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속의 한국 호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속의 한국 호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경제발전과 소비성향 (중국, 러시아중심으로)

Ⅱ. 본론
- 「경제발전=소비증가=관광산업발전=호텔수요증가」
- 호텔 현황
- 외국 호텔의 진출사례 분석
- 한국 호텔의 진출사례 분석

Ⅲ. 결론
- 해외진출의 기회와 위기, 그리고 마케팅
- 세계 속의 우뚝 선 한국호텔이 되자!

본문내용

텔은 여태껏 주로 국영기업에 속한 하나의 계열사의 위치였다"며 "그렇기 때문에 서비스의 질은 낮을 수밖에 없으며, 서비스 향상을 할 필요성을 깨달은 중국 호텔 측의 요구를 잘 파악해야한다"고 덧붙였다.
현지화가 관건
이렇게 국내 호텔들의 중국,러시아 진출이 가속화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무엇보다 현지화가 관건이라는데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중국 관광여유국의 한 관계자는 "가장 중요한 것은 중국의 현지 사정에 맞는 운영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라고 전제하며, "현지에서 직원을 채용하고 중국 사정에 맞는 운영을 해 나간다면 중국 정부도 투자를 환영한다"고 설명했다.
김동하 포스코 연구원도 "한국인만을 상대로 영업을 할 생각을 하면 한계가 있기 마련"이라며 "커져가는 중국 국내 수요를 생각해서 중국인들의 기호와 특성을 잘 만족시켜주는 마케팅을 실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또 "아직까지 다른 지방을 방문하여 숙박을 할 경우 초대소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을 호텔로 끌어들일 수 있는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계속에 우뚝 선 한국호텔
우리는 위에서 본 바와 같은 기회와 위기를 극복하고, 고객을 만족시키는 마케팅으로 세계속에 우뚝선 한국호텔의 위상을 기대하며, 앞으로의 사업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세계 속에 우뚝 선 한국호텔>
1. 중국은 중국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중국을 선점하여 아시아대륙을 포섭하고, 현재발전 중인 러시아, 그리고 확장된 EU(동유럽->서유럽)에 한국 호텔의 위상을 떨쳐라!!
중국의 러시아 진출 [조선일보]
러시아에 첫 차이나타운이 생길 전망이다.
중국 상하이 산업투자회사는 지난 13일 상트 페테르부르크시측과 타운 개발 계획에 대한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 크라스노셀스키’ 지역 150㏊ 부지에 10억달러를 투자, 쇼핑센터와 특급호텔, 아파트단지, 체육관, 중국상점 및 중국식당을 건설키로 합의했다.
지난 수년 동안 상트 페테르부르크가 유치한 외국인 투자 규모 중 최대다. 차이나타운은 중국인들의 러시아 진출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상트 페테르부르크는 러시아 제2도시이자 푸틴 대통령의 고향으로 최대 관광명소. 중국인들은 이곳을 거점으로 지척에 위치한 발틱3국에 대한 추가 투자에도 나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그동안 극동(極東)의 러시아와 국경지역을 중심으로 꾸준히 상권을 늘려왔으며, 최근에는 중서부 시베리아와 모스크바 등 대도시를 대상으로 상권을 확대해 왔다.
러시아·중국 신규 노선 배분 [kotra]
인천-상뜨페테르부르크간 여객노선과 대구-선양 여객노선이 신설될 전망이다. 건설교통부는 항공회담을 통해 확보한 국제항공운수권 중 러시아 상뜨페테르부르크 노선과 중국 심양 신규노선을 대한항공에 배분했다고 지난 16일 발표했다.
내년 3월부터 취항 가능한 인천-상뜨페테르부르크간 노선은 주 3회로 배정됐다. 현재 러시아에는 대한항공이 2개 노선 주5회, 아시아나항공이 2개 노선 주2회, 러시아 블라디보스톡항공사 등 5개 항공사가 7개 노선 주16회를 운항하고 있다. 대구-선양 노선은 현재 중국 남방항공이 주 2회 운항중이며 대한항공이 주3회 운항할 경우 주5회로 늘어나게 된다.
=>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국 또한 러시아에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한국의 빠른 진출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그리고 관광업계에서 가장 진출이 쉬운 항공업계에서 노선을 늘이고 있고, 중국은 아시아나와 대한항공간의 노선싸움까지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2. 중국 못지 않는 인도를 노리자! 가치혁신을 통한 호텔성공신화 이륙!!
: IT의 강세로 인도의 노동력 수급등으로 외국기업의 진출이 활발하다.
현재 경제성장률 또한 중국 다음인 7%에 육박한다.
인도 의약품, 호텔, 공항, 특사배달 100% 외국인 직접투자 허용
[ kotra - 뉴델리 ]
그동안 외국인 단독투자가 불허되어 왔던 인도내 약품 및 의약품(Drugs and Pharmaceuticals), 호텔 및 관광업(Hotel & Tourism), 특사배달(Courier Service), Mass Rapid Transport System(MRTS), 도시개발(Development of Town ship)에 대한 외국인 100% 단독투자가 가능케 되었다. 아울러 종전 100% 단독 투자 승인 후 일정기간내 인도내 기업에 지분을 허용하는 조건부 승인조항 (의약품의 경우 26%)도 폐지되었다.
이번 직접투자 개방폭 확대 내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Automatic Route FIPB Route
-------------------------- ------------------------------
Drug & Pharmaceuticals ? 100% Airports ? 100%
Hotels & Tourism ? 100% Banking ? 49%(Subject to RBI OK)
MRTS ? 100% Defence ? 26%
Courier Service ? 100% ISP, Internet Gateway,Radio Paging,
Airports ? 74% End-to End Bandwidth Service? 74%
-------------------------- ------------------------------
* Automatic Route : 중앙은행(RBI)의 서류 심사 등 요식절차를 거쳐 특정기간내 투자허가가 결정되는 경로
* FIPB(Foreign Investment Promotion Board) Route : 정부 관련부처로 구성된 외국인 직접투자 심사, 승인 위원회인 FIPB의 승인을 거쳐야 투자가 허용되는 경로로 해당분야, 금액 등이 별도의 국가적, 산업적 판단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분야에 적용됨.
이번 투자업종 개방과 관련, 의약품 분야의 경우 기투자 진출해 있는 종근당과 제일제당의 백신 합작투자 , 만성적인 특급호텔 객실부족 현상을 겪고 있는 호텔업 개방이 직접적 효과를 미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키워드

한국,   호텔,   세계,   신라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4.06.03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40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