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자료수집
1) 대상자의 건강 양상
2) 대상자의 건강력
3) 신체검진
Ⅱ. 질병의 이해
1. 농약중독의 원인
1) 부적절한 사용에 의한 농약 중독
2) 농부의 중독
3) 사고에 의한 중독
4) 만성 농약 중독
2. 농약의 정의
3. 약의 용량과 독성
4. 약물섭취와 증상 발현시간
5. 독극물의 조직에 대한 독작용
3) 효소반응
4) 세포막의 기능적 변성
6. 농약중독의 진단
1) 노출력(history of exposure)
2) 전형적인 임상증세
3) 검사실 소견
7. 농약중독의 치료
1) 독극물의 제거
2) 보존적 치료(supportive treatment)
Ⅲ. 진단검사(Lab Data)
1) 일반혈액검사
2) 일반화학검사
2) 일반화학검사의 종합적 의의
3) 특수 혈액검사
3) 특수혈액 검사의 종합적 의의
4) 혈액가스검사(ABGA)
4) 헐액가스검사의 종합적 의의
5) 뇨검사
6) Chest PA(AP)
Ⅳ. 경구, 비경구적 투약 및 정맥주입
1) 경구/비경구적 약물
2) 정맥주입
1) 대상자의 건강 양상
2) 대상자의 건강력
3) 신체검진
Ⅱ. 질병의 이해
1. 농약중독의 원인
1) 부적절한 사용에 의한 농약 중독
2) 농부의 중독
3) 사고에 의한 중독
4) 만성 농약 중독
2. 농약의 정의
3. 약의 용량과 독성
4. 약물섭취와 증상 발현시간
5. 독극물의 조직에 대한 독작용
3) 효소반응
4) 세포막의 기능적 변성
6. 농약중독의 진단
1) 노출력(history of exposure)
2) 전형적인 임상증세
3) 검사실 소견
7. 농약중독의 치료
1) 독극물의 제거
2) 보존적 치료(supportive treatment)
Ⅲ. 진단검사(Lab Data)
1) 일반혈액검사
2) 일반화학검사
2) 일반화학검사의 종합적 의의
3) 특수 혈액검사
3) 특수혈액 검사의 종합적 의의
4) 혈액가스검사(ABGA)
4) 헐액가스검사의 종합적 의의
5) 뇨검사
6) Chest PA(AP)
Ⅳ. 경구, 비경구적 투약 및 정맥주입
1) 경구/비경구적 약물
2) 정맥주입
본문내용
se를 1일 3-4회 흡입. 최대용량 : 1 mg
점안제 : 0.5%
·안과적 처치 전 1-3일간 1일 2회 1-2방울씩 점안한다.
성인 (0.5 mg 미만의 저용량은 역설적 서맥과 관련있다.)
부전수축
·정맥주사 : 1 mg을 투여. 필요시 3-5분마다 반복할 수 있다.
·기관내투여 : 1 mg/10 mL 희석액만 사용할 수 있고 정맥주사용량의 2-2.5배를 투여한다.
마취전처치 : 근육주사, 정맥주사, 피하주사
·0.4-0.6 mg을 수술전 30-60분에 투여하고 필요시 4-6시간마다 반복한다.
서맥
·정맥주사 : 0.5-1 mg을 5분 간격으로 투여. 총 3 mg 또는 0.04 mg/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기관내투여 : 1 mg/10 mL 희석액만 사용할 수 있고 정맥주사용량의 2-2.5배를 투여한다.
근신경 차단의 반전
·정맥주사
·25-30 g/kg을 neostigmine 투여 30초 전에 정맥주사
·10 g/kg을 edrophonium 투여 30초 전에 정맥주사
유기인 및 carbamate 중독 ★
·정맥주사
·1-2 mg/dose을 atropine 효과 (즉 피부건조, 조홍, 빈맥, 산동, 발열)가 나타날 때까지 10-20분마다 투여한 후, 이후 최소한 24시간 동안 1-4시간 간격으로 투여한다.
·심한 중독시에는 처음 24시간 동안 50 mg까지 투여한 후 수일에 걸쳐 2 g까지 투여할 수 있다.
점안제 : 1%
·안과적 처치 1시간 전에 1-2방울을 점안한다.
·포도막염 : 1-2방울을 1일 4회 점안한다.
안연고 : 1일 3회까지 결막낭에 소량을 점안. 점안 후 1-3분 동안 누낭을 손으로 눌러줌
(3) 부작용
자주 일어나는 부작용
·국소 : 주사부위의 자극감
·위장관계 : 위장관운동 장애, 변비, 구갈, 인후 건조
·피부 : 건조, 피부열감(hot skin)
·호흡기계 : 코 건조
·기타 : 발한 감소
가끔 일어나는 부작용
·내분비계 및 대사 : 유즙분비 감소
·위장관계 : 연하곤란
·피부 : 광민감성 증가
드물게 일어나는 부작용
·근신경 및 골격계 : 진전, 쇠약
·눈 : 안내통증 증가, 시야몽롱, 산동
·비뇨생식계 : 배뇨곤란
·심혈관계 : 기립성저혈압, 빈맥, 심계항진, 심실세동
·위장관계 : 팽만감, 오심, 구토
·중추신경계 : 혼동, 졸음, 운동실조, 피로, 섬망(delirium), 두통, 기억상실, 초조. 노인에서 혼동, 환각의 위험성이 더 높을 수 있다.
·피부 : 피부발진
약물
용량
적응증
부작용
Amikacin sulfate
15mg/kg/day, 2~3 회 분할 투여 IM, IV
1.Gentamicin이나
tobramycin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그람 음성균에 의한 감염 치료 : 골 감염, 호흡기 감염, 심내막염, 패혈증 치료
2.Pseudomonas,Proteus, Serratia와 그람 양성 포도상구균을 포함해 amikacin에 감수성이 있는 균에 의한 감염 치료
제8뇌신경장애(이명,난청,현기), 신장독성, 신경독성, 과민증상, 일과성의 두통, shock
Beecom hexa
1amp/dayIM, IV slowly
Vitamin B 복합체
약물
용량
적응증
부작용
Pralidoxime HCI
500mg/20㎖ vial
(Inj.)
1일 1회 NS 100ml에 1∼2g을 용해하여 30분이상 IV infusion, 필요시 반복주사 가능.
유기인 중독 해독제
(parathione, methylparathione 등)
현기, 복시, 졸음, 두통, 쓴맛, 구역, 빈맥, 부정맥
Cefotetan
성인 : 1회 0.5~1g, 1
일 2회 IV, IV
infusion(중증:4g/day)
소아 : 40~60mg/kg/day, 2~3회 분할 IV, IV infusion (중증:100mg/kg/day)
감수성 있는 세균에 의한 감염 치료, 주로 패혈증, 호흡기계, 피부, 뼈나 관절 부위의 감염, 요로감염 및 부인과적 감염에 사용
구내이상감, 현운, 변의, 발한, 발열, 발진, 소양감, 과립구.혈소판감소, 호산구증다, 용혈성빈혈, SGOT.SGPT상승, candidasis, 저prothrombin혈증, 오심, 구토
Ranitidine HCI
Inj : 50mg q 6∼8hrs IM, IV(max. dose: 400∼600mg/day)
H2 antagonist, 위,십이지장궤양에 적용됨.
Headache, malaise, dizziness, somnolence, insomenia, vertigo, confusion, constipation, nausa, vomiting
Clindamycin
Inj: 600∼1200mg/day in 3∼4 divided doses IM, IV
Topical soln: 1일 1회 환부에 도포
혐기성 항균제
Nausea, vomitting, 설사, 복부통증, rash, GOT, GPT 상승.
Metoclopramide
Inj: 소화기능 이상시 1회 10mgIV(1∼2분 이상) 제토제로서 항암제 투여 30분전에 2mg/kg IV(15분 이상), IM 필요시 2∼3시간마다 반복 투여
소화기능이상 치료제, 제토제
쇽,악성신경마비 증후군,추체외로 증상,권태,발진,부종,복통,설사
Ⅵ. 참고 문헌
* 송미순 외 3인/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1996
* 이향련 외 6인/ 간호진단 프로토콜/ 수문사/ 1990
* 건양대학교 병원 약전
* 김조자 외 3인/ 성인간호학 상(1)/ 현문사/ 2000
* 곽성규 외 4인/ 병리학 / 정문각/ 2000
* 유지수 / 임상약리학 /현문사/ 1996
* 이은옥, 서문자, 김매자 외 / 간호진단과 중재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 Sigma Theta Tau Lambda, Alpha Chapter-At-Large 편 / 간호임상메뉴얼 / 현문사/ 1997
* 김명자 외 6인/ 기본간호학(상)/ 현문사/ 1999
* http://www.schch.co.kr/schlab.htm
* 김세은 저/ 응급약리학/ 서울: 현문사/ 1997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편/ 임상약리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점안제 : 0.5%
·안과적 처치 전 1-3일간 1일 2회 1-2방울씩 점안한다.
성인 (0.5 mg 미만의 저용량은 역설적 서맥과 관련있다.)
부전수축
·정맥주사 : 1 mg을 투여. 필요시 3-5분마다 반복할 수 있다.
·기관내투여 : 1 mg/10 mL 희석액만 사용할 수 있고 정맥주사용량의 2-2.5배를 투여한다.
마취전처치 : 근육주사, 정맥주사, 피하주사
·0.4-0.6 mg을 수술전 30-60분에 투여하고 필요시 4-6시간마다 반복한다.
서맥
·정맥주사 : 0.5-1 mg을 5분 간격으로 투여. 총 3 mg 또는 0.04 mg/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기관내투여 : 1 mg/10 mL 희석액만 사용할 수 있고 정맥주사용량의 2-2.5배를 투여한다.
근신경 차단의 반전
·정맥주사
·25-30 g/kg을 neostigmine 투여 30초 전에 정맥주사
·10 g/kg을 edrophonium 투여 30초 전에 정맥주사
유기인 및 carbamate 중독 ★
·정맥주사
·1-2 mg/dose을 atropine 효과 (즉 피부건조, 조홍, 빈맥, 산동, 발열)가 나타날 때까지 10-20분마다 투여한 후, 이후 최소한 24시간 동안 1-4시간 간격으로 투여한다.
·심한 중독시에는 처음 24시간 동안 50 mg까지 투여한 후 수일에 걸쳐 2 g까지 투여할 수 있다.
점안제 : 1%
·안과적 처치 1시간 전에 1-2방울을 점안한다.
·포도막염 : 1-2방울을 1일 4회 점안한다.
안연고 : 1일 3회까지 결막낭에 소량을 점안. 점안 후 1-3분 동안 누낭을 손으로 눌러줌
(3) 부작용
자주 일어나는 부작용
·국소 : 주사부위의 자극감
·위장관계 : 위장관운동 장애, 변비, 구갈, 인후 건조
·피부 : 건조, 피부열감(hot skin)
·호흡기계 : 코 건조
·기타 : 발한 감소
가끔 일어나는 부작용
·내분비계 및 대사 : 유즙분비 감소
·위장관계 : 연하곤란
·피부 : 광민감성 증가
드물게 일어나는 부작용
·근신경 및 골격계 : 진전, 쇠약
·눈 : 안내통증 증가, 시야몽롱, 산동
·비뇨생식계 : 배뇨곤란
·심혈관계 : 기립성저혈압, 빈맥, 심계항진, 심실세동
·위장관계 : 팽만감, 오심, 구토
·중추신경계 : 혼동, 졸음, 운동실조, 피로, 섬망(delirium), 두통, 기억상실, 초조. 노인에서 혼동, 환각의 위험성이 더 높을 수 있다.
·피부 : 피부발진
약물
용량
적응증
부작용
Amikacin sulfate
15mg/kg/day, 2~3 회 분할 투여 IM, IV
1.Gentamicin이나
tobramycin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그람 음성균에 의한 감염 치료 : 골 감염, 호흡기 감염, 심내막염, 패혈증 치료
2.Pseudomonas,Proteus, Serratia와 그람 양성 포도상구균을 포함해 amikacin에 감수성이 있는 균에 의한 감염 치료
제8뇌신경장애(이명,난청,현기), 신장독성, 신경독성, 과민증상, 일과성의 두통, shock
Beecom hexa
1amp/dayIM, IV slowly
Vitamin B 복합체
약물
용량
적응증
부작용
Pralidoxime HCI
500mg/20㎖ vial
(Inj.)
1일 1회 NS 100ml에 1∼2g을 용해하여 30분이상 IV infusion, 필요시 반복주사 가능.
유기인 중독 해독제
(parathione, methylparathione 등)
현기, 복시, 졸음, 두통, 쓴맛, 구역, 빈맥, 부정맥
Cefotetan
성인 : 1회 0.5~1g, 1
일 2회 IV, IV
infusion(중증:4g/day)
소아 : 40~60mg/kg/day, 2~3회 분할 IV, IV infusion (중증:100mg/kg/day)
감수성 있는 세균에 의한 감염 치료, 주로 패혈증, 호흡기계, 피부, 뼈나 관절 부위의 감염, 요로감염 및 부인과적 감염에 사용
구내이상감, 현운, 변의, 발한, 발열, 발진, 소양감, 과립구.혈소판감소, 호산구증다, 용혈성빈혈, SGOT.SGPT상승, candidasis, 저prothrombin혈증, 오심, 구토
Ranitidine HCI
Inj : 50mg q 6∼8hrs IM, IV(max. dose: 400∼600mg/day)
H2 antagonist, 위,십이지장궤양에 적용됨.
Headache, malaise, dizziness, somnolence, insomenia, vertigo, confusion, constipation, nausa, vomiting
Clindamycin
Inj: 600∼1200mg/day in 3∼4 divided doses IM, IV
Topical soln: 1일 1회 환부에 도포
혐기성 항균제
Nausea, vomitting, 설사, 복부통증, rash, GOT, GPT 상승.
Metoclopramide
Inj: 소화기능 이상시 1회 10mgIV(1∼2분 이상) 제토제로서 항암제 투여 30분전에 2mg/kg IV(15분 이상), IM 필요시 2∼3시간마다 반복 투여
소화기능이상 치료제, 제토제
쇽,악성신경마비 증후군,추체외로 증상,권태,발진,부종,복통,설사
Ⅵ. 참고 문헌
* 송미순 외 3인/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1996
* 이향련 외 6인/ 간호진단 프로토콜/ 수문사/ 1990
* 건양대학교 병원 약전
* 김조자 외 3인/ 성인간호학 상(1)/ 현문사/ 2000
* 곽성규 외 4인/ 병리학 / 정문각/ 2000
* 유지수 / 임상약리학 /현문사/ 1996
* 이은옥, 서문자, 김매자 외 / 간호진단과 중재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 Sigma Theta Tau Lambda, Alpha Chapter-At-Large 편 / 간호임상메뉴얼 / 현문사/ 1997
* 김명자 외 6인/ 기본간호학(상)/ 현문사/ 1999
* http://www.schch.co.kr/schlab.htm
* 김세은 저/ 응급약리학/ 서울: 현문사/ 1997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편/ 임상약리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추천자료
흉부좌상 케이스(성인간호)
중환자실 폐렴, 협심증 case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
위암 케이스
신경외과 중환자실 뇌종양 case 간호진단, 인공호흡기, 동맥혈 가스분석 자료
NICU 신생아 중환자실 실습 황달 case study
ICH뇌내출혈 케이스
소아과 케이스 스터디
정신간호학케이스(Bipolar affective disorder(양극성정동장애))
[아동간호학][미숙아][저체중아][Premturity]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폐렴][pneumoni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ICU 케이스]
[실습 보고서]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 뇌내출혈, cerebral infarction-뇌경색 간...
소아폐렴 케이스 스터디 (A+++)
DI(Drug intoxica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