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노인의 정의
2. 노인 간호 발달의 필요성
3.노화 이론
4.노인의 주요 문제와 사회복지제도
5. 노인의 생태학적 변화와 간호
9.노인의 운동
10. 노인의 약물요법
Ⅱ.노인의 응급간호
2. 노인 간호 발달의 필요성
3.노화 이론
4.노인의 주요 문제와 사회복지제도
5. 노인의 생태학적 변화와 간호
9.노인의 운동
10. 노인의 약물요법
Ⅱ.노인의 응급간호
본문내용
류 감소
-심박출량 감소
③약물 대사의 생화확적 전환의 변화
-위장관에서 흡수된 약물이 전신 순환으로 들어가기 전에 간에서 일차적으로 생화학적 전환을 하게 되는데 노인은 간의 관류가 감소하여 생화학적 전환이 안된 약품의 혈중농도가 높아진다.
④약품 배설기능 저하
-신장기능의 감소로 약품의 배설이 늦어지므로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약물은 독성이 축척될 수 있다.
3)노인의 약물 사용 오류
■오류의 원인
①기억력 장애
②만성 질환 시 치료에 대한 불이행
③부작용 발생
④약품 사용 시 꺼리는 가치관
⑤약품대신 식이, 운동요법으로 대치하려함.
⑥약품 구입의 문제: 교통, 경제
⑦약품에 대한 지식 부족: 건강 요원의 설명 부족
⑧시력 장애
⑨글자해독 장애
4)노인에게 흔히 사용하는 약물과 작용
(1)흔히 사용하는 약물
①강심제
-신기능 감소: 약물의 배설이 늦어져 중독의 위험
-강심제는 보통 이뇨제와 같이 사용하므로 K+가 배설되어 저칼륨혈증의 위험.
-inderal 을 동시에 사용하면 강심제의 작용이 감소되고 부정맥이 나타 날 수 있다.
②혈압하강제
-노인의 혈압의 치료는 서서히 행하여야 한다.
-고혈압의 갑작스런 치료는 체위성 저혈압, 대뇌와 신장혈류 감소, 심장합병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③이뇨제
-이뇨제 사용시 K+가 배설되어 저칼륨혈증 일어 날 수 있다.
-칼륨 결핍의 증상: 기면, 혼돈, 혈압강하, 부정맥, 근력 약화, 식욕 부진 등
-칼륨 보충 식품: 말린 과일, 살구, 복숭아, 바나나, 대추, 오렌지 쥬스, 야채, 고기 등
-칼륨 보충약물: potassium chloride(KCL)
④진통제
-중추신경에 작용하는 morphine과 같은 진통제는 호흡을 억제
따라서 노인을 소량을 사용
⑤경구용 혈당 하강제
-부작용: 불안, 두통, 식은 땀, 떨림 등의 증상(저혈당 증상)
이 경우, 탄수화물 즉시 투여
⑥항불안제
-Valium 등은 가벼운 신경안정제는 불안을 감소시켜 잠을 자도록 하는 효과가 있어 노인층에서 많이 사용.
-반감기는 길지만 긴장과 근육경련의 완화에 효과가 크다.
-부작용: 기면 상태, 운동실조, 혼동
⑦진정제와 최면제
-Barbiturates는 심한 불안정, 기면상태, 악몽을 야기시킬 수 있다.
-잠자기 전의 환경을 조용히 하고 음료를 마시게 한다.
⑧완화제
-많은 노인들이 대변을 보기 위해 완화제나 하제를 투여하는 습관이 있다.
-완화제의 남용은 과도한 장배설과 전해질 불균형, 탈수를 초래 할 수 있다.
⑨항생제
-대부분의 항생제는 위장에 자극을 주므로 공복시에 복용하는 것 보다는 식후에 복용하는 것이 좋다.
-위장장애가 있는 사람은 제산제와 같이 복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2)약물 부작용
①혼돈(confusion): thorazine, sedatives, valium, diuretics 를 사용할 경우.
②낙상(falls): antidepressants, sedatives, tranquilizers
③실금(incontinence): diuretics, sedatives
④부동(immobility): narcotics, valium
Ⅱ.노인의 응급간호
1)노인의 응급상황을 높이는 요인들
①감각기관장애: 시력, 청각, 후각기능 저하
②근골격계 변화: 뼈와 근육이 약해짐. 골다공증이 생겨 허리가 굽고 체중의 중심이 앞으로 갈수 있음
③생리적 변화: 약물대사가 늦어 혈중농도가 쉽게 상승. 특히 진정제나 최면제에 의한 부작용이 오기 쉽고 강심제(digitalis)에 의한 부정맥도 젊은 사람들보다 흔하다.
④신경계와 인지적 변화: 반응 시간의 지연, 시간변화와 감각의 둔화, 통증에 대한 역치 증가, 문제 해결 능력의 감소, 기억력과 집중력의 감소
⑤만성질환의 증가: 뇌졸중, 심장질환, 고혈압, 당뇨병, 파킨스씨병, 관절염, 치매 등
⑥사회경제적 요인: 사회변화에 대한 적응력 저하, 수입감소와 관련된 주거 환경의 불안정, 가족으로부터의 고립
2)노인에게 가장 흔한 상해
(1)낙상(전체 노인의 약 30% 낙상)
낙상에 의한 사망은 흔하다.
여성 노인 > 남성노인
양로원 낙상 중 1/5은 사망으로 이어지고 고관절 골절 대상자 중 약 30%가 5개월내에 장기간의 기동성 장애로 인해 사망
겨울철 낙상 흔하고 가정에서는 부분카펫이나 화장실 출입에 관련된 낙상 多
(2)화상
사망률: 노인(7배) > 젊은이 ...화상발생율: 노인 < 청년층
남자 노인 > 여성노인 (60%화상이 가정에서 발생)
사마아원인: 쇼크, 폐수종, 폐렴
<화상후 생존에 영향을 주는 요소>
사망률: 상체 화상 > 하지화상
폐렴생긴 경우 사망률 높음
영양상태 나쁘거나 감염 있는 경우 예후 나쁨
<화상의 원인>
뜨거운 물:목욕탕에서 갑작스럽게 더운물이 나올 때
불: 가스렌지, 담배(기억력 장애로)
전기: 낡은 집의 합선, 누전
<화상예방전략>
환경교정: 목욕탕 냉온수 조절기
화재경보기 설치
환경안전점검(가정방문시에 반드시 사정)
(3)교통사고
자동차 사고: 65세 이상 노인상해의 30%
사고율: 아이들에 비해 2~7배 높음. 여자 55~64세에서 보행자 사고율 가장 높음
보행자 사망률: 남자 75세에서 가장 높음.
운전자 사망률: 노인에서 오히려 낮다(가장높은 사망률:20~24세)
65세 이상의 운전자는 야간 운전을 피한다.(사고의 위험증가)
3)가정 안전상태 사정
(1)집안내부
①깔개, 부분 카펫 등의 고정상태: 고무 바킹, 양면테잎
②전기선의 상태
③빛, 열, 환기
밤에 적당한 불의 광도
불을 쉽게 켤수 있는가?
실내온도의 적절성(22~23 )
보일러의 환기 상태
④장농은 안전하고 튼튼한다?
⑤움직이는데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었는가?
⑥응급시 전화번호는 쉽게 찾을 수 있는 곳에 있는가?
(2)주방
①가스렌지, 냉장고, 싱크대: 불붙기 쉬운 물질은 있는가?
②소화기는 가까이 있는가?
③냉장고의 기능과 상한 음식이 있는지?
④싱크대는 물이 잘 빠지는지?
⑤쓰레기는 버리기에 용이한가?
(3)화장실과 목욕탕
-손잡이는 있는가? ,매트는 안전한가?
(4)건물 바깥
①인도와 계단(장애물은 없는가?손잡이가 있는가?)
②창문이나 현관문의 방충망은 있는가?
③응급시 대피할 다른 문은 있는가?
-심박출량 감소
③약물 대사의 생화확적 전환의 변화
-위장관에서 흡수된 약물이 전신 순환으로 들어가기 전에 간에서 일차적으로 생화학적 전환을 하게 되는데 노인은 간의 관류가 감소하여 생화학적 전환이 안된 약품의 혈중농도가 높아진다.
④약품 배설기능 저하
-신장기능의 감소로 약품의 배설이 늦어지므로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약물은 독성이 축척될 수 있다.
3)노인의 약물 사용 오류
■오류의 원인
①기억력 장애
②만성 질환 시 치료에 대한 불이행
③부작용 발생
④약품 사용 시 꺼리는 가치관
⑤약품대신 식이, 운동요법으로 대치하려함.
⑥약품 구입의 문제: 교통, 경제
⑦약품에 대한 지식 부족: 건강 요원의 설명 부족
⑧시력 장애
⑨글자해독 장애
4)노인에게 흔히 사용하는 약물과 작용
(1)흔히 사용하는 약물
①강심제
-신기능 감소: 약물의 배설이 늦어져 중독의 위험
-강심제는 보통 이뇨제와 같이 사용하므로 K+가 배설되어 저칼륨혈증의 위험.
-inderal 을 동시에 사용하면 강심제의 작용이 감소되고 부정맥이 나타 날 수 있다.
②혈압하강제
-노인의 혈압의 치료는 서서히 행하여야 한다.
-고혈압의 갑작스런 치료는 체위성 저혈압, 대뇌와 신장혈류 감소, 심장합병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③이뇨제
-이뇨제 사용시 K+가 배설되어 저칼륨혈증 일어 날 수 있다.
-칼륨 결핍의 증상: 기면, 혼돈, 혈압강하, 부정맥, 근력 약화, 식욕 부진 등
-칼륨 보충 식품: 말린 과일, 살구, 복숭아, 바나나, 대추, 오렌지 쥬스, 야채, 고기 등
-칼륨 보충약물: potassium chloride(KCL)
④진통제
-중추신경에 작용하는 morphine과 같은 진통제는 호흡을 억제
따라서 노인을 소량을 사용
⑤경구용 혈당 하강제
-부작용: 불안, 두통, 식은 땀, 떨림 등의 증상(저혈당 증상)
이 경우, 탄수화물 즉시 투여
⑥항불안제
-Valium 등은 가벼운 신경안정제는 불안을 감소시켜 잠을 자도록 하는 효과가 있어 노인층에서 많이 사용.
-반감기는 길지만 긴장과 근육경련의 완화에 효과가 크다.
-부작용: 기면 상태, 운동실조, 혼동
⑦진정제와 최면제
-Barbiturates는 심한 불안정, 기면상태, 악몽을 야기시킬 수 있다.
-잠자기 전의 환경을 조용히 하고 음료를 마시게 한다.
⑧완화제
-많은 노인들이 대변을 보기 위해 완화제나 하제를 투여하는 습관이 있다.
-완화제의 남용은 과도한 장배설과 전해질 불균형, 탈수를 초래 할 수 있다.
⑨항생제
-대부분의 항생제는 위장에 자극을 주므로 공복시에 복용하는 것 보다는 식후에 복용하는 것이 좋다.
-위장장애가 있는 사람은 제산제와 같이 복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2)약물 부작용
①혼돈(confusion): thorazine, sedatives, valium, diuretics 를 사용할 경우.
②낙상(falls): antidepressants, sedatives, tranquilizers
③실금(incontinence): diuretics, sedatives
④부동(immobility): narcotics, valium
Ⅱ.노인의 응급간호
1)노인의 응급상황을 높이는 요인들
①감각기관장애: 시력, 청각, 후각기능 저하
②근골격계 변화: 뼈와 근육이 약해짐. 골다공증이 생겨 허리가 굽고 체중의 중심이 앞으로 갈수 있음
③생리적 변화: 약물대사가 늦어 혈중농도가 쉽게 상승. 특히 진정제나 최면제에 의한 부작용이 오기 쉽고 강심제(digitalis)에 의한 부정맥도 젊은 사람들보다 흔하다.
④신경계와 인지적 변화: 반응 시간의 지연, 시간변화와 감각의 둔화, 통증에 대한 역치 증가, 문제 해결 능력의 감소, 기억력과 집중력의 감소
⑤만성질환의 증가: 뇌졸중, 심장질환, 고혈압, 당뇨병, 파킨스씨병, 관절염, 치매 등
⑥사회경제적 요인: 사회변화에 대한 적응력 저하, 수입감소와 관련된 주거 환경의 불안정, 가족으로부터의 고립
2)노인에게 가장 흔한 상해
(1)낙상(전체 노인의 약 30% 낙상)
낙상에 의한 사망은 흔하다.
여성 노인 > 남성노인
양로원 낙상 중 1/5은 사망으로 이어지고 고관절 골절 대상자 중 약 30%가 5개월내에 장기간의 기동성 장애로 인해 사망
겨울철 낙상 흔하고 가정에서는 부분카펫이나 화장실 출입에 관련된 낙상 多
(2)화상
사망률: 노인(7배) > 젊은이 ...화상발생율: 노인 < 청년층
남자 노인 > 여성노인 (60%화상이 가정에서 발생)
사마아원인: 쇼크, 폐수종, 폐렴
<화상후 생존에 영향을 주는 요소>
사망률: 상체 화상 > 하지화상
폐렴생긴 경우 사망률 높음
영양상태 나쁘거나 감염 있는 경우 예후 나쁨
<화상의 원인>
뜨거운 물:목욕탕에서 갑작스럽게 더운물이 나올 때
불: 가스렌지, 담배(기억력 장애로)
전기: 낡은 집의 합선, 누전
<화상예방전략>
환경교정: 목욕탕 냉온수 조절기
화재경보기 설치
환경안전점검(가정방문시에 반드시 사정)
(3)교통사고
자동차 사고: 65세 이상 노인상해의 30%
사고율: 아이들에 비해 2~7배 높음. 여자 55~64세에서 보행자 사고율 가장 높음
보행자 사망률: 남자 75세에서 가장 높음.
운전자 사망률: 노인에서 오히려 낮다(가장높은 사망률:20~24세)
65세 이상의 운전자는 야간 운전을 피한다.(사고의 위험증가)
3)가정 안전상태 사정
(1)집안내부
①깔개, 부분 카펫 등의 고정상태: 고무 바킹, 양면테잎
②전기선의 상태
③빛, 열, 환기
밤에 적당한 불의 광도
불을 쉽게 켤수 있는가?
실내온도의 적절성(22~23 )
보일러의 환기 상태
④장농은 안전하고 튼튼한다?
⑤움직이는데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었는가?
⑥응급시 전화번호는 쉽게 찾을 수 있는 곳에 있는가?
(2)주방
①가스렌지, 냉장고, 싱크대: 불붙기 쉬운 물질은 있는가?
②소화기는 가까이 있는가?
③냉장고의 기능과 상한 음식이 있는지?
④싱크대는 물이 잘 빠지는지?
⑤쓰레기는 버리기에 용이한가?
(3)화장실과 목욕탕
-손잡이는 있는가? ,매트는 안전한가?
(4)건물 바깥
①인도와 계단(장애물은 없는가?손잡이가 있는가?)
②창문이나 현관문의 방충망은 있는가?
③응급시 대피할 다른 문은 있는가?
추천자료
(고령화사회)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부양문제의 실태와 개선방안
고령화시대의 노인문제와 복지정책 개선을 통한 해결방안(A+자료)
고령화사회의 노인문제와 해결방안
현대사회의 노인문제와 대처방안
고령화 사회와 노인문제
현대사회에서 노인문제가 대두되는 배경을 기술하시오jo
[노인문제]장기요양보호와 재가복지서비스
[노년학]현대사회에서 노인문제가 대두되는 배경에 대해
(노년학 공통)현대사회에서 노인문제가 대두되는 배경에 대한 고찰
[현대사회의 노인문제와 개입방안 -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고령화 시대의 노인문제와 해결방안
[가족복지론] 노인복지문제에 관한 실태와 해결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