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청과 영국의 무역
2. 아편전쟁 (제1차 중영전쟁)
3. 애로우호 사건(1856~1860, 제2차 아편 전쟁)
4. 아편전쟁, 애로우호 사건의 역사적 의의
2. 아편전쟁 (제1차 중영전쟁)
3. 애로우호 사건(1856~1860, 제2차 아편 전쟁)
4. 아편전쟁, 애로우호 사건의 역사적 의의
본문내용
영국은 생각한 것처럼 자국의 상품수출이 증대되지도 않았고, 북경에 외교공관을 개설할 수 없는데다, 선교활동의 자유도 확보하지 못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영국은 조양개정의 필요성과 기회를 찾고 있었다. 이에 애로호 사건이 이러나자 제2차 중영전쟁이 발발하게 됨
애로우호 사건의 발발 - 1856년 10월 광동 앞 주장강에 정박하고 있던 범선 애로호에 중국 관헌이 올라가서 중국인 승무원 12명을 해적혐의로 연행해갔다. 이에 광동의 영국 영사는 승무원을 즉각 송환하고 배에 걸려 있던 영국기를 함부로 하강시킨 것에 대해 공개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 이것을 청나라가 거부하자 의도적으로 영국은 이 사건을 전쟁의 빌미로 삼고 광동을 공격하고 총독 관저에까지 침입함으로써 전쟁이 발발했다.
1857년 12월 12일 양광 총독이 영국과 프랑스의 최후통첩을 거부하자 28일 공격을 개시하여 이튿날 광동을 점령하고 양광 총독을 포로로 잡아간 뒤 광동에 괴뢰정권을 성립하였다. 이것이 전쟁의 1단계이며 2단계는 이때부터 1858년 7월 텐진조약이 맺어진 때까지이다. 조약의 주요 내용은 외국공사의 베이징 주재, 양쯔강 유역과 북부 및 기타 지역의 10개 항구 개항, 영사재판권의 확대, 포교의 자유, 양쯔강 및 각 통상항으로의 군함 진입권, 배상금등이었다. 그러나 텐진조약의 비준서 교환 장소를 둘러싼 분규로 인하여 전쟁은 제3단계로 접어들었다. 영국-프랑스군은 1860년 10월 베이징을 함락하고 베이징조약을 맺었다. 이 조약에서는 텐진조약을 인정한 위에 텐진을 추가로 개항하며 중국 노동자의 이민을 하가하고 구룡반도를 영국에 할양하도록 했다.
제1,2차 중영전쟁의 영향 - 제1,2차주영전쟁은 불평등 체제의 확립과 이의 확대 심화 과정이었다. 이들전쟁의 영향을 보면 우선 정치적으로 중국의 방대한 영토가 영국, 러시아들에 의해 할양되었을뿐아니라 공사관, 조계, 외국인 세무사 제도가 생겨났다.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개항장이 도합 16개로 확대되고 내지 여행권, 내해 항행권이 보장되면서 중국은 서양의 상품시장 및 원료시장화 하였다. 특히 외국상품에 대한 내지 통관세의 경감은 중국 민족경제에 큰 타격을 입혀싼. 아편 무역과 클리 무역의 합법화는 제국주의적 침략의 무자비함을 단적으로 드러냈다. 사상적 문화적 측면에서도 외국 선교사가 자유로이 교회를 설립하고 포교할 수 있게 되어, 이후 제국주의의 중국 침략에 중요한 일익을 담당하면서 중국인의 반그리스도교 운동을 유발했다. 또한 군사적으로는 외국이 중구구의 주권에 큰 위협을 가져왔다. 이로써 중국은 세계자본주으 체제속에 종속적 시장으로 편입되는 반 식민지하의 길로 들어섰다.
북경협정 :① 북경에서 외교사절의 상주, 수시 입경의 승인, ② 조약항 11개소 증가 : 화중 화남, 남만주로 확대 ③내지 여행권의 확대 : 5일간 여행거리는 여권 불필요 ④공문서에 夷자를 사용하지 않도록 함⑤중국인의 외국 도항의 승인 고역무역 ⑥ 1854년 상해에서 시작된 외국인 세무사제도를 전 개항장에 확대 ⑦ 홍콩 대안의 구룡반도를 영국에 할양
애로우호 사건의 발발 - 1856년 10월 광동 앞 주장강에 정박하고 있던 범선 애로호에 중국 관헌이 올라가서 중국인 승무원 12명을 해적혐의로 연행해갔다. 이에 광동의 영국 영사는 승무원을 즉각 송환하고 배에 걸려 있던 영국기를 함부로 하강시킨 것에 대해 공개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 이것을 청나라가 거부하자 의도적으로 영국은 이 사건을 전쟁의 빌미로 삼고 광동을 공격하고 총독 관저에까지 침입함으로써 전쟁이 발발했다.
1857년 12월 12일 양광 총독이 영국과 프랑스의 최후통첩을 거부하자 28일 공격을 개시하여 이튿날 광동을 점령하고 양광 총독을 포로로 잡아간 뒤 광동에 괴뢰정권을 성립하였다. 이것이 전쟁의 1단계이며 2단계는 이때부터 1858년 7월 텐진조약이 맺어진 때까지이다. 조약의 주요 내용은 외국공사의 베이징 주재, 양쯔강 유역과 북부 및 기타 지역의 10개 항구 개항, 영사재판권의 확대, 포교의 자유, 양쯔강 및 각 통상항으로의 군함 진입권, 배상금등이었다. 그러나 텐진조약의 비준서 교환 장소를 둘러싼 분규로 인하여 전쟁은 제3단계로 접어들었다. 영국-프랑스군은 1860년 10월 베이징을 함락하고 베이징조약을 맺었다. 이 조약에서는 텐진조약을 인정한 위에 텐진을 추가로 개항하며 중국 노동자의 이민을 하가하고 구룡반도를 영국에 할양하도록 했다.
제1,2차 중영전쟁의 영향 - 제1,2차주영전쟁은 불평등 체제의 확립과 이의 확대 심화 과정이었다. 이들전쟁의 영향을 보면 우선 정치적으로 중국의 방대한 영토가 영국, 러시아들에 의해 할양되었을뿐아니라 공사관, 조계, 외국인 세무사 제도가 생겨났다.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개항장이 도합 16개로 확대되고 내지 여행권, 내해 항행권이 보장되면서 중국은 서양의 상품시장 및 원료시장화 하였다. 특히 외국상품에 대한 내지 통관세의 경감은 중국 민족경제에 큰 타격을 입혀싼. 아편 무역과 클리 무역의 합법화는 제국주의적 침략의 무자비함을 단적으로 드러냈다. 사상적 문화적 측면에서도 외국 선교사가 자유로이 교회를 설립하고 포교할 수 있게 되어, 이후 제국주의의 중국 침략에 중요한 일익을 담당하면서 중국인의 반그리스도교 운동을 유발했다. 또한 군사적으로는 외국이 중구구의 주권에 큰 위협을 가져왔다. 이로써 중국은 세계자본주으 체제속에 종속적 시장으로 편입되는 반 식민지하의 길로 들어섰다.
북경협정 :① 북경에서 외교사절의 상주, 수시 입경의 승인, ② 조약항 11개소 증가 : 화중 화남, 남만주로 확대 ③내지 여행권의 확대 : 5일간 여행거리는 여권 불필요 ④공문서에 夷자를 사용하지 않도록 함⑤중국인의 외국 도항의 승인 고역무역 ⑥ 1854년 상해에서 시작된 외국인 세무사제도를 전 개항장에 확대 ⑦ 홍콩 대안의 구룡반도를 영국에 할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