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사랑은 기술인가?
2. 사랑의 이론
a. 사랑 인간의 실존 문제에 대한 해답
b. 어버이와 자식사이의 사랑
c. 사랑의 대상
3. 사랑과 현대 서양사회에서의 사랑의 붕괴
4. 사랑의 실천
결론.
본론.
1. 사랑은 기술인가?
2. 사랑의 이론
a. 사랑 인간의 실존 문제에 대한 해답
b. 어버이와 자식사이의 사랑
c. 사랑의 대상
3. 사랑과 현대 서양사회에서의 사랑의 붕괴
4. 사랑의 실천
결론.
본문내용
이웃을 사랑하라는 종교적 이상을 수 없이 되풀이하고 있지만, 우리들의 관계는 공정성의 원리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공정성의 원리는 중용의 원리와 혼동되기 쉽다. 따라서, 오늘날 가장 인기 있는 종교적 격언이 되었다. 중용은 공정성의 윤리의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랑의 실천은 공정성과 사랑의 차이를 인식하는 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현대 사회는 사랑과 정상적인 생활의 양립을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 사랑의 본성을 분석하는 것은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랑이 결여되었다는 것을 밝혀내고 이러한 결여 상태에 책임이 있는 사회적 조건을 비판하는 것이다. 개인의 예외적인 현상일 뿐 아니라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사랑의 가능성에 대한 신앙을 갖는 것은 인간의 본성 자체에 대한 통찰을 바탕으로 하는 합리적인 신앙이다.
결론
이제까지 에릭 프롬의 [사랑의 기술]이라는 책의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해봤다. 이 책의 내용은 너무 심리학적이고 또한 내용 전개 또한 복잡해 그때 그때의 단락의 주제조차 파악하기가 쉽지 않음을 느꼈을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이 책을 통해 그가 우리에게 전달하려는 메시지는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바로 사랑하는 기술의 중요성이다. 우리 인간이 사랑에 실패하는 이유를 바로 기술적인 문제에서 찾고 있는 것이다. 사랑은 하나님이 준 것이므로 우리가 자신의 운명에 따라 행동하면 사랑을 이룰 수 있다는 안이한 대답을 하기엔 현대의 사회와 인간은 너무나 복잡하다. 그러므로 이제는 사랑의 실천을 위해서 기술이 절실하게 필요하게 되었다.
프롬은 우리가 사랑하기 위해 애쓰면서도, 자신의 모든 것을 걸 수 있는 진실한 사랑을 원하면서도, 사랑에 실패하는 원인을 기술의 미 숙이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그는 우리에게 인간이 사랑할 수 있는 능동적인 존재가 되었을 때 휼륭한 사랑을 할 수 있고, 거기에 사랑할 수 있는 기술을 갖췄을 때에만 일방적이 아닌 서로 마주 보는 진실한 사랑을 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사회를 살고있는 우리들에게 프롬이 제시하는 이론이 반드시 옳다거나 프롬이 제시하는 기술이 반드시 최선의 방법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이미 이 책이 발간된 시점으로부터는 수 십 년이라는 시간이 흘렀고, 우리들의 사상이나 생활 또한 그때와 는 다른 점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아직까지 이 책을 읽고 연구하는 이유는 뭘까? 그것은 우리가 쉽게 지나치기 쉬운 진정한 사랑에 대한 의미를, 다시 한번 되돌아보고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때문이 아닐까.......?
참고문헌
>에리히 프롬 [사랑의 기술] 1997년 12월 10일 문예출판사 펴냄.
>KBS 제3TV [위대한 사상가] 프롬편 강의 원고.
>경희대 인류사회 재건 연구 편의 [현대사회는 인간화될 수 있는가]
>--http://www.didache.or.kr/info/develop/dp-3.htm
>http://user.chollian.net/~hephziba/erich.html
>1938년 데일 카네기, <어떻게 친구를 얻고 또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가>
현대 사회는 사랑과 정상적인 생활의 양립을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 사랑의 본성을 분석하는 것은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랑이 결여되었다는 것을 밝혀내고 이러한 결여 상태에 책임이 있는 사회적 조건을 비판하는 것이다. 개인의 예외적인 현상일 뿐 아니라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사랑의 가능성에 대한 신앙을 갖는 것은 인간의 본성 자체에 대한 통찰을 바탕으로 하는 합리적인 신앙이다.
결론
이제까지 에릭 프롬의 [사랑의 기술]이라는 책의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해봤다. 이 책의 내용은 너무 심리학적이고 또한 내용 전개 또한 복잡해 그때 그때의 단락의 주제조차 파악하기가 쉽지 않음을 느꼈을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이 책을 통해 그가 우리에게 전달하려는 메시지는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바로 사랑하는 기술의 중요성이다. 우리 인간이 사랑에 실패하는 이유를 바로 기술적인 문제에서 찾고 있는 것이다. 사랑은 하나님이 준 것이므로 우리가 자신의 운명에 따라 행동하면 사랑을 이룰 수 있다는 안이한 대답을 하기엔 현대의 사회와 인간은 너무나 복잡하다. 그러므로 이제는 사랑의 실천을 위해서 기술이 절실하게 필요하게 되었다.
프롬은 우리가 사랑하기 위해 애쓰면서도, 자신의 모든 것을 걸 수 있는 진실한 사랑을 원하면서도, 사랑에 실패하는 원인을 기술의 미 숙이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그는 우리에게 인간이 사랑할 수 있는 능동적인 존재가 되었을 때 휼륭한 사랑을 할 수 있고, 거기에 사랑할 수 있는 기술을 갖췄을 때에만 일방적이 아닌 서로 마주 보는 진실한 사랑을 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사회를 살고있는 우리들에게 프롬이 제시하는 이론이 반드시 옳다거나 프롬이 제시하는 기술이 반드시 최선의 방법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이미 이 책이 발간된 시점으로부터는 수 십 년이라는 시간이 흘렀고, 우리들의 사상이나 생활 또한 그때와 는 다른 점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아직까지 이 책을 읽고 연구하는 이유는 뭘까? 그것은 우리가 쉽게 지나치기 쉬운 진정한 사랑에 대한 의미를, 다시 한번 되돌아보고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때문이 아닐까.......?
참고문헌
>에리히 프롬 [사랑의 기술] 1997년 12월 10일 문예출판사 펴냄.
>KBS 제3TV [위대한 사상가] 프롬편 강의 원고.
>경희대 인류사회 재건 연구 편의 [현대사회는 인간화될 수 있는가]
>--http://www.didache.or.kr/info/develop/dp-3.htm
>http://user.chollian.net/~hephziba/erich.html
>1938년 데일 카네기, <어떻게 친구를 얻고 또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가>
키워드
추천자료
정이현의 소설 <낭만적 사랑과 사회> 를 읽고
[사랑][사랑의 정의][사랑의 분류][사랑의 능력][사랑의 적][사랑의 실천][러브][love]사랑의...
[사랑][러브][love][사랑의 의미][사랑의 종류][사랑의 대화][사랑의 결실][사랑의 회복][사...
2011년 2학기 성, 사랑, 사회 중간시험 요약정리
[사회복지학론] 사회복지관련 서적 독후감 모음(좋은생각, 죄와 벌, 큰 아픔 깊은 사랑, 타래...
그리스도교의 이해 <현대 한국 그리스도교의 왜곡> (그리스도교의 한국 전래, 천주교의 수용,...
[성,사랑,사회 B형]여성이 여성이라는 이유로 겪게 되는 폭력에 대해서 조사한 후 구체적인 ...
성,사랑,사회) 출산, 양육, 가사 노동 등 재생산을 여성의 일로만 보는 시각을 교재나 참고도...
[성 사랑 사회 B형] 일상 속에서 여성이 겪게 되는 차별에는 어떤 것이 있고, 이러한 차별이 ...
[성, 사랑, 사회 A형] 참고도서가 다루고 있는 사람들의 삶과 나의 삶을 함께 참고하여, 우리...
[성, 사랑, 사회 B형] 여성이 여성이라는 이유로 겪게 되는 폭력에 대해서 조사한 후 구체적...
[성 사랑 사회 C형]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나의 생각을 적되, 본 교과목을 공부하고 ...
사랑의 강도를 평가하는 기준과 사랑이 붕괴되는 이유를 설명해보자
[성 사랑 사회 B형] 한국 사회에서 가정이나 일터 등 일상적인 공간에서 성폭력이나 성희롱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