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계 건강문제와 대상자 간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순환계 건강문제와 대상자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순환계 구조와 기능

Ⅱ.일반적 간호

III. 순환계 질환별 대상자 간호.

본문내용

과 체중에 따라 차이
5세이하 : 15~20ml/hr이 정상
정상성인 : 30~60ml/hr
시간당 뇨배설량이 30ml/hr이하일때는 보고해야함
간호사는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히 측정,방광팽만 징후 관찰,매일 아침 몸무게 측정
⑤대상자의 안위를 위한 간호
통증완화를 위하여 진통제 사용
과량 사용-->전신기능 저하,호흡기능 저하,기침반사를 억제시키기 때문에 심장수술후의 진통제 사용은 제한!
⑥신경 기능 증진을 위한 간호
수술후 1-2시간이내에 마취에서 깨어나야함
늦은 회복은(2-3일이상) 심폐기 사용으로 인한 뇌혈류의 감소,뇌색전증이나 뇌혈전증을 의심
⑦수술후 정신간호
심자 수술후 환자가 정신증적 상태가 올 수 있다.
대상자 잘 보살펴야 한다.
⑧조기이상
수술후 신진대사 기능증진,합병증 예방을 위하여 조기 이상을 하도록 한다.
조기이상 계획 : 수술후 24시간 후 손 발 운동
그 다음날 의자 않는 것 허용
5`-7일째 방안 복도 걷기
12-14일째 완전히 이상실시
8-10주에는 완전 회복
⑨합병증 예방간호
심장 수술후 대상자가 불안해 한다면 이는 극히 위험한 증상으로 출혈이나 쇽을 의심해야함
사지가 창백해지고 박동이 없으며 무감각 해지면 그부위의 색전을 의심
⑩퇴원시 간호
희망과 용기 주기
10.심장재활
초창기에는 재활의 신체적인 측면만 강조
점차 전인적 치료의 중요성을 깨닫고 정서사회적 중재의 필요성 인식(가족을 치료와 회복에 적극도움)
1)심장재활의 정의와 목적
운동요법,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 교정, 교육과 상담, 행동수정등을 포함한 총체적 프로그램
대상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그 궁극적 목적이 있다.
2)심장재활의 구성요소
운동처방에 따른 운동요법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
영양상담
금연프로그램
스트레스관리를 위한 정신사회적 상담프로그램
3)심장재활팀
여러전문분야 종합->팀웍이 중요
4)심장재활의 효과
심혈관질환 대상자의 삶의 질을 높인다.
(1)사망률과 이활률의 감소
심근경색후 심장재활 프로그램에 참여가 생존률 증가,심혈관계 사망률을 약 20~25%감소
운동요법은 관상동맥경화를 퇴화시키거나 호전
혈중내 낮은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 높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개선시킴으로써 관상동맥경화를 퇴화가능
(2)기능능력의 증진
심장질환 대상자에서 3-6개월간의 운동요법 후 기능능력,즉 최대산소섭취량은 11~66%까지 증가한다고 보고됨
㉠최대산소섭취량(maximum oxygen uptake)과MET(metabolic equivalent) 최대산소섭취량(VO2max) 사람이 근육을 사용하는 역동적인 운동을 할때 이용할 수 있는 산소이 최대량을 의미
,세포대사에서 이동되어 사용되는 산소의 양을 나타냄
MET는 앉아 있는 상태,즉 안정시 요구되는 산소섭취량의 단위
공식 : 1MET=3.5ml O2/kg body weight/minute
(3)심근능력(myocardial performance)
운동으로 단련하면 심전도와 심근관류 검사상심근의 산소전달이 향상되며,또한 동일한 심근부담도(rate-pressure product)에서 심전도상 ST분절 하강 혹은 심근관류 소견상 허혈이 감소
◈심근산소섭취량(myocardial oxygen uptake)
심근산소섭취량(MO2)은 심근 내벽의 긴장성(좌심실 수축기압 * 말기 이완기용적/좌심실벽두께),심장수출력 및 심박동수로 나타냄
심근부담도(rate-pressure product,RPP)
공식 : RPP(rate-pressure product)=(systolic blood pressure(mmHg) * heare rete(bpm)/100
(4)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 교정
규칙적인 운동은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5-6% 증가시키며,총 콜레스테롤,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유의하게 낮춘다고 보고
5)심장재활에서의 운동요법
(1)운동요법의 적응증과 금기증
운동강도에 대한 처방은 증상제한 운동부하검사( sympotom-limited graede xexecise test)결과에 준해 목표 심박동수(target haert rate,THR)와 자각증상지수(rate of perceived xeertion)를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운동처방의 원리
운동처방의 구성요소는 빈도(frequency),강도(intensity),지속시간(duration),종류(mode) 및 진행정도(progression)를 포함한다.
6)심장재활의 단계
심장재활은 3단계 혹은 4단계로 구분한다.
1단계 : 입원중에시행하는 것으로서,중환자실과 일반병동에서 시행되는 저강도 운동요법과 위험인자 관리 교욱을 포함.
2단계 : 병원이나 특수 의료클리닉 중심으로 외래방문을 통해서 퇴원후 1~3개월간 시행되며,마찬가지로 운동요법을 포함한 위험인자 교정을 위한 포괄적인 교육 및 상담이 이루어 진다.
3단계 : 지역사회 체육시설이나 특정 지역사회 센터 혹은 가정에서의 운동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지속적인 유지프로그램의미
(1)1단계 심장재활
질환 및 위험인자에 대한 교육과 상담을 통해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이해와 위험인자를 파악하고 교정
①조기이상 및 점진적은 신체활동
서있는 자세는 가능하면 자주,하루에 적어도 두 번 걷기 운동
운동강도는 안정시 심박동수보다 20회 상승한 수준을 목표심박동수로 정한다.
자각증상지수 11~13정도에서 걷기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②교육과 상담
걷기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간호사는 대상자 스스로 심박동수를 측정하고,자각증상지수를 이용할 수 있으며,중요한 증상을 인지할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2)2단계 심장재활
①2단계 심장재활에서의 운동요법
급성 심근경색증의 경우 퇴원 1개월후부터,관상동맥우회로술의 경우 수술후 2~3개월 경과시부터 6~12주간 실시하며,운동중에는 혈압과 심전도를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②위험인자 교정을 위한 교육
③정서사회적 간호 중재
정서사회적 문제는 심장재활에 참여한 외래 대상자에서 흔히 있을 수 있는 문제이다.
(3)3단계 심장재활
3단계 심장재활에서의 운동요법은 2단계를 마친 후 약 3~6개월간 시행되어진다.
안정시 심박동수가 90회/분 이하.운동능력이 적어도 5MET이상 되어야 참여가 가능하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4.06.03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40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