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 용어설명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좁으며, 주걱처럼 생긴 모양.
주두 → 암술머리.
주아 (珠芽, bulbil) 작은 비늘 조각을 말하며, 생식 능력이 있습니다.
주피 (珠被, integument) 배주를 둘러싼 껍질을 말합니다.
중위씨방 → 자방중위.
중거치 (重鋸齒) 겹톱니.
중성화 (中性花, asporangiate, neutral flower) 암술과 수술이 모두 없는 꽃.
중축태좌 (中軸胎座, axile placenta) 심피가 여러 개로 이루어진 씨방에서, 각 심피의 가장자리가 가운데로 모여 축이 되고 이 축에 배주가 달리는 태좌를 말합니다.
지하경 → 땅줄기.
직생배주 (直生胚珠) 배주가 곧게 서는 것.
집과 (集果) 목련의 열매처럼 여러 열매가 모여서 된 것을 말합니다.
짝수 깃꼴겹잎 (偶數羽狀複葉, paripinnately compound leaf) 작은잎의 갯수가 짝수인 깃꼴겹잎을 말합니다.
창상공질 (窓狀孔質) 잎과 줄기 속에 창살 모양의 구멍이 나 있는 것을 말합니다.
초본 (草本, herb) 가을이 되면 땅 윗부분이 완전히 말라 버리는 식물을 말합니다.
초상 칼집 모양.
초상엽 칼집 모양의 잎.
초포 죽순의 껍질.
총상화서 (總狀花序, raceme) 긴 꽃차례축에 꽃자루의 길이가 같은 꽃들이 들러붙고, 아래에서 위쪽 순서로 꽃이 피는 꽃차례를 말합니다.
총생 (叢生, caespitose) 더부룩하게 무더기로 난 것을 말합니다.
총엽병 (rachis) 복옆에서, 모든 소엽(leaflet)들을 지탱하는 줄기를 총엽병이라고 합니다.
총포 (總苞, involucre) 꽃차례 밑에 붙은 포를 말합니다.
총포조각 → 총포편.
총포편 (總苞片, involucral bract) 총포를 구성하는 총포 조각을 말합니다.
취산화서 (聚散花序, cyme) 꽃차례의 끝에 달린 꽃 밑에서 한 쌍의 꽃자루가 나와 각각 그 끝에 꽃이 한 송이씩 달리고, 바로 그 꽃 밑에서 또 각각 한 쌍씩의 작은 꽃자루가 나와 그 끝에 꽃이 한 송이씩 달리는 꽃차례를 말합니다. 처음의 중앙에 있는 꽃이 먼저 핀 다음 주위의 꽃들이 피어 납니다.
취합과 (聚合果) 열매가 촘촘히 붙어 나는 것을 말합니다.
측막 태좌 (側膜胎座, parietal placenta) 중앙에 생긴 축과 각 방 사이의 막이 없어져서 한 방이 되며, 막이 있던 자리에 배주가 달리는 태좌를 말합니다.
치아상 (齒牙狀) 이빨 형태의 커다란 톱니 모양.
침엽 (針葉, acicular leaf, needle leaf) → 바늘잎.
침형 (針形, acicular) 가늘고 길며 끝이 뾰족한 바늘 모양.
캘러스 (callus) 벼과 꽃의 외영 아랫 부분이며, 대개는 딱딱하게 굳어 있습니다.
타원형 (elliptical) 길이가 폭의 두 배 정도 되는 길고 둥근 모양을 말합니다.
태좌 (胎座, placenta) 배주가 씨방 안에 붙어 있는 자리를 태좌라고 합니다.
턱잎 (托葉, stipule) 잎자루가 줄기에 붙어 있는 곳 좌우에 달려 있는 비늘 같은 잎을 말합니다.
판상 (板狀) 판처럼 편평한 모양.
폐쇄화 (閉鎖花) 제비꽃 또는 땅콩에서 볼 수 있으며, 보통 땅 속에서 피는 꽃을 지칭합니다.
포 (苞, bract) 잎이 작아져서 그 형태가 보통의 잎과 달라진 것을 말합니다.
포간개열 (胞間開裂, septicidal) 삭과 중에서 심피실 사이의 막에 따라서 터지는 것을 말합니다.
포공개열 (胞孔開裂, poricidal) 삭과 중에서 삭과의 끝이나 밑에 구멍이 생기면서 씨앗이 나오는 것을 말합니다.
포배개열 (胞背開裂, loculicidal) 삭과 중에서 배봉선에 따라서 터지는 것을 말합니다.
포복경 (匍匐莖, stolon) 땅속줄기와 비슷하나 땅 위로 기어가는 줄기를 말합니다. 마디 사이가 길고, 마디에서 뿌리와 잎이 돋아 나오며, 이것으로 번식합니다.
포영 (苞潁, glume) → 호영.
포충낭 땅귀이개와 통밭과 같이 잎이 주머니 모양으로 되어 작은 벌레를 잡는 기관을 말합니다.
포편 포조각
피목 (皮目, lenticel) 표피 밑의 코르크가 표피를 뚫고 나온 것을 말합니다.
피침형 (披針形, lanceolate) 창처럼 생겼으며, 길이가 폭의 몇 배가 되고, 밑에서 1/3 정도 되는 부분이 가장 넓으며, 끝이 뾰족한 모양.을 말합니다.
하순꽃잎 (下脣花瓣) 입술 모양의 꽃에서 밑의 꽃잎을 말합니다.
하위씨방 → 자방하위.
합심피 서로 붙어있는 심피.
합판화 (合瓣花, gamopetalous) 꽃잎이 서로 붙어있는 꽃.
핵과 (核果, drupe) 다육질의 껍질을 지닌 열매로서, 속에 단단한 내과피가 씨앗을 둘러싸고 있습니다.
헛수술 (staminode) 양성화에서 수술이 형태만 갖추고 기능을 나타낼 수 없는 것을 말합니다.
혁질 (革質, coriaceous) 가죽같은 질감.
현수과 (懸瘦果) 열매가 중축에서 갈라지며 거꾸로 달리는, 산형과 식물에서 볼 수 있는 열매를 말합니다.
협과 (莢果, legume) → 꼬투리.
호생 (互生, alternate) → 어긋나기.
호영 벼과 식물 꽃의 맨 밑을 받치고 있는 한 쌍의 작은 조각을 말합니다.
홀수 깃꼴겹잎 (奇數羽狀複葉, imparipinnately compound leaf) 작은잎의 숫자가 홀수인 깃꼴겹잎.
화사 → 수술대.
화관 (花冠, corolla) 화관은 꽃받침의 안쪽에 있으며 꽃잎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꽃잎이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을 이판화관(polypetalous), 서로 붙어 있는 것을 합판화관(gamopetalous)라고 합니다.
화경 (花莖, scape) → 꽃줄기.
화경 (花梗, peduncle) → 꽃자루.
화분괴 (花粉塊, pollinia) → 꽃가루덩이.
화서 (花序, inflorescence) → 꽃차례.
화조 (花爪) 화판이나 꽃받침의 아래쪽이 가늘어진 부분.
화주 → 암술대.
화총 (花叢) 꽃이 모여 붙어 다발처럼 된 것.
화축 (花軸) 꽃차례의 축.
화탁 (花托, receptacle) →꽃턱
화피 (花被, perianth) →꽃덮이
환상 (環狀) 고리 모양.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4.05.29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33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