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택 프로그램 소소코드/설명
2. 스택의 이론/설명
2-1. 스택의 정의
2-2. 스택의 원리
2-3. 스택의 성질
2-4. 스택의 구조
2-5. 스택의 동작 용어설명
2. 스택의 이론/설명
2-1. 스택의 정의
2-2. 스택의 원리
2-3. 스택의 성질
2-4. 스택의 구조
2-5. 스택의 동작 용어설명
본문내용
ata
Items
스택의 구조
i
1
0
Stack Limit
스택은 기저(base)로부터 데이타 항목들을 차례로 쌓아올린 모양을 가진다.
삽입과 삭제는 현재 저장된 최상위 항목이 위치한 top 에서만 일어난다.
top 위치는 "스택 포인터"라는 지시자가 가리킨다.
스택 포인터는 스택 기저에서 시작하여 항목이 삽입되면 하나 증가하고, 삭제되면 하나 감소한다.
스택에는 한계가 있어서 그 한계를 초과하도록 삽입할 수 없다.
(5) 스택의 동작 용어설명
push()
데이타 항목을 삽입하려면 스택 포인터를 하나만큼 증가시켜 주고 스택의 top 에 데이타 항목을 저장한다. 데이타 항목을 삽입하기 전에 새로운 항목을 저장할 빈 공간이 있는지 검사해야 한다.
else top = top + 1
stack(top) ← 삽입
pop()
데이타 항목을 삭제하려면 스택의 top 에 있는 데이타 항목을 제거하고 스택 포인터를 하나만큼 감소시켜 준다. 데이타 항목을 삭제하기 전에 스택이 비어있는지를 검사해야 한다.
else 삭제 ← stack(top)
top = top-1
full()
스택이 가득차 있으면 새로운 데이타 항목을 삽입할 수 없다. 데이타 항목을 삽입하기 전에 먼저, 스택 포인터가 스택의 한계에 도달해 있는지 검사해야 한다. Full은 다른 말로 Overflow(오버플로우)라고 불린다.
enpty()
스택이 비어 있으면, 데이타 항목을 삭제할 수 없다. 데이타 항목을 삭제하기 전에 스택 포인터가 기저에 도달해 있는지를 검사해야 한다. Empty는 다른 말로 Underflow(언더플로우)라고 불린다
Items
스택의 구조
i
1
0
Stack Limit
스택은 기저(base)로부터 데이타 항목들을 차례로 쌓아올린 모양을 가진다.
삽입과 삭제는 현재 저장된 최상위 항목이 위치한 top 에서만 일어난다.
top 위치는 "스택 포인터"라는 지시자가 가리킨다.
스택 포인터는 스택 기저에서 시작하여 항목이 삽입되면 하나 증가하고, 삭제되면 하나 감소한다.
스택에는 한계가 있어서 그 한계를 초과하도록 삽입할 수 없다.
(5) 스택의 동작 용어설명
push()
데이타 항목을 삽입하려면 스택 포인터를 하나만큼 증가시켜 주고 스택의 top 에 데이타 항목을 저장한다. 데이타 항목을 삽입하기 전에 새로운 항목을 저장할 빈 공간이 있는지 검사해야 한다.
else top = top + 1
stack(top) ← 삽입
pop()
데이타 항목을 삭제하려면 스택의 top 에 있는 데이타 항목을 제거하고 스택 포인터를 하나만큼 감소시켜 준다. 데이타 항목을 삭제하기 전에 스택이 비어있는지를 검사해야 한다.
else 삭제 ← stack(top)
top = top-1
full()
스택이 가득차 있으면 새로운 데이타 항목을 삽입할 수 없다. 데이타 항목을 삽입하기 전에 먼저, 스택 포인터가 스택의 한계에 도달해 있는지 검사해야 한다. Full은 다른 말로 Overflow(오버플로우)라고 불린다.
enpty()
스택이 비어 있으면, 데이타 항목을 삭제할 수 없다. 데이타 항목을 삭제하기 전에 스택 포인터가 기저에 도달해 있는지를 검사해야 한다. Empty는 다른 말로 Underflow(언더플로우)라고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