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목차
제1장 한국 사회와 생활구조의 변화
1. 시·공간의 의식 변화
2. 생활재의 변화
제2장 세대론, 세대문화
1. 세대개념
2. 세대론의 등장 배경
3. 현재 세대론
제3장 세대별 생활문화
1. 유소년기의 생활문화
2. 10대의 생활문화
3. 20대의 생활문화
4. 30대의 생활문화
5. 40대의 생활문화
6. 50대의 생활문화
7. 노년세대의 생활문화
제4장 한국 대표세대들의 특징
1. 한국 대표세대들의 특징 분석
2. 1318세대의 키워드, 'Mouse & Hip-hop' 세대
3. 1925세대의 키워드, 'Mobile Phone & Fantasy'
4. 2632세대의 키워드, 'My Car & Job'
5. 3342세대의 키워드, 'Family & Career'
6. 4355세대의 키워드, 'Rice & Health'
7. 대표세대들의 5년 전과 지금
8. 대표세대 분석의 의의
제 5장 생활문화
1. 엽기
2. 여유로운 삶의 즐거움 웰빙
3. 디카문화
4. 방문화
제6장 결론
1. 시·공간의 의식 변화
2. 생활재의 변화
제2장 세대론, 세대문화
1. 세대개념
2. 세대론의 등장 배경
3. 현재 세대론
제3장 세대별 생활문화
1. 유소년기의 생활문화
2. 10대의 생활문화
3. 20대의 생활문화
4. 30대의 생활문화
5. 40대의 생활문화
6. 50대의 생활문화
7. 노년세대의 생활문화
제4장 한국 대표세대들의 특징
1. 한국 대표세대들의 특징 분석
2. 1318세대의 키워드, 'Mouse & Hip-hop' 세대
3. 1925세대의 키워드, 'Mobile Phone & Fantasy'
4. 2632세대의 키워드, 'My Car & Job'
5. 3342세대의 키워드, 'Family & Career'
6. 4355세대의 키워드, 'Rice & Health'
7. 대표세대들의 5년 전과 지금
8. 대표세대 분석의 의의
제 5장 생활문화
1. 엽기
2. 여유로운 삶의 즐거움 웰빙
3. 디카문화
4. 방문화
제6장 결론
본문내용
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이제까지 돌보지 못한 자신의 삶을 추구하고(자기 재발견), 현실에 안주하기보다는 도전을 통해 제 2의 인생 준비하며(새로운 도전), 현실 속의 즐거움을 추구하기 시작한 것이다(즐거움 추구).
이같은 새로운 의식과 가치관은 삶의 양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우선 집안 내 권력이 남편에게서 아내에게로 옮겨가는 권력이동이 발생했다. 가정 내 의사 결정시 젊었을 때와 대비해 '남편 역할이 커졌다'(7%)는 비율보다 '아내 역할이 커졌다'(46%)는 답변이 월등히 많았다. 소비의 주권도 여성에게 넘어가 '돈 쓰는 것과 관련한 최종 결정자'는 아내(60%)가 남편(37%)보다 더 많았다. 반면 '돈 버는 것과 관련한 최종 결정자'는 여전히 남편(61%)이 아내(35%)보다 높았다. 가부장(家父長)이 사라지고 가모장(家母長)이 대두된 것이다.
"오십 넘어가면 자식도 자식이지만 부부밖에 없대요. 잘나도 못나도 부부밖에 없대요."(50대 초반 주부)
라이프스타일은 가족 중심에서 부부 중심으로 바뀌었다. 배우자를 노후를 함께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동반자(76%)로 여긴다. 특히 자녀 중심에서 탈피해 자신들의 부모 세대와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노후에 자식과 함께 살고 싶다'는 항목에선 부정(42%)이 긍정(30%)을 앞질렀다. 또 '취미나 여가활동에서 함께 하고픈 대상이 배우자'란 항목에선 남성(68%)이 여성(54%)보다 높았다. 이를 '남편의 아내 짝사랑 심화'라고 표현했다.
이들도 각종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디지털과 로맨스 시작했다'는 것이다. 인터넷 이용률이 31%에 이르고, 평일에 1시간 30분씩 사용하고 있다. 또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는 데 인터넷이나 휴대폰 사용은 필수(44%)라고 생각하며, 휴대폰 사용(77%)은 물론 문자메시지 사용률(42%)도 절반에 가깝다.
여가생활에 대한 욕구도 높게 나와 '일벌레' '회사인간형'에서 탈피하고 있다. 수입을 위해 일을 더하기보다는 여가시간을 갖고 싶다는 의견이 절반에 가까우며, 앞으로 하고 싶은 활동에서도 스포츠 레저활동(58%)이 봉사 종교활동(15%), 직장생활(11%)을 월등히 앞질렀다.
제일기획은 2003년 상반기 두 달에 걸쳐 서울 등 5대 도시에 사는 17~39세 1600명을 대상으로 1 대 1 면접조사를 실시했다.
결론은 이렇다.
◈ P세대 누구인가
"이들은 축제의 장을 통해 하나로 결집, 전에 없던 집단적 거리 문화를 보여주었고, 다양한 의견을 자유롭게 표출하고 공유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휴먼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잠재력이 있으며, 자유롭고 창의적인 의식과 행동으로 고정관념과 금기를 무너뜨리는 세대다."
사회 전반에 걸쳐 적극적 참여(Participation) 속에서 열정(Passion)과 힘(Potential Power)을 바탕으로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를 일으키는 세대(Paradigm-shifter)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래서 P세대라고 명명했다.
◈Wine세대 누구인가
제일기획은 P세대를 규명한 후 이들의 어버이 세대이며, P세대와 실버세대 사이에 위치한 45세에서 64세까지의 중장년층을 상대로 조사했다. 이른바 4564세대다. 조사는 지난해 하반기 전국 5대 도시 12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결론은 이렇다.
"뜨거운 햇볕과 말라버린 땅, 어두운 저장고와 침묵의 시간 속에서 인고의 시기를 견디어 낸 후 비로소 새로운 빛깔과 향으로 다시 태어나는 포도주와 같은 세대다." WINE은 "인고의 시기를 거쳐 사회적 개인적으로 잘 통합되고(Well Integrated) 숙성된 어른 세대(New Elder)"란 의미라는 설명이다.
사회적으로 이들에게 다가온 새로운 충격은 P세대의 전면 부각, 디지털화의 가속, 글로벌화 확산, 고령화 이슈 부각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4대 충격 속에서 기성세대의 삶과 가치관이 변화했다는 것이다.
그는 와인세대라고 명명한 기성세대의 특성에 대해 "과거의 기성세대가 근엄하고 강력한 이미지의 보수주의자로서 위스키와 같다면 요즘의 기성세대는 새로 대두된 P세대처럼 생활을 즐기려 한다는 면에서 독주가 아닌 은은한 맛과 향을 내는 와인과 닮았다"고 말했다.
) (이거산 주간조선 차장)[주간조선 2004-05-04 21:22]
==================================================================================================
▒참고 사이트
전상진, 서강대교수, http://www.hani.co.kr/section-001062000/2003/06/001062000200306181859092.html
한국경제신문
동아일보
판매스쿨 http://www.daehyun.com/emagazine/school/16/school16_05.html
빛과 흑암의 역사 http://www.aspire7.net/dark_27_3.html
디시인사이드 http://www.dcinside.com/new/dcissue/2002_top_01.htm
네트워커 http://networker.jinbo.net/nw-news/show.php?docnbr=82
창원대 신문 http://cwup.changwon.ac.kr/newsview.asp?id=20031002142022002
http://www.sooim.net/pow2.html
http://hwangst.hihome.com/article/2001/longstory46.htm
http://www.designdb.com/zine/20010708_08.asp
http://www.durutrade.co.kr/product_2/product_207.htm
http://www.gaemikorea.com/go/gag/read.cgi?board=wcgag&y_number=144&nnew=1
http://www.hyangjang.com/hyangjang/200303/a_03/07_01.html
http://opendic.naver.com/100/entry.php?entry_id=151435
이같은 새로운 의식과 가치관은 삶의 양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우선 집안 내 권력이 남편에게서 아내에게로 옮겨가는 권력이동이 발생했다. 가정 내 의사 결정시 젊었을 때와 대비해 '남편 역할이 커졌다'(7%)는 비율보다 '아내 역할이 커졌다'(46%)는 답변이 월등히 많았다. 소비의 주권도 여성에게 넘어가 '돈 쓰는 것과 관련한 최종 결정자'는 아내(60%)가 남편(37%)보다 더 많았다. 반면 '돈 버는 것과 관련한 최종 결정자'는 여전히 남편(61%)이 아내(35%)보다 높았다. 가부장(家父長)이 사라지고 가모장(家母長)이 대두된 것이다.
"오십 넘어가면 자식도 자식이지만 부부밖에 없대요. 잘나도 못나도 부부밖에 없대요."(50대 초반 주부)
라이프스타일은 가족 중심에서 부부 중심으로 바뀌었다. 배우자를 노후를 함께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동반자(76%)로 여긴다. 특히 자녀 중심에서 탈피해 자신들의 부모 세대와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노후에 자식과 함께 살고 싶다'는 항목에선 부정(42%)이 긍정(30%)을 앞질렀다. 또 '취미나 여가활동에서 함께 하고픈 대상이 배우자'란 항목에선 남성(68%)이 여성(54%)보다 높았다. 이를 '남편의 아내 짝사랑 심화'라고 표현했다.
이들도 각종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디지털과 로맨스 시작했다'는 것이다. 인터넷 이용률이 31%에 이르고, 평일에 1시간 30분씩 사용하고 있다. 또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는 데 인터넷이나 휴대폰 사용은 필수(44%)라고 생각하며, 휴대폰 사용(77%)은 물론 문자메시지 사용률(42%)도 절반에 가깝다.
여가생활에 대한 욕구도 높게 나와 '일벌레' '회사인간형'에서 탈피하고 있다. 수입을 위해 일을 더하기보다는 여가시간을 갖고 싶다는 의견이 절반에 가까우며, 앞으로 하고 싶은 활동에서도 스포츠 레저활동(58%)이 봉사 종교활동(15%), 직장생활(11%)을 월등히 앞질렀다.
제일기획은 2003년 상반기 두 달에 걸쳐 서울 등 5대 도시에 사는 17~39세 1600명을 대상으로 1 대 1 면접조사를 실시했다.
결론은 이렇다.
◈ P세대 누구인가
"이들은 축제의 장을 통해 하나로 결집, 전에 없던 집단적 거리 문화를 보여주었고, 다양한 의견을 자유롭게 표출하고 공유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휴먼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잠재력이 있으며, 자유롭고 창의적인 의식과 행동으로 고정관념과 금기를 무너뜨리는 세대다."
사회 전반에 걸쳐 적극적 참여(Participation) 속에서 열정(Passion)과 힘(Potential Power)을 바탕으로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를 일으키는 세대(Paradigm-shifter)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래서 P세대라고 명명했다.
◈Wine세대 누구인가
제일기획은 P세대를 규명한 후 이들의 어버이 세대이며, P세대와 실버세대 사이에 위치한 45세에서 64세까지의 중장년층을 상대로 조사했다. 이른바 4564세대다. 조사는 지난해 하반기 전국 5대 도시 12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결론은 이렇다.
"뜨거운 햇볕과 말라버린 땅, 어두운 저장고와 침묵의 시간 속에서 인고의 시기를 견디어 낸 후 비로소 새로운 빛깔과 향으로 다시 태어나는 포도주와 같은 세대다." WINE은 "인고의 시기를 거쳐 사회적 개인적으로 잘 통합되고(Well Integrated) 숙성된 어른 세대(New Elder)"란 의미라는 설명이다.
사회적으로 이들에게 다가온 새로운 충격은 P세대의 전면 부각, 디지털화의 가속, 글로벌화 확산, 고령화 이슈 부각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4대 충격 속에서 기성세대의 삶과 가치관이 변화했다는 것이다.
그는 와인세대라고 명명한 기성세대의 특성에 대해 "과거의 기성세대가 근엄하고 강력한 이미지의 보수주의자로서 위스키와 같다면 요즘의 기성세대는 새로 대두된 P세대처럼 생활을 즐기려 한다는 면에서 독주가 아닌 은은한 맛과 향을 내는 와인과 닮았다"고 말했다.
) (이거산 주간조선 차장)[주간조선 2004-05-04 21:22]
==================================================================================================
▒참고 사이트
전상진, 서강대교수, http://www.hani.co.kr/section-001062000/2003/06/001062000200306181859092.html
한국경제신문
동아일보
판매스쿨 http://www.daehyun.com/emagazine/school/16/school16_05.html
빛과 흑암의 역사 http://www.aspire7.net/dark_27_3.html
디시인사이드 http://www.dcinside.com/new/dcissue/2002_top_01.htm
네트워커 http://networker.jinbo.net/nw-news/show.php?docnbr=82
창원대 신문 http://cwup.changwon.ac.kr/newsview.asp?id=20031002142022002
http://www.sooim.net/pow2.html
http://hwangst.hihome.com/article/2001/longstory46.htm
http://www.designdb.com/zine/20010708_08.asp
http://www.durutrade.co.kr/product_2/product_207.htm
http://www.gaemikorea.com/go/gag/read.cgi?board=wcgag&y_number=144&nnew=1
http://www.hyangjang.com/hyangjang/200303/a_03/07_01.html
http://opendic.naver.com/100/entry.php?entry_id=151435
추천자료
[사회문제론 발표자료] 장애인과 사회문제
(한국사회문제 C형)한국사회 양극화현상의 문제점과 과제 고찰-부동산
사회문제의 개념과 규정 및 해결과정, 사회문제에 대한 접근 수준
관심있는사회문제를선택후주제선정이유와사회복지분야에서이주제를에주목해야할이유와목적제...
방송통신대 레포트★한국사회문제-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빈부격차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고 ...
사회문제의 원인과 해결을 설명하는 거시적 관점의 사회문제이론들의 차이점을 비교 정리하여...
사회문제로서의 범죄문제와 사회복지적 개입
한국사회문제4A) 한국에서 정부가 보는 빈곤의 원인, 개인경험에 근거한 비판, 사회문제로서...
사회문제와 사회정책과 사회복지정책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서로의 관계성에 대해서 논하시오.
현대사회의 노인문제(사회문제, 빈곤노인, 노인복지, 독거노인, 장애노인)
한국사회문제4D)한국 노동현실에서 중요한 현안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골라, 구체적인 사례에 ...
한국사회문제4C) 과학·기술·의료·환경과 같은 문제에서 전문가의 말을 맹신하지 않고 사회적 ...
한국사회문제 A형, 한국 사회에서 청년문제
한국사회문제 E형 우리사회 노동현실-비정규직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