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얹혀 도리·장여를 받는 초새김한 받침.
홍살문 : 릉·원·향교 등에 들어 가는 어귀에 세운 지붕이 없는 붉은 살을 세워댄 두기둥.
홍예보 : 수평으로 이루워진 보와는 달리 아아치 모양으로 구보러진 보. 모양이 무지개 같다고 홍량이라 하나 층이 다른 보의 연결 또는 회랑이나 퇴간의 보 등에서 사용된다.
1) 불상
불교의 신앙 대상으로 창조된 부처의 모습을 말한다. 따라서 우리가 불상 이라 할 때에는 부처의상 곧 붓다(Buddhe)를 가리키지만 오늘날 이 용어 는 모든 불상 조각을 통칭하는 넓은 의미로 쓰여지고 있다.
2) 불상의 종류와 특징
불상은 그 格에 따라 佛, 菩薩,天,羅漢으로 구분된다.
佛의 범어는 Budda(佛陀)의 약칭으로 깨달음을 얻은 覺者라는 뜻이다.불은 如來라고도 하며 불교 초기에는 석가모니 한분만을 뜻했지만 대승불교의 성립과 더불어 그 수가 늘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조각으로 표현되는 여래 상은 극히 한정되어 있다.
菩薩은 범어 Bodhisattva,즉 보리(진리) 살타(구하는 존재)의 약칭으뢨서 불교의 진리를 깨우치기위해 수행하는 동시에 부처의 자비행을 실천하여 모든중생을 교화하고자 노력하는대승불교의 이상적인 수행상을 가리킨다.
天이란 불교를 수호하는 수미산위의 여러천에 거주하는 諸神을 말하며 인도의 고대 신화중의 여러 토착신이 불교에 흡수된 것이다. 梵天,帝釋天,四 天王,八部衆,仁王등이 있다.
이 외에도 불교에는 부처님을 따르는 제자와 여러나라에서 숭앙받던 고승 들을 표현한 羅漢像이 있다.
* 석가여래 (釋迦如來)
불교의 창시자인 釋迦牟尼 부처님을 형상화한 것으로 석가모니란 "석가족 의 성자"라는 뜻이다. 서기 1세기경 대승불교가 성립되면서 신격화되어 成佛하기전의모습인 보살상과 성불한 여래상의 두 형식이 예배상으로 만 들어졌다.먼저 여래상에서는 두려움을 없애 준다는 시무외인과 모든 중생의 소원을 들어준다는 여원인인 손갖츰(手印)을 한 입상이 만들어졌으며, 뒤이어 成道했던 순간을 표현한 항마촉지인상과 선정인상,그리고 처음 설 법 때의 모습인 전법윤인(설법인)등이 좌상으로 만들어졌다.
이외에도 탄생과 열반의 순간을 표현한 탄생불과 열반상이 있다.
* 비로자라불 (毘盧자라佛)
불교의 진리 그 자체를 상징하는 法身佛로서 부처가 설법한 진리가 태양의 빛처럼 우주에 가득 비추이는 것을 형상화한 것이다. 머리에 寶冠을 쓴 보살형에 지권인인 수인을 맺는 두 가지 형식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통일신라 8세기 후반부터 크게 유행했던 비로자라불은 일반적인 형식과는 달리 지권인을 맺되 항상 여래상으로 표현되는 점이 특 징이다.
* 아미타불 (阿彌陀佛)
모든 중생을 구제하여 서방 극락 정토로 왕생케하는 부처이다. 무한한 진리와 빛을 상징하여 無量光如來라고도 하고 현실에서의 壽命長壽를 비는 사상과 결부되어 무량수여래로도 불리웠다. 단독불인 경우 시무에 여원인 의 입상과 설법인의 좌상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석가불과 구별하기 힘들지만 삼존불인 경우 관음과 세지보살을 협시로 하므로 구별이 쉽다.
특히 고려시대 이후의 아미타상은 아미타불 특유의 수인인 아미타9품인을 맺기 때문에 쉽게 구별이 된다.
* 약사불 (藥師佛)
모든 질병과 무지의 병까지 고쳐주는 부처로서,대의왕불(大醫王佛)이라 고도한다. 특정한 수인을 맺지는 않지만,손에 둥근 약단지(藥壺)를 들고 있어 쉽게 구별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통일신라시대에는 다른 나라에서 는 볼 수 없는 항마촉지인의 약사여래상이 크게 유행하였다.
* 미륵불,미륵보살 (彌勒佛,彌勒菩薩)
현재 도솔천이란 하늘나라에서 보살로 있으면서 56억 7천만년 뒤에는 이 세상에 여래로 나타나 못다 구제된 중생을 구제 한다는 未來佛이다.
이러한 속성으로 인해 미륵은 보살과 여래의 두가지 모습으로 형상화된다.
보살의 경우 인도에서는 정병(淨甁)을 든 입상으로 ,중국에서는 交脚奇像 의 모습으로 표현되며 ,특히 우리나라의 삼국시대에 유행했던 반가사유상은 이 미륵보살로 간주되기도 한다. 여래상의 경우 奇子像의 모습이 일반적이 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드문 형식이다.
* 관세음보살 (觀世音菩薩)
보살중 가장 대표적인것으로 여래의 자비심을 상징한다. "觀世音"이란 중 생의 고통을 소리로 듣고 구원한다는 뜻으로 관세음보살은 세상 모든 중생 의 여망에 따라 33가지 모습으로 나타나 구제하여 준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독립상과 함께 석가여래나 아미타불의 협시 보살로서 유행하였는데 처음에는 寶珠를 받든 형식으로 표현되다가 삼국시 대말기부터 보간을 횃불에 있고 손에 보병을 든 전형형식이 확립되게 되었 다. 또한, 통일신라 중엽에는 모든중생을 두루 살펴서 구원한다는 관음신 앙이 조형적으로 구현된 십일면관음도 함께 만들어 졌다
* 반가사유상 (半跏思惟像)
왼 무릎 위에 오른다리를 걸치고 고개숙인 얼굴의 뺨에 오른 손가락을 대 고 사유하고있는 모습의 상은 일찍이 인도에서 조성되었다. 원래 이러한 모 습은 출가전의 석가모니가 인생무상을 사유하던 모습이어서 중국에서는 太 子思惟像이라 하였는데 이 형식이 유행하면서 반가사유상이라고만 불려졌다 반가사유상은 중국 북위시대이래 단독상,혹은 交脚彌勒菩薩의 협시상으로 조성되었는데 특히 우리나라의 삼국시대 말기와 통일신라 초기에는 단독상 으로서의 반가사유상 형식이 완성되어 많은 명품이 남아있다. 이러한 반가 사유상은 일본에 영향을 주어 廣隆寺와 中宮寺의 반가사유상 등이 전해진다
*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賢菩薩)
대승불교의 특징인 보살의 실천적 특징을 상징한다. 문수보살은 반야의 가르침을 선양하는 지혜의 상징이며, 보현보살은 그 공덕을 여러곳에 두 루 나타내는 행의 상징으로 흔히 사자와 코끼리를 탄 모습으로 표현된다.
* 대세지보살 (大勢至菩薩)
단독상으로 봉안되는 경우는 드물고 극락세계의 보처보살로서 관음보살과 함께 아미타불의 勝侍像으로 등장하는데 寶冠 정면에 寶甁이 있어 쉽게 구 별된다.
* 지장보살(地藏菩薩)
大地의 德을 의인화한 보살로서 윤회에 허덕이는 중생은 물론 지옥에 떨어 진 중생까지도 구제하는 역할을 한다. 지장보살은 일반적인 보살상과는 달 리 민머리의 스님머리나 두건을 쓴 寶珠나 錫杖을 든 형식이 일반적이다.
홍살문 : 릉·원·향교 등에 들어 가는 어귀에 세운 지붕이 없는 붉은 살을 세워댄 두기둥.
홍예보 : 수평으로 이루워진 보와는 달리 아아치 모양으로 구보러진 보. 모양이 무지개 같다고 홍량이라 하나 층이 다른 보의 연결 또는 회랑이나 퇴간의 보 등에서 사용된다.
1) 불상
불교의 신앙 대상으로 창조된 부처의 모습을 말한다. 따라서 우리가 불상 이라 할 때에는 부처의상 곧 붓다(Buddhe)를 가리키지만 오늘날 이 용어 는 모든 불상 조각을 통칭하는 넓은 의미로 쓰여지고 있다.
2) 불상의 종류와 특징
불상은 그 格에 따라 佛, 菩薩,天,羅漢으로 구분된다.
佛의 범어는 Budda(佛陀)의 약칭으로 깨달음을 얻은 覺者라는 뜻이다.불은 如來라고도 하며 불교 초기에는 석가모니 한분만을 뜻했지만 대승불교의 성립과 더불어 그 수가 늘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조각으로 표현되는 여래 상은 극히 한정되어 있다.
菩薩은 범어 Bodhisattva,즉 보리(진리) 살타(구하는 존재)의 약칭으뢨서 불교의 진리를 깨우치기위해 수행하는 동시에 부처의 자비행을 실천하여 모든중생을 교화하고자 노력하는대승불교의 이상적인 수행상을 가리킨다.
天이란 불교를 수호하는 수미산위의 여러천에 거주하는 諸神을 말하며 인도의 고대 신화중의 여러 토착신이 불교에 흡수된 것이다. 梵天,帝釋天,四 天王,八部衆,仁王등이 있다.
이 외에도 불교에는 부처님을 따르는 제자와 여러나라에서 숭앙받던 고승 들을 표현한 羅漢像이 있다.
* 석가여래 (釋迦如來)
불교의 창시자인 釋迦牟尼 부처님을 형상화한 것으로 석가모니란 "석가족 의 성자"라는 뜻이다. 서기 1세기경 대승불교가 성립되면서 신격화되어 成佛하기전의모습인 보살상과 성불한 여래상의 두 형식이 예배상으로 만 들어졌다.먼저 여래상에서는 두려움을 없애 준다는 시무외인과 모든 중생의 소원을 들어준다는 여원인인 손갖츰(手印)을 한 입상이 만들어졌으며, 뒤이어 成道했던 순간을 표현한 항마촉지인상과 선정인상,그리고 처음 설 법 때의 모습인 전법윤인(설법인)등이 좌상으로 만들어졌다.
이외에도 탄생과 열반의 순간을 표현한 탄생불과 열반상이 있다.
* 비로자라불 (毘盧자라佛)
불교의 진리 그 자체를 상징하는 法身佛로서 부처가 설법한 진리가 태양의 빛처럼 우주에 가득 비추이는 것을 형상화한 것이다. 머리에 寶冠을 쓴 보살형에 지권인인 수인을 맺는 두 가지 형식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통일신라 8세기 후반부터 크게 유행했던 비로자라불은 일반적인 형식과는 달리 지권인을 맺되 항상 여래상으로 표현되는 점이 특 징이다.
* 아미타불 (阿彌陀佛)
모든 중생을 구제하여 서방 극락 정토로 왕생케하는 부처이다. 무한한 진리와 빛을 상징하여 無量光如來라고도 하고 현실에서의 壽命長壽를 비는 사상과 결부되어 무량수여래로도 불리웠다. 단독불인 경우 시무에 여원인 의 입상과 설법인의 좌상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석가불과 구별하기 힘들지만 삼존불인 경우 관음과 세지보살을 협시로 하므로 구별이 쉽다.
특히 고려시대 이후의 아미타상은 아미타불 특유의 수인인 아미타9품인을 맺기 때문에 쉽게 구별이 된다.
* 약사불 (藥師佛)
모든 질병과 무지의 병까지 고쳐주는 부처로서,대의왕불(大醫王佛)이라 고도한다. 특정한 수인을 맺지는 않지만,손에 둥근 약단지(藥壺)를 들고 있어 쉽게 구별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통일신라시대에는 다른 나라에서 는 볼 수 없는 항마촉지인의 약사여래상이 크게 유행하였다.
* 미륵불,미륵보살 (彌勒佛,彌勒菩薩)
현재 도솔천이란 하늘나라에서 보살로 있으면서 56억 7천만년 뒤에는 이 세상에 여래로 나타나 못다 구제된 중생을 구제 한다는 未來佛이다.
이러한 속성으로 인해 미륵은 보살과 여래의 두가지 모습으로 형상화된다.
보살의 경우 인도에서는 정병(淨甁)을 든 입상으로 ,중국에서는 交脚奇像 의 모습으로 표현되며 ,특히 우리나라의 삼국시대에 유행했던 반가사유상은 이 미륵보살로 간주되기도 한다. 여래상의 경우 奇子像의 모습이 일반적이 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드문 형식이다.
* 관세음보살 (觀世音菩薩)
보살중 가장 대표적인것으로 여래의 자비심을 상징한다. "觀世音"이란 중 생의 고통을 소리로 듣고 구원한다는 뜻으로 관세음보살은 세상 모든 중생 의 여망에 따라 33가지 모습으로 나타나 구제하여 준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독립상과 함께 석가여래나 아미타불의 협시 보살로서 유행하였는데 처음에는 寶珠를 받든 형식으로 표현되다가 삼국시 대말기부터 보간을 횃불에 있고 손에 보병을 든 전형형식이 확립되게 되었 다. 또한, 통일신라 중엽에는 모든중생을 두루 살펴서 구원한다는 관음신 앙이 조형적으로 구현된 십일면관음도 함께 만들어 졌다
* 반가사유상 (半跏思惟像)
왼 무릎 위에 오른다리를 걸치고 고개숙인 얼굴의 뺨에 오른 손가락을 대 고 사유하고있는 모습의 상은 일찍이 인도에서 조성되었다. 원래 이러한 모 습은 출가전의 석가모니가 인생무상을 사유하던 모습이어서 중국에서는 太 子思惟像이라 하였는데 이 형식이 유행하면서 반가사유상이라고만 불려졌다 반가사유상은 중국 북위시대이래 단독상,혹은 交脚彌勒菩薩의 협시상으로 조성되었는데 특히 우리나라의 삼국시대 말기와 통일신라 초기에는 단독상 으로서의 반가사유상 형식이 완성되어 많은 명품이 남아있다. 이러한 반가 사유상은 일본에 영향을 주어 廣隆寺와 中宮寺의 반가사유상 등이 전해진다
*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賢菩薩)
대승불교의 특징인 보살의 실천적 특징을 상징한다. 문수보살은 반야의 가르침을 선양하는 지혜의 상징이며, 보현보살은 그 공덕을 여러곳에 두 루 나타내는 행의 상징으로 흔히 사자와 코끼리를 탄 모습으로 표현된다.
* 대세지보살 (大勢至菩薩)
단독상으로 봉안되는 경우는 드물고 극락세계의 보처보살로서 관음보살과 함께 아미타불의 勝侍像으로 등장하는데 寶冠 정면에 寶甁이 있어 쉽게 구 별된다.
* 지장보살(地藏菩薩)
大地의 德을 의인화한 보살로서 윤회에 허덕이는 중생은 물론 지옥에 떨어 진 중생까지도 구제하는 역할을 한다. 지장보살은 일반적인 보살상과는 달 리 민머리의 스님머리나 두건을 쓴 寶珠나 錫杖을 든 형식이 일반적이다.
추천자료
60년대 이후의 현대건축
실내디자인의 역사-서양, 한국(건축역사)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해서 (도자기 문화, 주거문화, 건축문화, 음식문화)
포스트 모더니즘과 건축에 대하여
전통미술, 건축, 음악, 복식에 나타난 미의식
인간과 환경이 공존하는 건축에 대한 소고
중국의 역사 및 건축구조-요대(遼代)시대
객실용어 150개 정리
호텔숙박요금제도와 객실용어
[아동발달]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에 대한 설명과 이론의 주요 용어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
[에너지절약][에너지절약을 위한 방법]에너지절약의 의미, 에너지절약의 필요성, 에너지절약...
조선 위항 문학사 - 위항건축 배경으로서의 위항문화
아르누보에 대하여 (아르누보란? 아르누보의기원, 아르누보의 주요이론, 주요 건축물및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