었던 점은 무엇이었는지...
[독후감] 언씽커블 - 생존을 위한 재난재해 보고서 (아만다 리플리 저자) (서평, 독후감상문...
친밀한 인간관계 혹은 밀접한 인간관계의 심리학적 특징에 대해서 조사하고 조사한 내용을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