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국의 명절 개관
2). 중국의 전통명절
1. 신년(新年 신정)
2. 춘절(春節)
3. 원소절(原宵節)
4. 청명절(淸明節)
5. 단오절(端午節)
6. 중추절
7. 중양절(重陽節)
3). 맺음말
2). 중국의 전통명절
1. 신년(新年 신정)
2. 춘절(春節)
3. 원소절(原宵節)
4. 청명절(淸明節)
5. 단오절(端午節)
6. 중추절
7. 중양절(重陽節)
3). 맺음말
본문내용
양수인 9가 겹쳐있기 때문에 중양절이라 하였다. 예로부터 중양절은 양수중복일 풍속의 하나로 가을의 정취에 취해 수확의 계절의 풍요로움을 만끽하는 날로 되어 왔다. 중국과 한국은 중양절이나 단오, 3월 삼짇날처럼 홀수(양수)가 두 번 겹치는 날을 큰 명절로 여겨 왔다. 음력으로 3월 3일인 삼짇날이 제비가 강남에서 날아오는 날이라면 음력으로 9월 9일 중양절은 제비가 도로 강남으로 날아가는 날이라고 한다. 또 여름 내 극성이던 모기가 사라지고, 뱀이나 개구리도 겨울잠을 자기 위해 사라지고 중양절부터는 겨울을 지낼 수 있는 동물들만 남게 된다고 한다. 중양절 이후부터는 가을이 가고 계절이 바뀌는 즉, 무르익은 가을을 마지막으로 즐기기 위한 명절이었다.
중양절은 좋은 날 이지만 결혼식이나 잔치를 열지 않았다. 그건 바로 남이 즐길 수 있는 좋은 날에 자기 집 잔치로 놀이의 즐거움에 피해를 끼쳐서는 안 된다는 뜻이 담겨 있다. 중양절은 추석처럼 큰 명절은 아니어서 특별한 놀이는 하지 않고 대신 음식을 가지고 산과 들을 찾아가 하루를 즐겁게 놀았는데 요즘 말하자면 가을 소풍 같은 것이다.
중양절에 관한 전설
옛사람들은 이날이 되면 높은 산에 올라가서 술을 마시는 습관이 있는데, 그것은 비장방(費長房)이라는 사람이 그의 제자였던 여남(汝南)의 환경(桓景)에게 "9월 9일 자네의 집에 큰 재난이 닥칠 것이니 빨리 집으로 돌아가 집안사람들에게 붉은 주머니에 수유(茱萸)를 넣어 어깨에 메고 높은 산에 올라 국화주를 마시면 이 재난을 면할 것이다"라고 하자 환경이 그 말대로 하였다가 집으로 돌아와 보니 과연 집안의 가축들이 모두 죽어있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람들은 이날에 높은 산에 올라 국화주를 마시는 습관이 생기게 되었다는 것이다.
중양절에 먹는 음식
(1)국화전(菊花煎)
여염(閭閻)집 가정에서 이 날 국화 꽃잎을 따서 찹쌀가루와 반죽해 단자(團子) 모양의 찹쌀떡을 만들어 먹는데, 이를 국화전(菊花煎)이라 한다. 국화전은 3월 3일 삼짇날의 봄철 진달래 화전(花煎)과 동일한 가을철 화전(花煎)이다.
(2)화채(花菜)
잘게 썬 배와 유자(柚子), 석류(石榴)를 꿀물에 타서 잣을 띄워 마시는 것을 화채(花菜)라 한다. 특히 화채는 계절의 미각을 느끼게 해주는 시절음식으로 제사(祭祀) 때 사용하기도 한다.
중양절에 하는 일
중양절의 세시풍속을 보면 이날 가을의 꽃인 국화구경을 하고 중양절 시절음식의 하나인 국화주를 마시며 산에 올라 단풍놀이를 즐기는 풍속이 행해진다. 중양절에는 또한 추석 때 성묘를 못한 사람들은 조상의 선산을 찾기도 한다.
중양절 세시풍속에는 또한 시주(詩酒)라는 행사가 있다. 시주란 술 마시며 시를 읊조린다는 뜻이다. 시인, 묵객들은 중양절에 술과 음식을 마련해 국화꽃잎을 술잔에 띄워 마시며 시를 주고받으며 즐겼다고 한다. 이러한 중양절 전통은 가을 소풍이나 단풍놀이, 국화구경, 등산으로 지금까지 이어내려 오고 있다. 지금의 중양절은 '노인절' 이기도 하다. 때문에 중양절은 자식들이 부모님께 효도하는 날 이다. 지금 이날이면 부모님들을 모시고 가을소풍을 떠나거나 선물을 들고 부모님들을 찾아가 효도를 보이는 분들이 많다.
3). 맺음말
한 민족의 명절 및 그 습속 가운데에서 우리는 한 민족이 걸어온 경로를 보아낼 수가 있다. 한 민족의 사유방식, 가치체계, 시대풍조 및 경제, 예술, 문화, 교육 등등은 모두 한 민족의 명절 및 풍속에서 표현되어질 수가 있다. 명절과 풍속은 단순히 몇 사람이나 사회집단의 경사스러운 활동이 아니라 그것과 사회문명의 발전이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설령 동일한 명절이고, 동일한 풍속이라 하더라도 서로 시대가 다름에 따라 그것의 표현양식은 종종 다르다.
개혁과 개방이 됨에 따라 서방의 명절문화는 천천히 중국에 침투해 들어왔고 수많은 지방에서 '수입명절'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북경 상해, 광주(廣州), 남경(南京) 등의 큰 도시, 즉 해안지역을 따라 개방이 이루어진 몇몇 도시에서 더욱 그러하였다. 하지만 재미있는 사실은 서방의 수많은 명절이 중국에 들어와서 그 내용에 종종 변화가 일어났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성탄절은 광주에서 이미 그 본래적인 종교적 의미를 상실하였다. 주목을 끌만한 것은 1990년 섣달그믐밤이 서방에서는 바로 연인의 날이라는 것인데 중국에서는 붉은 등롱을 높이 걸어 사방으로 폭죽을 터뜨리고 노인들은 해바라기 씨와 사탕을 먹으면서 텔레비전에서 춘절의 축제를 본다는 것이다. 또한 젊은 아가씨와 청년들은 11송이의 노란 장미를 들고 연인과 레스토랑에서 약속을 하여 촛불아래에서 연인의 날을 즐긴다는 것이다.
중국의 몇몇 전통명절의 내용 또한 어느 정도의 변화가 일어났다. 예를 들어 민간에서는 중추절이나 춘절을 "식절(食節)"이라고 부른다. 춘절과 동지(冬至)에는 만두를 먹고 원소절에는 새알심을 먹으며 단오절에는 종자를 먹고 중추절에는 월병을 먹는다. 각각 모두 특색 있는 음식을 지니는 것이 중국명절문화의 한 특징이다. 해마다 명절을 맞이하면 온 집안사람은 함께 모여 "실컷 먹고 실컷 마신다." 아마도 이것은 과거의 모든 가정이 명절을 지내는 모습일 것이다. 지금은 "먹고 마시는" 것이 더 이상 중국명절의 주요내용이 아니다. 꽃을 보내고, 카드로 축하하고, 음악회를 듣고, 밖으로 여행을 가고, 가라오케에서 노는 것 등이 이미 중국의 전통명절에 들어왔다. 사람들은 물질적인 추구에서부터 정신적인 추구로 바뀌어갔고 명절에 일종의 정신적인 승화가 되기를 기대하였다. 또한 중국의 전통명절이 지닌 농후한 가정적 분위기, 정을 중시하는 분위기 역시 갈수록 더욱 커진 사회교제로 대체되었는데 명절을 맞게 되면 많은 사람들이 동료, 동창, 친구와 모이고 멀리 놀러가기도 한다.
사회의 발전에 따라 중국의 전통명절의 내용은 갈수록 풍부해졌고 그 풍속에도 갈수록 큰 변화가 일어났을 것이다.
많은 명절 및 풍속은 시대의 발전과 변화 때문에 그 자체 역시 상당히 변화하였고 어떤 것은 없어졌으며 어떤 것은 완전히 다르게 바뀌었다. 동일한 풍속도 각 지방의 표현형식에 있어서 같은 것만은 아니다. 이것이 바로 문화의 변이성(變異性)인 것이다.
중양절은 좋은 날 이지만 결혼식이나 잔치를 열지 않았다. 그건 바로 남이 즐길 수 있는 좋은 날에 자기 집 잔치로 놀이의 즐거움에 피해를 끼쳐서는 안 된다는 뜻이 담겨 있다. 중양절은 추석처럼 큰 명절은 아니어서 특별한 놀이는 하지 않고 대신 음식을 가지고 산과 들을 찾아가 하루를 즐겁게 놀았는데 요즘 말하자면 가을 소풍 같은 것이다.
중양절에 관한 전설
옛사람들은 이날이 되면 높은 산에 올라가서 술을 마시는 습관이 있는데, 그것은 비장방(費長房)이라는 사람이 그의 제자였던 여남(汝南)의 환경(桓景)에게 "9월 9일 자네의 집에 큰 재난이 닥칠 것이니 빨리 집으로 돌아가 집안사람들에게 붉은 주머니에 수유(茱萸)를 넣어 어깨에 메고 높은 산에 올라 국화주를 마시면 이 재난을 면할 것이다"라고 하자 환경이 그 말대로 하였다가 집으로 돌아와 보니 과연 집안의 가축들이 모두 죽어있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람들은 이날에 높은 산에 올라 국화주를 마시는 습관이 생기게 되었다는 것이다.
중양절에 먹는 음식
(1)국화전(菊花煎)
여염(閭閻)집 가정에서 이 날 국화 꽃잎을 따서 찹쌀가루와 반죽해 단자(團子) 모양의 찹쌀떡을 만들어 먹는데, 이를 국화전(菊花煎)이라 한다. 국화전은 3월 3일 삼짇날의 봄철 진달래 화전(花煎)과 동일한 가을철 화전(花煎)이다.
(2)화채(花菜)
잘게 썬 배와 유자(柚子), 석류(石榴)를 꿀물에 타서 잣을 띄워 마시는 것을 화채(花菜)라 한다. 특히 화채는 계절의 미각을 느끼게 해주는 시절음식으로 제사(祭祀) 때 사용하기도 한다.
중양절에 하는 일
중양절의 세시풍속을 보면 이날 가을의 꽃인 국화구경을 하고 중양절 시절음식의 하나인 국화주를 마시며 산에 올라 단풍놀이를 즐기는 풍속이 행해진다. 중양절에는 또한 추석 때 성묘를 못한 사람들은 조상의 선산을 찾기도 한다.
중양절 세시풍속에는 또한 시주(詩酒)라는 행사가 있다. 시주란 술 마시며 시를 읊조린다는 뜻이다. 시인, 묵객들은 중양절에 술과 음식을 마련해 국화꽃잎을 술잔에 띄워 마시며 시를 주고받으며 즐겼다고 한다. 이러한 중양절 전통은 가을 소풍이나 단풍놀이, 국화구경, 등산으로 지금까지 이어내려 오고 있다. 지금의 중양절은 '노인절' 이기도 하다. 때문에 중양절은 자식들이 부모님께 효도하는 날 이다. 지금 이날이면 부모님들을 모시고 가을소풍을 떠나거나 선물을 들고 부모님들을 찾아가 효도를 보이는 분들이 많다.
3). 맺음말
한 민족의 명절 및 그 습속 가운데에서 우리는 한 민족이 걸어온 경로를 보아낼 수가 있다. 한 민족의 사유방식, 가치체계, 시대풍조 및 경제, 예술, 문화, 교육 등등은 모두 한 민족의 명절 및 풍속에서 표현되어질 수가 있다. 명절과 풍속은 단순히 몇 사람이나 사회집단의 경사스러운 활동이 아니라 그것과 사회문명의 발전이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설령 동일한 명절이고, 동일한 풍속이라 하더라도 서로 시대가 다름에 따라 그것의 표현양식은 종종 다르다.
개혁과 개방이 됨에 따라 서방의 명절문화는 천천히 중국에 침투해 들어왔고 수많은 지방에서 '수입명절'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북경 상해, 광주(廣州), 남경(南京) 등의 큰 도시, 즉 해안지역을 따라 개방이 이루어진 몇몇 도시에서 더욱 그러하였다. 하지만 재미있는 사실은 서방의 수많은 명절이 중국에 들어와서 그 내용에 종종 변화가 일어났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성탄절은 광주에서 이미 그 본래적인 종교적 의미를 상실하였다. 주목을 끌만한 것은 1990년 섣달그믐밤이 서방에서는 바로 연인의 날이라는 것인데 중국에서는 붉은 등롱을 높이 걸어 사방으로 폭죽을 터뜨리고 노인들은 해바라기 씨와 사탕을 먹으면서 텔레비전에서 춘절의 축제를 본다는 것이다. 또한 젊은 아가씨와 청년들은 11송이의 노란 장미를 들고 연인과 레스토랑에서 약속을 하여 촛불아래에서 연인의 날을 즐긴다는 것이다.
중국의 몇몇 전통명절의 내용 또한 어느 정도의 변화가 일어났다. 예를 들어 민간에서는 중추절이나 춘절을 "식절(食節)"이라고 부른다. 춘절과 동지(冬至)에는 만두를 먹고 원소절에는 새알심을 먹으며 단오절에는 종자를 먹고 중추절에는 월병을 먹는다. 각각 모두 특색 있는 음식을 지니는 것이 중국명절문화의 한 특징이다. 해마다 명절을 맞이하면 온 집안사람은 함께 모여 "실컷 먹고 실컷 마신다." 아마도 이것은 과거의 모든 가정이 명절을 지내는 모습일 것이다. 지금은 "먹고 마시는" 것이 더 이상 중국명절의 주요내용이 아니다. 꽃을 보내고, 카드로 축하하고, 음악회를 듣고, 밖으로 여행을 가고, 가라오케에서 노는 것 등이 이미 중국의 전통명절에 들어왔다. 사람들은 물질적인 추구에서부터 정신적인 추구로 바뀌어갔고 명절에 일종의 정신적인 승화가 되기를 기대하였다. 또한 중국의 전통명절이 지닌 농후한 가정적 분위기, 정을 중시하는 분위기 역시 갈수록 더욱 커진 사회교제로 대체되었는데 명절을 맞게 되면 많은 사람들이 동료, 동창, 친구와 모이고 멀리 놀러가기도 한다.
사회의 발전에 따라 중국의 전통명절의 내용은 갈수록 풍부해졌고 그 풍속에도 갈수록 큰 변화가 일어났을 것이다.
많은 명절 및 풍속은 시대의 발전과 변화 때문에 그 자체 역시 상당히 변화하였고 어떤 것은 없어졌으며 어떤 것은 완전히 다르게 바뀌었다. 동일한 풍속도 각 지방의 표현형식에 있어서 같은 것만은 아니다. 이것이 바로 문화의 변이성(變異性)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