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나라 지역축제의 양상
(1) 지역축제의 현실적 양상
(2) 지역축제의 전반적 양상
2. 우리나라 지역축제의 실제
3. 지역축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1) 지역축제의 현실적 양상
(2) 지역축제의 전반적 양상
2. 우리나라 지역축제의 실제
3. 지역축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본문내용
의 안녕을 기원하고자 한다.
감영문화 재현- 강원도의 유래는 조선 태조4년(1935) 강릉도와 중원도의 일부를 합해서 강원도로 개칭하면서 처음으로 강원도라 명명되었던 바, 감영문화 재현을 통하여 300만 강원도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전통문화의 고장 강원도의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한편 강원도를 대표하는 문화상품의 하나로 자리매김 시키고자 함
6. 행사의 장소 선정 방법은?
제안-기획단 심의-임원회의 의결-총회
7. 행사의 주요 내용은?
명 칭 : 제22회 원주치악제
주 제 : 천년 원주에 터잡은 강원감영 오백년
기 간 : 2003년 10월 24일(금) ∼ 26일(일)
장 소 : 치악산 동악단, 배말나루터(원주천 둔치)
주 최 : 원주치악제위원회
후 원 : 강원도, 원주시, 원주교육청, 한국관광공사, 북부지방산림관리청
협 찬 :
행사 종목 : 4개 분야 52종목
(감영마당-17종목, 치악산-13종목, 민속마당-8종목, 경축행사-14종목)
8. 행사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치악산 산제제, 감영문화를 비롯한 전통의 계승
전통문화 도시로서의 원주 이미지 홍보
약 30억 규모의 단기 경기 부양 효과
9. 행사의 역사 및 유래는?
조선조 2대 정종의 딸 희희공주가 폐병에 걸려 온갖 약을 다 썼으나 효험이 없자 산수 좋은 치악산에 머물렀다. 이곳에 온지 백일만에 공주의 병이 씻은 듯이 낫게 되자 왕은 이것이 치악산 신령의 보살핌으로 여기고 공주가 머물렀던 현재 행구동의 고문암 곁에다가 국형라는 큰 절을 짓게 하였다. 그리고 그 절 옆에 돌로 제단을 쌓고 춘추로 원주와 횡성, 영월, 평창, 정선, 여주, 제천 등 7 고을의 수령들로 하여금 동악제를 지내게 하였다. 이 제의는 6.25 전쟁 때 끊겼다가 1967년에 치악제로 바뀌어 봉행하던 것을 지금은 동악제로 지낸다.
10. 행사의 지역적 특성을 꼽는다면?
수도권에 인접한 도시로 꾸준히 인구 증가가 이어지며 지역의 정체성이 모호해짐
강원도 최대 규모의 도시로 최다 생산 및 소비 지역
11. 행사의 문제점 및 한계점은?
보조금 외 자체 예산의 부족
지역 사회단체 및 문화단체, 예술단체의 기득권 주장으로 특성화 저해
12. 향후 발전 방향은?
축제의 특성화를 통해 관광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증대시켜야 할 것임
참고자료
류정아, 「축제인류학」, 살림, 2003
이종인 외, 「한국의 지역축제」, 문화체육부, 1996
원주 치악제 홈페이지(http://www.chiakfest.com)
감영문화 재현- 강원도의 유래는 조선 태조4년(1935) 강릉도와 중원도의 일부를 합해서 강원도로 개칭하면서 처음으로 강원도라 명명되었던 바, 감영문화 재현을 통하여 300만 강원도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전통문화의 고장 강원도의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한편 강원도를 대표하는 문화상품의 하나로 자리매김 시키고자 함
6. 행사의 장소 선정 방법은?
제안-기획단 심의-임원회의 의결-총회
7. 행사의 주요 내용은?
명 칭 : 제22회 원주치악제
주 제 : 천년 원주에 터잡은 강원감영 오백년
기 간 : 2003년 10월 24일(금) ∼ 26일(일)
장 소 : 치악산 동악단, 배말나루터(원주천 둔치)
주 최 : 원주치악제위원회
후 원 : 강원도, 원주시, 원주교육청, 한국관광공사, 북부지방산림관리청
협 찬 :
행사 종목 : 4개 분야 52종목
(감영마당-17종목, 치악산-13종목, 민속마당-8종목, 경축행사-14종목)
8. 행사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치악산 산제제, 감영문화를 비롯한 전통의 계승
전통문화 도시로서의 원주 이미지 홍보
약 30억 규모의 단기 경기 부양 효과
9. 행사의 역사 및 유래는?
조선조 2대 정종의 딸 희희공주가 폐병에 걸려 온갖 약을 다 썼으나 효험이 없자 산수 좋은 치악산에 머물렀다. 이곳에 온지 백일만에 공주의 병이 씻은 듯이 낫게 되자 왕은 이것이 치악산 신령의 보살핌으로 여기고 공주가 머물렀던 현재 행구동의 고문암 곁에다가 국형라는 큰 절을 짓게 하였다. 그리고 그 절 옆에 돌로 제단을 쌓고 춘추로 원주와 횡성, 영월, 평창, 정선, 여주, 제천 등 7 고을의 수령들로 하여금 동악제를 지내게 하였다. 이 제의는 6.25 전쟁 때 끊겼다가 1967년에 치악제로 바뀌어 봉행하던 것을 지금은 동악제로 지낸다.
10. 행사의 지역적 특성을 꼽는다면?
수도권에 인접한 도시로 꾸준히 인구 증가가 이어지며 지역의 정체성이 모호해짐
강원도 최대 규모의 도시로 최다 생산 및 소비 지역
11. 행사의 문제점 및 한계점은?
보조금 외 자체 예산의 부족
지역 사회단체 및 문화단체, 예술단체의 기득권 주장으로 특성화 저해
12. 향후 발전 방향은?
축제의 특성화를 통해 관광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증대시켜야 할 것임
참고자료
류정아, 「축제인류학」, 살림, 2003
이종인 외, 「한국의 지역축제」, 문화체육부, 1996
원주 치악제 홈페이지(http://www.chiakfest.com)
추천자료
광주, 전남지역의 축제
평생 학습축제와 지역 발전의 관계
[스페인][스페인 자연환경][스페인 식사습관][스페인 식사예절][왕실][축제][투우]스페인의 ...
곡성 멜론 마을 기획(지역 축제 기획)
강화지역 축제 문화 개발 방안
대구 지역 축제 문화
지역 축제와 설득커뮤니케이션
함평 나비 축제의 경제적 효과, 등장배경, 성공 요인, 마케팅 전략, 특징, 중요성, 지역경제 ...
함평 나비 축제 경제적 효과, 등장배경, 성공 요인, 마케팅 전략, 특징, 중요성, 지역경제 개...
보령 머드 축제의 경제적 효과, 등장배경, 성공 요인, 마케팅 전략, 특징, 중요성, 지역경제 ...
태백산눈꽃축제,삿포로눈축제,축제,지역행사,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
2001년(2000년대) 한류열풍, 2001년(2000년대) 문화산업, 2001년(2000년대) 관광산업과 캐릭...
[마임]춘천마임축제(춘천국제마임축제)의 목적, 배경, 춘천마임축제(춘천국제마임축제)의 현...
[위더스][지역사회복지론] (A+) 특정대상에 대한 일회성 행사에 초점을 맞춘 자원개발 계획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