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1>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의 특성과 장단점
문제 2> 실험연구의 장단점, 연구의 타당성을 저해하는 요인들
문제 2> 실험연구의 장단점, 연구의 타당성을 저해하는 요인들
본문내용
, 이러한 차이가 실험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의 성적은 같다 하더라도 지능이나 학습동기가 서로 달라 이들 요인이 독립변인과는 별도로 작용하여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실험연구의 외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
외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이란 어떤 특수한 실험에서 얻은 실험결과를 그 실험이 진행된 맥락과는 다른 상황, 다른 대상, 다른 시기등에 일반화시키는데 제약을 주는 요인을 말한다.
①검사실시와 실험처치간의 상호작용-사전검사의 실시로 인하여 실험처치에 대한 피험자의 관심이 증가되거나 혹은 감소됨으로써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사전검사를 받은 피험자는 실험처치를 받지 않더라도 사전검사에서 다룬 주제에 대해 갑자기 관심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험처치를 하고 난 후 그 실험처치의 영향을 평가한다면, 그 평가는 처치의 효과만이 아니라 처음에 실시한 사전검사의 효과도 동시에 측정하고 있는 것이 된다.
②피험자의 선발과 실험처치간의 상호작용효과 - 피험자의 유형에 따라 실험처치의 영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어떤 교육프로그램을 학생들의 가정생활 정도가 높은 학교에서 적용하여 그 성과가 컸다고 하자, 그렇다고 해서, 그 교육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가정환경이 낮은 학교에서도 그 성과가 가정 환경이 높은 학교에서처럼 크리라고 속단하기는 어렵다. 이처럼 같은 실험이라고 해도 피험자가 달라지거나, 실험시기가 달라지거나 실험도구가 달라진다면 실험결과 역시 달라질 수 있다.
③실험상황에 대한 반동(反動)효과 - 일상적인 생활과 실험상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실험의 결과를 그대로 일반화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뜻한다. 피험자가 자신이 실험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느낄 때, 그들은 평소와 다른 행동을 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실험적 상황에 처하지 않은 다른 대상들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제한이 따른다.
④중다처치에 의한 간섭효과 - 한 피험자가 여러 가지 실험처치를 받는 경우에, 이전의 처치에의한 경험이 이후의 처치를 받을 때까지 계속 남아 있음으로써 일어나는 영향을 말한다. 중복된 처치를 받은 경우의 처치효과는 새로운 처치의 효과라기보다는 일정한 순서로 여러 가지 처치를 받았던 사람에게만 기대할 수 있는 독특한 것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그러한 실험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3)실험연구의 외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
외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이란 어떤 특수한 실험에서 얻은 실험결과를 그 실험이 진행된 맥락과는 다른 상황, 다른 대상, 다른 시기등에 일반화시키는데 제약을 주는 요인을 말한다.
①검사실시와 실험처치간의 상호작용-사전검사의 실시로 인하여 실험처치에 대한 피험자의 관심이 증가되거나 혹은 감소됨으로써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사전검사를 받은 피험자는 실험처치를 받지 않더라도 사전검사에서 다룬 주제에 대해 갑자기 관심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험처치를 하고 난 후 그 실험처치의 영향을 평가한다면, 그 평가는 처치의 효과만이 아니라 처음에 실시한 사전검사의 효과도 동시에 측정하고 있는 것이 된다.
②피험자의 선발과 실험처치간의 상호작용효과 - 피험자의 유형에 따라 실험처치의 영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어떤 교육프로그램을 학생들의 가정생활 정도가 높은 학교에서 적용하여 그 성과가 컸다고 하자, 그렇다고 해서, 그 교육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가정환경이 낮은 학교에서도 그 성과가 가정 환경이 높은 학교에서처럼 크리라고 속단하기는 어렵다. 이처럼 같은 실험이라고 해도 피험자가 달라지거나, 실험시기가 달라지거나 실험도구가 달라진다면 실험결과 역시 달라질 수 있다.
③실험상황에 대한 반동(反動)효과 - 일상적인 생활과 실험상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실험의 결과를 그대로 일반화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뜻한다. 피험자가 자신이 실험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느낄 때, 그들은 평소와 다른 행동을 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실험적 상황에 처하지 않은 다른 대상들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제한이 따른다.
④중다처치에 의한 간섭효과 - 한 피험자가 여러 가지 실험처치를 받는 경우에, 이전의 처치에의한 경험이 이후의 처치를 받을 때까지 계속 남아 있음으로써 일어나는 영향을 말한다. 중복된 처치를 받은 경우의 처치효과는 새로운 처치의 효과라기보다는 일정한 순서로 여러 가지 처치를 받았던 사람에게만 기대할 수 있는 독특한 것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그러한 실험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추천자료
방과후 아동 보육 교사의 질적 수준에 관한 연구
수업관찰 및 분석방법 -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
사회복지실천의 연구방법론 경향 연구
현장교육연구의 이해 및 연구보고서의 작성에 관한 고찰
교육연구방법 연습문제 1장~13장
교육연구의 개념
현장교육연구의 의미와 중요성, 현장교육연구의 유형과 특징, 현장교육연구의 가치, 현장교육...
현장교육연구의 개념, 현장교육연구의 특성, 현장교육연구의 중요성, 현장교육연구의 추진과...
사회조사방법 중 질적조사와 양적조사 방법 비교 설명
양적 정치학 방법론 연구보고서
교육과정과 교사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Tyler 이후의 교육과정 연구]
양적논문에 관한 연구
일반 유치원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