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피아제 (Jean Piaget)란 누구인가?
2. 인지이론의 인간관
3. 인지의 주요개념
4. 인지발달의 세 가지 변인
5. 인지발달이론의 특성
6. 인지발달 단계
7. 연구 방법
8. 인지 이론의 강점과 한계
9.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과 과학교육
10. 피아제 이론의 비판
2. 인지이론의 인간관
3. 인지의 주요개념
4. 인지발달의 세 가지 변인
5. 인지발달이론의 특성
6. 인지발달 단계
7. 연구 방법
8. 인지 이론의 강점과 한계
9.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과 과학교육
10. 피아제 이론의 비판
본문내용
강조하여 정의적인 측면을 간과하고 있다.
③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이 인간의 전 인지영역을 포괄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하면, 수학적. 과학적. 사고의 발달에 관해서는 상당히 언급되고 있지만, 문학, 예술, 음악 등의 정서성이 포함된 인지적 측면들은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다. 그의 이론을 통해서는 아이들의 공포, 불안, 흥분, 백일몽 등에 관한 지식을 얻기 힘들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학자들이 정서발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인지발달과 정서발달의 상호관계서의 규명도 필요하다고 믿고 있다.
9.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과 과학교육
피아제는 원래는 교육에 대해서 큰 관심을 나타내지 않았었지만, 그의 이론이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 초에 걸쳐 일어난 미국에서의 수학 및 과학교육의 개혁에 큰 영향을 미친 후, 교육에 관한 자신의 관점을 그의 저서 '교육과학과 아동심리학(1970)'과 '이해와 창조(1973)'에서 밝히고 있다. 그의 교육관은 그동안 훌륭한 교육학자로 등장했던 루소, 프뢰벨, 듀이 등과 크게 다른점은 없지만, 과학적인 연구를 토대로 당시까지 전통적으로 받아들여온 학습과 아동에 대한 기본 가정의 허구성을 분명하게 조명함으로써, 그들의 주장을 좀더 확실하게 타당화시켜 주었다. 특히 그의 주장은 당시의 교육을 지배하던 급진적인 환경론과 경험주의적 피상성을 극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피아제 이론에 의하면, 15-16세의 연령층 즉, 고등학교 수준에 있는 학생들은 최고의 사고 수준인 형식적 조작기에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들은 이러한 예상이 잘못된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한종하(1982) 등은 비교적 대규모 표집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14-16세 연령층에 있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80% 정도는 구체적 조작기에 있고, 20% 정도가 형식적 조작기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 비교적 소규모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는 하지만 다른 연구에서도 중학생은 60%, 고등학생은 40% 정도가 구체적 조작기에 있으며,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학생들의 비율은 각각 10%, 20-30% 수준이고, 나머지는 과도기에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최병순, 1987; 문홍무 외, 1987).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의 개발 과정에서 목표를 설정하고, 교수내용을 선정 및 조직하는데 주요한 점을 시사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실제로 구체적 조작기 혹은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학생들이 구체적 혹은 형식적 사고를 요구하는 문제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문홍무와 최병순(1987)은 435명의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지적 발달 수준과 화학 내용이 요구하는 조작 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연구에서, 구체적 사고를 요구하는 문항에서는 구체적 조작기나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학생들 모두 80% 정도의 성취도를 보였지만, 형식적 사고를 요구하는 문항에서는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학생이 50% 정도의 성취도를 보인데 반해,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학생들은 70%의 성취도를 보인다. 이는 학생들의 인지 발달 수준과 학습내용의 이해 사이에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며 다른 연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이원식 외, 1979; 한종하 외, 1982). 이러한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다루고 있는 과학내용이 요구하는 인지 수준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중학교에서는 50% 정도,(최병순 외, 1987), 고등학교에서는 80% 정도(이원식 외, 1979; 문홍무 외, 1987)의 교수내용이 형식적 사고를 요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들 연구는 학생들의 인지 수준과 학습내용이 요구하는 사고 수준 사이의 괴리를 어떻게 해결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겠는가 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한 과제임을 지적하고 있다.
http://home.knue.ac.kr/%7Eshpaik/Piaget.hwp
10. 피아제 이론의 비판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은 1960년대가 되기까지 미국의 행동주의 심리학자들에게 무시를 당해왔다. 그러나 오늘날 심리학의 주요 관심사가 인지적 요소들에 관한 것임을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 더욱이, 많은 심리학자들은 인간의 인지발달은 피아제가 주장한 것처럼 연속적인 단계를 거치면서 발달해 나간다는 사실을 믿고 있다. 물론, 일부 심리학자들은 피아제가 인지발달의 각 단계를 알아내기 위해 시행한 몇몇 실험들이 잘못되었음을 지적하고 있지만 그들도 피아제의 이론적인 모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이 사실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이 인간의 전인지영역을 포괄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하면, 수학적. 과학적. 사고의 발달에 관해서는 상당히 언급되고 있지만, 문학, 예술, 음악 등의 정서성이 표함된 인지적 측면들은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다. 그의 이론을 통해서는 아이들의 공포, 불안, 흥분, 백일몽 등에 관한 지식을 얻기 힘들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학자들이 정서발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인지발달과 정서발달의 상호관계서의 규명도 필요하다고 믿고 있다.
이러한 약점에도 불구하고 피아제의 이론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실로 크다. 그의 이론에서 우리는 학습을 두 가지 의미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동화와 조절이라는 적응의 과정을 통해 심리구조의 재구성을 이룩함으로써 인지발달이 이루어져 간다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학습이란 새로운 정보의 획득이며 새로운 심리구조의 획득이라고 말할 수 있다. 동화와 조절이라는 적응과정의 결과로 새로운 정보와 심리구조를 획득하는 인간은 지식을 추구하고 경험하는 능동적인 존재이다.
## 참고문헌 ##
김동배.권중돈 2001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최순남 199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한신대학교출판부
이인정.최혜경 199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출판
http://home.knue.ac.kr/%7Eshpaik/Piaget.hwp
http://dragon.yonsei.ac.kr/~ych0406/main/piaget.htm
③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이 인간의 전 인지영역을 포괄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하면, 수학적. 과학적. 사고의 발달에 관해서는 상당히 언급되고 있지만, 문학, 예술, 음악 등의 정서성이 포함된 인지적 측면들은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다. 그의 이론을 통해서는 아이들의 공포, 불안, 흥분, 백일몽 등에 관한 지식을 얻기 힘들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학자들이 정서발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인지발달과 정서발달의 상호관계서의 규명도 필요하다고 믿고 있다.
9.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과 과학교육
피아제는 원래는 교육에 대해서 큰 관심을 나타내지 않았었지만, 그의 이론이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 초에 걸쳐 일어난 미국에서의 수학 및 과학교육의 개혁에 큰 영향을 미친 후, 교육에 관한 자신의 관점을 그의 저서 '교육과학과 아동심리학(1970)'과 '이해와 창조(1973)'에서 밝히고 있다. 그의 교육관은 그동안 훌륭한 교육학자로 등장했던 루소, 프뢰벨, 듀이 등과 크게 다른점은 없지만, 과학적인 연구를 토대로 당시까지 전통적으로 받아들여온 학습과 아동에 대한 기본 가정의 허구성을 분명하게 조명함으로써, 그들의 주장을 좀더 확실하게 타당화시켜 주었다. 특히 그의 주장은 당시의 교육을 지배하던 급진적인 환경론과 경험주의적 피상성을 극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피아제 이론에 의하면, 15-16세의 연령층 즉, 고등학교 수준에 있는 학생들은 최고의 사고 수준인 형식적 조작기에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들은 이러한 예상이 잘못된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한종하(1982) 등은 비교적 대규모 표집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14-16세 연령층에 있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80% 정도는 구체적 조작기에 있고, 20% 정도가 형식적 조작기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 비교적 소규모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는 하지만 다른 연구에서도 중학생은 60%, 고등학생은 40% 정도가 구체적 조작기에 있으며,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학생들의 비율은 각각 10%, 20-30% 수준이고, 나머지는 과도기에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최병순, 1987; 문홍무 외, 1987).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의 개발 과정에서 목표를 설정하고, 교수내용을 선정 및 조직하는데 주요한 점을 시사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실제로 구체적 조작기 혹은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학생들이 구체적 혹은 형식적 사고를 요구하는 문제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문홍무와 최병순(1987)은 435명의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지적 발달 수준과 화학 내용이 요구하는 조작 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연구에서, 구체적 사고를 요구하는 문항에서는 구체적 조작기나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학생들 모두 80% 정도의 성취도를 보였지만, 형식적 사고를 요구하는 문항에서는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학생이 50% 정도의 성취도를 보인데 반해,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학생들은 70%의 성취도를 보인다. 이는 학생들의 인지 발달 수준과 학습내용의 이해 사이에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며 다른 연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이원식 외, 1979; 한종하 외, 1982). 이러한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다루고 있는 과학내용이 요구하는 인지 수준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중학교에서는 50% 정도,(최병순 외, 1987), 고등학교에서는 80% 정도(이원식 외, 1979; 문홍무 외, 1987)의 교수내용이 형식적 사고를 요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들 연구는 학생들의 인지 수준과 학습내용이 요구하는 사고 수준 사이의 괴리를 어떻게 해결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겠는가 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한 과제임을 지적하고 있다.
http://home.knue.ac.kr/%7Eshpaik/Piaget.hwp
10. 피아제 이론의 비판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은 1960년대가 되기까지 미국의 행동주의 심리학자들에게 무시를 당해왔다. 그러나 오늘날 심리학의 주요 관심사가 인지적 요소들에 관한 것임을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 더욱이, 많은 심리학자들은 인간의 인지발달은 피아제가 주장한 것처럼 연속적인 단계를 거치면서 발달해 나간다는 사실을 믿고 있다. 물론, 일부 심리학자들은 피아제가 인지발달의 각 단계를 알아내기 위해 시행한 몇몇 실험들이 잘못되었음을 지적하고 있지만 그들도 피아제의 이론적인 모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이 사실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이 인간의 전인지영역을 포괄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하면, 수학적. 과학적. 사고의 발달에 관해서는 상당히 언급되고 있지만, 문학, 예술, 음악 등의 정서성이 표함된 인지적 측면들은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다. 그의 이론을 통해서는 아이들의 공포, 불안, 흥분, 백일몽 등에 관한 지식을 얻기 힘들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학자들이 정서발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인지발달과 정서발달의 상호관계서의 규명도 필요하다고 믿고 있다.
이러한 약점에도 불구하고 피아제의 이론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실로 크다. 그의 이론에서 우리는 학습을 두 가지 의미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동화와 조절이라는 적응의 과정을 통해 심리구조의 재구성을 이룩함으로써 인지발달이 이루어져 간다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학습이란 새로운 정보의 획득이며 새로운 심리구조의 획득이라고 말할 수 있다. 동화와 조절이라는 적응과정의 결과로 새로운 정보와 심리구조를 획득하는 인간은 지식을 추구하고 경험하는 능동적인 존재이다.
## 참고문헌 ##
김동배.권중돈 2001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최순남 199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한신대학교출판부
이인정.최혜경 199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출판
http://home.knue.ac.kr/%7Eshpaik/Piaget.hwp
http://dragon.yonsei.ac.kr/~ych0406/main/piaget.htm
추천자료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과 Vygotsky의 인지발달 이론
인지주의 학습 이론(Piaget & Vogotsky), 행동주의 이론(Thorndike & Skinner & ...
아동발달 A형,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 대한 분석,장 피아제(Jean Piaget)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에 따른 정신지체(지적장애)의 이해와 특수교육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피아제(Piaget) 인지발달 이론에 따른 아동의 보존개념 형성정도 실험
아동의 인지발달에 대한 피아제(Piaget)의 인지단계 이론에 대하여 논하시오
영유아발달 중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piaget(피아제)의 이론 중에서 영유아기에 해당하는...
아동의 인지발달과정을 설명한 피아제(Piaget)의 이론을 정리하여 소개하고 Piaget이론의 의...
[영아발달]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을 영아발달 중심으로 논하고, 영아들이 활동할 ...
Piaget 인지발달 이론 中 영아발달 중심으로 활동가능 프로그램
Piaget와 Vygotsky의 각각의 이론에서 인지를 바라보는 관점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이론이 갖...
유아인지발달 이론 중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4단계의 각 단계별 특징과 여러 사례를 조...
아동발달 이론가 [Piaget의 인지 발달이론 Kohlberg Pavlov Skinner Watson Bandura Freud E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