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건축의 시작
본론 - 유럽의 사조별 건축양식
1.고전건축
(1) 그리스 건축
(2) 로마 건축
2. 중세건축
(1) 초기 기독교 건축
(2) 비잔틴 건축
(3) 사라센 건축
(4) 로마네스크 건축
(5) 고딕 건축
3.근세건축
(1) 르네상스 건축
(2) 바로크 건축
4. 근‧현대건축
(1) 신고전주의
(2) 낭만주의
(3) 절충주의
결론
본론 - 유럽의 사조별 건축양식
1.고전건축
(1) 그리스 건축
(2) 로마 건축
2. 중세건축
(1) 초기 기독교 건축
(2) 비잔틴 건축
(3) 사라센 건축
(4) 로마네스크 건축
(5) 고딕 건축
3.근세건축
(1) 르네상스 건축
(2) 바로크 건축
4. 근‧현대건축
(1) 신고전주의
(2) 낭만주의
(3) 절충주의
결론
본문내용
로 만들기로 계획하고 건축가 칼 랑간스, 다피트 길리 등을 불러들였다. 이러한 노력으로 독일은 신고전주의 건축을 가장 강하게 추구하고 잘 이해하는 나라가 되었다. 특히 길리의 제자 싱켈은 1815년 궁정건축가가 되어 베를린을 이성적인 그리스 양식 건축물의 도시로 바꾸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알테스 미술관은 그의 대표작이다.
[프랑스의 개선문]
(2) 낭만주의(Romanticism) 건축
고전복원의 신고전주의 건축이 자신들과 시간, 거리상으로 먼 이국적 양식을 도입하고 건물외관의 피상적 형태를 추구하는데 반발하여 고대보다는 당시와 시간적으로 가까우며 자기 국가와 민족의 기원으로 삼고 있던 중세의 고딕양식에 주목했다. 오거스투스 퓨긴은 <고딕건축 실례집(1821~23년)>을 출판하여 고딕건축을 전파
낭만주의 건축의 특성은 신고전주의 건축이 그리이스와 로마의 고전건축에 열중한 반면 낭만주의 건축은 중세의 고딕건축에 관심을 가졌고 자신들의 국가와 민족의 기원이 중세에 있는 것을 보고 중세를 낭만주의의 이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구조와 재료의 정직한 표현이라는 진실성이 반영된 고딕건축이 양식과 방법을 그대로 유지하려고 시도
①영국의 낭만주의 건축
낭만주의 건축의 발상지로서 유럽에 전파하였고 영국의 낭만주의 건축은 후에 19세기말의 현대건축운동인 미술공예운동을 유발시켰다. 대표적인 건축물호는 찰스 베리경(Sir Charles Barry, 1795~1860년)의 영국 국회의사당, 런던, 1835~60년, 고딕양식을 재현한 건물이 있다.
②프랑스의 낭만주의 건축
신고전주의 건축이 활발했으므로 낭만주의 건축은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대표적인 건축가 비올레 르 뒨(Viollet-le-Duc, 1814~79년)는 중세건축의 연구를 통해 고딕건축의 구조적 합리성과 우수성을 지적하고 모든 건축형태는 재료와 구조의 논리적 사용에 의해 결정된다는 구조합리주의 이론의 주장했다. 비올레 르 뒨의 구조합리주의 이론은 후에 현대 건축에 영향을 미쳤다.
③독일의 낭만주의 건축
고딕양식이랴말로 진정한 게르만적 양식이라고 생각되어 쾰른 성당, 울름성당 등 중세성당들을 중수했다.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에르스텔(Heinrich Eerstel, 1828~83년)의 보티브성당, 비인(1853~79년)이 있다.
(3) 절충주의(Eclecticism) 건축
그리이스, 로마 위주의 신고전주의 건축과 고딕 위주의 낭만주의 건축을 통해 과거 건축양식의 복원에 의한 새로운 건축양식의 접근방법을 습득하였다. 활발하고 광범위한 역사의 연구를 통하여 과거 건축양식 전반에 관한 지식이 증대시켰고 과거양식에 관한 객관적 이해와 평가로 사라센, 비잔틴, 바로크 등 건축양식 선택대상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절충주의 건축의 특징은 그리이스, 로마 위주의 신고전주의 건축과 고딕위주의 낭만주의 건축처럼 일정한 양식에 국한 되지 않고 과거의 모든 양식을 이용하였고 또한 과거양식의 절충을 통하여 새로운 양식의 창조를 시도하였다. 일정한 기준이 없이 건축가의 주관에 의해 각종 양식을 선택하거나 종합한 건축이다.
①프랑스의 절충주의 건축
신고전주의 건축이 발달하였으므로 그리이스, 로마 양식을 기본으로한 절충주의 건축이 성행했다. 대표적인 프랑스의 절충주의 건축물로 바로크 양식에 르네상스 양식을 혼합한 신바로크 양식의 건물로 샤를르 가르니에(Charles Garnier, 1825~98년)의 파리 오페라 하우스(파리, 1861~74년)와 새로운 재료인 철을 구조체로 사용하여 과거양식을 재현한 건물 앙리 라스루스테(Henri Labrouste, 1701~75년)의 파리의 국립도서관과 성 쥬느비에 도서관이 있다.
② 영국의 절충주의 건축
비잔틴 양식을 기본으로 하여 여러 양식을 절충했다. 대표적인 영국의 절충주의 건축찰스 베리경 (Sir Charles Barry, 1795~1860년)의 리폼 클럽( 런던, 1834년), 여행자 클럽(런던, 1829년), 존 프란시스 벤트리(John Francis Bently, 1839~1902년)의 웨스트민스터 사원(런던, 1895~1903년)이 있다.
③ 독일의 절충주의 건축
이탈리아 르네상스 양식을 기본으로 한 신르네상스 양식이 성행했다. 대표적인 독일의 절충주의 건축물은 독일 절충주의 건축의 거장 고드프리드 젬퍼(Gottfried Semper, 1803~79년)의 국립 가극장(드레스덴, 1837~41년), 부르그 극장(비인, 1873~88년)이 있다.
- 결론 -
유럽의 사조별 건축양식을 조사하면서 느낀 점은 건축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그 나라의 독특한 문화이자 예술이고 그 시대의 생활과 과학 기술력을 알아볼 수 있는 훌륭한 재산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기술의 발달로 더욱 현란한 건축물을 세울 수 있게 된 지금 예술적 가치는 물론이고 최소한의 품격조차 찾아볼 수 없는 건물들이 우후죽순처럼 세워지는 현상은 매우 안타깝다. 21세기 초에 들면서 건축가의 역할은 위축되고 있다. 위대한 신전들이 수천 년 동안 살아남아서 우리에게 자극을 주었듯이 산업혁명 이전의 건축가들처럼 이 시대의 건축가들도 상상력을 통하여 보다 훌륭한 건축물을 만들 수 있기를 희망한다.
우아한 미를 가지고 있는 그리스 신전, 웅장한 로마의 콜로세움등 수백년이 지난 지금 보아다 매우 정교하고 아름다운 건축물들이다. 아직 유럽 여행 경험이 없어서 사진이나 동영상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유럽의 건축물들을 보는데 만족하고 있지만 기회가 된다면 유럽여행을 가서 웅장하고 아름다운 건축물들을 몸으로 느끼고 싶다.
- 참고문헌 -
조너선 글랜시 (강주헌 옮김, 2001/6)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건축의 역사" 시공사
빌 리제베로 (오덕성 옮김, 2000/ 9/ 20)"서양 건축 이야기" 한길아트
윤정근 외 2003/ 2/ 28 "서양건축사" 기문당
-인터넷-
http://gunnet.co.kr/gate.htm
http://dragon.seowon.ac.kr/~jeronimo/landeskunde/europe.html
http://da2002.digital-architecture.or.kr/gettime/sub3_2.html
http://naver.com 백과사전
[프랑스의 개선문]
(2) 낭만주의(Romanticism) 건축
고전복원의 신고전주의 건축이 자신들과 시간, 거리상으로 먼 이국적 양식을 도입하고 건물외관의 피상적 형태를 추구하는데 반발하여 고대보다는 당시와 시간적으로 가까우며 자기 국가와 민족의 기원으로 삼고 있던 중세의 고딕양식에 주목했다. 오거스투스 퓨긴은 <고딕건축 실례집(1821~23년)>을 출판하여 고딕건축을 전파
낭만주의 건축의 특성은 신고전주의 건축이 그리이스와 로마의 고전건축에 열중한 반면 낭만주의 건축은 중세의 고딕건축에 관심을 가졌고 자신들의 국가와 민족의 기원이 중세에 있는 것을 보고 중세를 낭만주의의 이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구조와 재료의 정직한 표현이라는 진실성이 반영된 고딕건축이 양식과 방법을 그대로 유지하려고 시도
①영국의 낭만주의 건축
낭만주의 건축의 발상지로서 유럽에 전파하였고 영국의 낭만주의 건축은 후에 19세기말의 현대건축운동인 미술공예운동을 유발시켰다. 대표적인 건축물호는 찰스 베리경(Sir Charles Barry, 1795~1860년)의 영국 국회의사당, 런던, 1835~60년, 고딕양식을 재현한 건물이 있다.
②프랑스의 낭만주의 건축
신고전주의 건축이 활발했으므로 낭만주의 건축은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대표적인 건축가 비올레 르 뒨(Viollet-le-Duc, 1814~79년)는 중세건축의 연구를 통해 고딕건축의 구조적 합리성과 우수성을 지적하고 모든 건축형태는 재료와 구조의 논리적 사용에 의해 결정된다는 구조합리주의 이론의 주장했다. 비올레 르 뒨의 구조합리주의 이론은 후에 현대 건축에 영향을 미쳤다.
③독일의 낭만주의 건축
고딕양식이랴말로 진정한 게르만적 양식이라고 생각되어 쾰른 성당, 울름성당 등 중세성당들을 중수했다.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에르스텔(Heinrich Eerstel, 1828~83년)의 보티브성당, 비인(1853~79년)이 있다.
(3) 절충주의(Eclecticism) 건축
그리이스, 로마 위주의 신고전주의 건축과 고딕 위주의 낭만주의 건축을 통해 과거 건축양식의 복원에 의한 새로운 건축양식의 접근방법을 습득하였다. 활발하고 광범위한 역사의 연구를 통하여 과거 건축양식 전반에 관한 지식이 증대시켰고 과거양식에 관한 객관적 이해와 평가로 사라센, 비잔틴, 바로크 등 건축양식 선택대상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절충주의 건축의 특징은 그리이스, 로마 위주의 신고전주의 건축과 고딕위주의 낭만주의 건축처럼 일정한 양식에 국한 되지 않고 과거의 모든 양식을 이용하였고 또한 과거양식의 절충을 통하여 새로운 양식의 창조를 시도하였다. 일정한 기준이 없이 건축가의 주관에 의해 각종 양식을 선택하거나 종합한 건축이다.
①프랑스의 절충주의 건축
신고전주의 건축이 발달하였으므로 그리이스, 로마 양식을 기본으로한 절충주의 건축이 성행했다. 대표적인 프랑스의 절충주의 건축물로 바로크 양식에 르네상스 양식을 혼합한 신바로크 양식의 건물로 샤를르 가르니에(Charles Garnier, 1825~98년)의 파리 오페라 하우스(파리, 1861~74년)와 새로운 재료인 철을 구조체로 사용하여 과거양식을 재현한 건물 앙리 라스루스테(Henri Labrouste, 1701~75년)의 파리의 국립도서관과 성 쥬느비에 도서관이 있다.
② 영국의 절충주의 건축
비잔틴 양식을 기본으로 하여 여러 양식을 절충했다. 대표적인 영국의 절충주의 건축찰스 베리경 (Sir Charles Barry, 1795~1860년)의 리폼 클럽( 런던, 1834년), 여행자 클럽(런던, 1829년), 존 프란시스 벤트리(John Francis Bently, 1839~1902년)의 웨스트민스터 사원(런던, 1895~1903년)이 있다.
③ 독일의 절충주의 건축
이탈리아 르네상스 양식을 기본으로 한 신르네상스 양식이 성행했다. 대표적인 독일의 절충주의 건축물은 독일 절충주의 건축의 거장 고드프리드 젬퍼(Gottfried Semper, 1803~79년)의 국립 가극장(드레스덴, 1837~41년), 부르그 극장(비인, 1873~88년)이 있다.
- 결론 -
유럽의 사조별 건축양식을 조사하면서 느낀 점은 건축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그 나라의 독특한 문화이자 예술이고 그 시대의 생활과 과학 기술력을 알아볼 수 있는 훌륭한 재산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기술의 발달로 더욱 현란한 건축물을 세울 수 있게 된 지금 예술적 가치는 물론이고 최소한의 품격조차 찾아볼 수 없는 건물들이 우후죽순처럼 세워지는 현상은 매우 안타깝다. 21세기 초에 들면서 건축가의 역할은 위축되고 있다. 위대한 신전들이 수천 년 동안 살아남아서 우리에게 자극을 주었듯이 산업혁명 이전의 건축가들처럼 이 시대의 건축가들도 상상력을 통하여 보다 훌륭한 건축물을 만들 수 있기를 희망한다.
우아한 미를 가지고 있는 그리스 신전, 웅장한 로마의 콜로세움등 수백년이 지난 지금 보아다 매우 정교하고 아름다운 건축물들이다. 아직 유럽 여행 경험이 없어서 사진이나 동영상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유럽의 건축물들을 보는데 만족하고 있지만 기회가 된다면 유럽여행을 가서 웅장하고 아름다운 건축물들을 몸으로 느끼고 싶다.
- 참고문헌 -
조너선 글랜시 (강주헌 옮김, 2001/6)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건축의 역사" 시공사
빌 리제베로 (오덕성 옮김, 2000/ 9/ 20)"서양 건축 이야기" 한길아트
윤정근 외 2003/ 2/ 28 "서양건축사" 기문당
-인터넷-
http://gunnet.co.kr/gate.htm
http://dragon.seowon.ac.kr/~jeronimo/landeskunde/europe.html
http://da2002.digital-architecture.or.kr/gettime/sub3_2.html
http://naver.com 백과사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