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도 시설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우리나라 상수도 현황
가. 보급현황
나. 시설현황
다. 제정현황
라. 취수 및 정수
마. 생산량 분석
바. 사용량 분석
사. 수돗물 현황

■ 상수도 시설(개괄적으로 설명)
가. 상수도의 정의
나. 상수도의 구성
다. 취수
라. 도수
마. 정수
바. 배수와 급수
사. 펌프 시설

본문내용

용되고 유럽에서도 채택하는 수도가 많다.
바. 배수와 급수
정화된 물을 도로 밑에 매설한 관을 통하여 배수토록 하는데, 이 관을 배수관이라고 한다. 물의 사용량은 조석으로 많고 야간은 적다. 따라서 사용량이 많을 때를 위하여 저수하는 설비가 필요한데, 이것이 배수지 또는 배수탑(고가 탱크)이다.
배수관은 서로 그물 모양으로 연결시켜 전 지역의 수압을 균등하게 하고 정체나 고장으로 단수가 되지 않게 한다. 배수관의 재질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한국에서는 주철관류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배수관에서 분기하여 각 가정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급수라 하고, 이 사이의 관을 급수관이라 한다. 배수관에서 분기하기 위한 분수전, 수리나 급수가 정지될 때 사용되는 지수전(止水栓), 수량을 계측하는 양수기 및 기타 부속재료를 총칭하여 급수장치라고 한다.
고층건물에는 일단 지하에 있는 수수(受水) 탱크에 넣은 후 이것을 펌프로 옥상 탱크에 퍼올려 여기서 급수한다. 급수관은 종래에는 납관을 사용하였으나 지금은 아연도금 강관이나 염화비닐관 폴리에틸렌관 구리관 등 여러 가지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수질에 따라서는 강관으로부터 철분이 용해되어 빨간 물이 나오는 현상이 자주 일어나므로 특수한 도장(塗裝)이 필요하다.
(1) 배수지
역할 : 정수장으로부터 1일 최대급수량으로 송수되어 오는 정수량과 급수구역내의 시간적으로 변동하는 소요수량의 차이를 조정하기 위해 설치된다.
위치 : 소비지로부터 근접되고, 적당한 표고의 확보로 자연유하방식에 의해 배수구역내 적정 수압을 유지할 수 있는 장소가 가장 이상적인 배수지의 입지조건이 된다. 평탄한 지역의 경우는 배수지역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 : 철근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및 강판제의 돔식 수조로 하며 수밀성과 통기성이 있고, 햇빛의 차단이 가능하며 수온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보온을 위해 두께 30-60cm의 토피층을 두며, 배수지의 수짐이 얕을 경우는 옹벽식으로 깊을 경우는 부벽식 또는 라멘식으로 축조하는데 주로 라멘구조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주벽 : 주벽의 상단은 고수위 보다 30cm 이상 높게 하고, 지저는 15m 이상 낮게 한다.
신축이음 : 철근 콘크리트 조에 20m 간격으로 설치한다.
구배 : 상판 표면은 1/100-1/300 정도, 지저는 배수관을 향하여 1/100-1/500정도의 구배를 한다.
규모
유효수심 : 배수관의 동수압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3-6m정도로 한다.
배수지 수 : 점검, 보수, 청소 등의 유지관리를 위해 2이상을 나누어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지 이상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는 1지라도 지내에 격벽을 설치하여 분할하도록 한다.
표준 유효용량 : 1일 최대급수량의 8-12시간 분으로 표준으로 하고 있다.
최소 유효용량 : 1일 최대급수량의 6시간 분을 표준으로 하고 있다.
(2) 배수탑
역할 : 배수구역내에 자연 유하방식에 배수지를 설치할 장소가 없거나 배수량이 조정이 수압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소규모의 급수구역에 채용되며 배수지에 비해 건설비가 많이 든다.
규모
유효수심 : 구조, 시공성, 경제성을 고려하여 20m이하로 한다.
높이 : 배수탑의 높이는 직경의 1.5-3배 정도로 한다.
용량 : 계획1일 최대급수량의 3-4시간 분을 표준으로 한다.
< 배수탑 사진 >
(3) 고가수조
역할 : 배수구역 내에 자연유하방식이 배수지를 설치할 장소가 없거나 배수량의 조정이나 수압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소규모의 급수구역에 채용되며 배수지에 비해 건설비가 많이 든다.
규모
유효수심 : 소요 저수위가 높을 때는 배수탑보다 유리하며 수심은 3-6m로 한다.
높이 : 소형일때는 높이를 직경과 거의 같게 하고 대형일때는 높이를 작게 하는 것이 외관 및 안전에 유리하다.
용량 : 계획1일 최대급수량의 1-3시간 분으로 표준용량으로 하며, 최소한 1일 최대급수량의 1시간 분량으로 한다.
배수구역의 고저차 : 30-40m이상으로 한다.
배수관의 동수압 : 1.5-4kg/cm2 정도로 한다.(너무 높으면 만수가 많아져 유효율이 저하되고, 너무 낮으면 원활한 급수를 기대하기 어렵다.)
배수구역의 분할 : 배수구역은 지형과 계절적 및 시간적 수요형태 등을 감안하여 분할한다.
(4) 급수관 : 급수관은 일반적으로 50mm이하이다.
아연도 금강관 :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인장강도가 크고 외상에 잘 견딘다. 그리고 부식, 전식에 약하고 스케일이 끼지 않는다.
경질 PVC관 : 최근에 많이 쓰인고 인장강도가 비교적 크고 부식, 전식에 강하다. 스케일이끼지 않는다. 충격과 열에 약하다. 내한성이 약하다.
P.E관 : PVC에 비하여 가연성이 크며 내한성, 내 충격성이 크다. 그러나 인장강도가 약하고 열에 약하다.
사. 펌프 시설
(1) 원심력 펌프 : 효율이 높다. 유효고는 6-7m, 양정고는 거의 무한정하고 펌프가 차지하는 면적이 크다. 그리고 기동력이 작다. 자동운전이 용이하다. 유량변화가 심한 곳에 적합하다.
(2) 축류펌프 : 효율이 낮고 흡입성능이 나븐 편 그리고 전양 정고가 4m이하인 경우 가장 경제적이고 임펠라 회전수가 크기 때문에 소형이고 면적을 작게 한다. 규정의 양정의 130%이상이 되면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여 축동력이 급속히 증가하고 구조가 간단 기동력이 크다. 마지막으로 자동운전이 곤란하고 수위변동이 적고 양정고가 4m이하인 오수중계 펌프장에 유리하다.
(3) 사류펌프 : 원심력 펌프와 축류펌프의 중간특성을 갖고 효율은 원심력 펌프와 축류펌프의 중간이고 광범위한 양정변화에도 수량의 변동이 적다. 흡입고는 4.5m정도이고 총양정고는 3-12m정도이다. 따라서 수위변화가 큰 우수펌프에 적당하다.
(4) Screw 펌프 : 구조가 개방형으로 운전, 보수가 용이하고 헙잡물에 의해 막힐 우려가 없다. 회전수는 100 rpm정도로서 토사에 의한 마모가 적다. 효율이 낮은편이며 양정에 제한을 받는다. 침사지 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입펌프장의 경우 침사지 앞에 설치하여 침사지를 운영에 편리하도록 높은 곳에 설치할 수 있다. 개방형으로 냄새가 난다.
< 사류펌프 사진 >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4.05.24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24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