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골품제(骨品制)의 성립
2. 골품제의 신분구조
(1) 성골
(2) 진골
(3) 두품 신분
3. 골품제도의 사회적 제약
(1) 골품과 관등(官等)의 규제
(2) 골품과 생활양식
4. 골품제도의 해체와 소멸
2. 골품제의 신분구조
(1) 성골
(2) 진골
(3) 두품 신분
3. 골품제도의 사회적 제약
(1) 골품과 관등(官等)의 규제
(2) 골품과 생활양식
4. 골품제도의 해체와 소멸
본문내용
금은, 놋쇠, 구리, 납, 5색 장식 못함
금은, 유석, 구리, 납
장식 못함
계단
3층 계단
설치 못함
중계·2층계단
설치 못함
계단돌은
갈지 못함
계단돌은
갈지 못함
계단돌은
갈지 못함
담장
8척 넘지 못함
7척 넘지 못함
6척 넘지 못함
석회
바르지 못함
바르지 못함
바르지 못함
바르지 못함
병풍
수 놓는 것 금함
수 놓는 것 금함
평상
대모·침향장식
못함
대모·자단·침향·화양장식 못함, 비단자리 금함
중문·4방문
중문·4방문
두지 못함
대문·4방문
못 만듦
대문·4방문
못 만듦
마굿간
5마리 허용
3마리 허용
2마리 허용
<삼국사기> 옥사조의 금령
이와 같은 금령을 통하여 신라인들은 신분을 쉽고 분명하게 구분하였던 것이다. 같은 신분의 사람들은 공통성을 보여주었고 다른 신분의 사람들과는 구별이 되어 신분적인 간격이 나타나게 되었다.
4. 골품제도의 소멸
골품제도는 신라 하대가 되면서 서서히 흔들리기 시작한다. 그 첫 번째 이유로는 골품제의 구심점 역할을 하던 왕을 둘러싸고 벌어졌던 왕위 쟁탈전을 들 수 있다. 왕위 쟁탈전을 통해 왕의 정당성과 권위는 실추하게 되었으며, 왕이 국가 전체의 대표이기 보다는 일정 가계의 대표로 전락하였다. 따라서 진골뿐만 아니라 다른 신분들의 지지를 받을 수 없게 되어 왕은 골품제의 구심점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로는 지방 세력들의 성장을 들 수 있다. 신라 하대에 크게 성장한 지방 호족들은 상위 골품이 아닌 신분들이 많았고 따라서 골품제의 규정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선종사상의 전파도 골품제의 변동과 해체에 큰 역할을 하였다. 신라 선종의 차시자들은 모두 진골 신분이 아닌 6두품 신분이었으며 중앙 귀족이 아닌 지방 호족들과 결탁하였다. 또한 선종의 유행은 골품제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던 교종의 역할을 상실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이유로 신라의 골품제도는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하였다. 결국 신라 경순왕 9년(935) 신라가 고려의 왕건에게 귀부함으로서 신라의 운명과 함께 독특한 신분제도였던 골품제도는 사라지게 되었다.
참고문헌
<統一期의 新羅社會 硏究>, 동국대학교 신라문화 연구소 작, 경상북도, 1987.
<新羅骨品制硏究>, 이종욱 지음, 일조각, 1999.
<한국고대의 신분제와 관등제>, 하일식 (외) 지음, 아카넷, 2000.
<화랑세기로 본 신라인 이야기>, 이종욱 지음, 김영사, 2000.
금은, 유석, 구리, 납
장식 못함
계단
3층 계단
설치 못함
중계·2층계단
설치 못함
계단돌은
갈지 못함
계단돌은
갈지 못함
계단돌은
갈지 못함
담장
8척 넘지 못함
7척 넘지 못함
6척 넘지 못함
석회
바르지 못함
바르지 못함
바르지 못함
바르지 못함
병풍
수 놓는 것 금함
수 놓는 것 금함
평상
대모·침향장식
못함
대모·자단·침향·화양장식 못함, 비단자리 금함
중문·4방문
중문·4방문
두지 못함
대문·4방문
못 만듦
대문·4방문
못 만듦
마굿간
5마리 허용
3마리 허용
2마리 허용
<삼국사기> 옥사조의 금령
이와 같은 금령을 통하여 신라인들은 신분을 쉽고 분명하게 구분하였던 것이다. 같은 신분의 사람들은 공통성을 보여주었고 다른 신분의 사람들과는 구별이 되어 신분적인 간격이 나타나게 되었다.
4. 골품제도의 소멸
골품제도는 신라 하대가 되면서 서서히 흔들리기 시작한다. 그 첫 번째 이유로는 골품제의 구심점 역할을 하던 왕을 둘러싸고 벌어졌던 왕위 쟁탈전을 들 수 있다. 왕위 쟁탈전을 통해 왕의 정당성과 권위는 실추하게 되었으며, 왕이 국가 전체의 대표이기 보다는 일정 가계의 대표로 전락하였다. 따라서 진골뿐만 아니라 다른 신분들의 지지를 받을 수 없게 되어 왕은 골품제의 구심점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로는 지방 세력들의 성장을 들 수 있다. 신라 하대에 크게 성장한 지방 호족들은 상위 골품이 아닌 신분들이 많았고 따라서 골품제의 규정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선종사상의 전파도 골품제의 변동과 해체에 큰 역할을 하였다. 신라 선종의 차시자들은 모두 진골 신분이 아닌 6두품 신분이었으며 중앙 귀족이 아닌 지방 호족들과 결탁하였다. 또한 선종의 유행은 골품제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던 교종의 역할을 상실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이유로 신라의 골품제도는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하였다. 결국 신라 경순왕 9년(935) 신라가 고려의 왕건에게 귀부함으로서 신라의 운명과 함께 독특한 신분제도였던 골품제도는 사라지게 되었다.
참고문헌
<統一期의 新羅社會 硏究>, 동국대학교 신라문화 연구소 작, 경상북도, 1987.
<新羅骨品制硏究>, 이종욱 지음, 일조각, 1999.
<한국고대의 신분제와 관등제>, 하일식 (외) 지음, 아카넷, 2000.
<화랑세기로 본 신라인 이야기>, 이종욱 지음, 김영사, 2000.
추천자료
산업연수생제도와 고용허가제
사형제도의 윤리성 (사형제도에 반대)
(행정통제론)일반적인 의미의 옴부즈만 제도를 고찰하고, 이것과 가장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
[호주제도]한국가족의 핵가족화와 호주제도에 관한 사회학적 고찰
[교장][학교장][교장승진제도][교장임용제도][교장임기제][교장초빙제]교장의 역할과 직무, ...
골품제도와 카스트제도의 비교
실용정부의 공직제도개혁과 직업공무원제도의 연구
[후생, 복리후생, 후생복지, 교원후생복지제도, 공무원후생복지제도]후생과 복리후생, 후생과...
[고려 광종, 광종 즉위, 고려 광종 개혁, 노비안검법, 과거제도, 고려]고려 광종의 즉위, 고...
경찰행정 (경찰공무원의 개념, 분류, 경찰채용제도의 의의, 유형 및 특성, 외국의 경찰채용제...
사형제도 찬반론 - 사형제도의 찬성과 반대의견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육아휴직제도에 대하여 조사하여 레포트를 작성해보세요. (육아휴직제...
[가족친화제도] 가족친화제도의 운영사례 및 가족친화제도의 필요성과 유형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