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집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조건
III. 집단과정과 현장에서의 환경적 요인
IV. 집합행동의 효과
V. 결론
참고문헌
II. 집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조건
III. 집단과정과 현장에서의 환경적 요인
IV. 집합행동의 효과
V.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결과를 중심으로 설명하려고 시도하였다. 원인으로는 경기에 민감한 층을 중심으로 한 노동자층의 존재, 이입노동자의 존재, 계기적인 사건으로서의 김영삼의 제명, 인근 부산에서의 시위가 전파된 점, 3.15의거의 산실이었다는 역사성과 정치적으로 무력한 분위기의 대치되는 점의 고민, 도시의 공간적인 구조가 시위에 적합하였다고 동시에 동원에 적절하였다는 점 등을 들고 있다. 집합행동의 과정으로서는 대학생들이 주동한 점, 시위동조자들은 육체노동자들, 상인들이 후에는 고등학교생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에 대해 경찰은 서울의시위에 대비하여 지역에는 대비능력이 취역하였다는 점이 사태를 악화시켰고 그러나 미국은 적극적으로 시위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집합행동의 결과로서는 유신체제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을 대표적으로 표출시켜 결국은 박정희 당시 대통령의 피살을 가져왔다. 물론 이후에 군부 독재체제개 이어지기는 하지만 일단은 유신체제의 와해를 가져온 계기가 된 것만은 분명하다. 동시에 초기의 집권정부의 대응은 노동자층의 뒤이은 시위를 가장 무서워 하였음을 보여준다.
물론 이상의 논의에서도 노동자 밀집 구조에 대한 분석, 김영삼 제명이 시위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마산 주민들의 해석과정, 미국이 취하는 이중적인 정책(지나친 민주화의 경계와 독재 군부의 용인)에 대한 세계체제론적인 해석 등이 미해결의 과제로 남아 있다.
참고문헌:
광주광역시 5.18사료 편찬위원회, 1997, 5.18광주민주화운동 자료 총서, 7권
마산상공회의소, 1987, 마산상공회의소 90년사
박문정, 1996, "마산 수출자유지역의 경제적 성과와 장기발전 구상", 경남대학교 경남지역문제연구원 편, 마산 창원지역 연구 (경남대 출판부): 69-108
부마 민주항쟁 기념사업회, 1989, 부마민주항쟁 10주년 기념 자료집 (부마민주항쟁 기념사업회)
편집부 엮음, 1984, 80년 전후 격동의 한국사회 I: 최현대사 자료선 (사계절)
한국기독교 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1987, 1970년대 민주화 운동 IV (서울)
한국기독학생총연맹, 1977, 마산수출자유지역 현장 르뽀 (미간행)
Berk, Richard A., 1974a/1984, "집합행동의 방법론적 문제", 김영정 편, 집합행동론 (진흥문화사): 81-100
Berk, Richard A., 1974b/1984, "집합행동의 사회적 원인론: 콘하우저, 스멜저, 기타", 김영정 편, 집합행동론 (진흥문화사): 134-165
Cable, Sherry, and Beth Degutis, 1997, "Movement Outcomes and Dimensions of Social Change: The Multiple Effects of Local Mobilizations", Current Sociology, 45, 3 (Jul.): 121-135
Carley, Michael, 1997, "Defining Forms of Successful State Repression of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A Case Study of the FBI's Cointelpro and the American Indian Movement", Research in Social Movement, Conflict and Change, 20: 151-176
The Committee for Justice and Peace fo South Korea, National Organization of Catholic Priests to Realize Social Justice, 1976, "A Fact-Finding Survey on the Masan Free Export Zone", AMPO, 8, 1 & 2
Crowley, Stephen, 1994?, "Barriers to Collective Action: Steelworkers and Mutual Dependence in the Former Soviet Union", World Politics, :589-615
Grant II, Don Sherman, and Michael Wallace, 1991, "Why do Strikes Turn Violen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6, 5 (Mar.): 1117-50
Kane, Anne E., 1997, "Theorizing Meaning Construction in Social Movements: Symbolic Structures and Interpretation During the Irish Land War, 1879-1882", Sociological Theory, 15, 3 (Nov.): 249-276
Kelly, Caroline, and Sara Breinlinger, ?, The Social Psychology of Collective Action: Identity, Injustice and Gender (Taylor & Francis)
Koo, Hagan, 1990, "From Farm to Factory: Proletarianization in Korea",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5 (Oct.): 669-681
Maheu, Louis, ed., 1995, Social Movements and Social Class: the Future of Collective Action (London: Sage)
Minkoff, Debra C., 1997, "The Sequencing of Social Movement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2 (Oct.): 779-799
de la Roche, Roberta Senechal, 1996, "Collective Violence as Social Control", Sociological Forum, 11, 1: 97-128
Urry, John, 1994, Consuming Places (London: Routledge)
물론 이상의 논의에서도 노동자 밀집 구조에 대한 분석, 김영삼 제명이 시위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마산 주민들의 해석과정, 미국이 취하는 이중적인 정책(지나친 민주화의 경계와 독재 군부의 용인)에 대한 세계체제론적인 해석 등이 미해결의 과제로 남아 있다.
참고문헌:
광주광역시 5.18사료 편찬위원회, 1997, 5.18광주민주화운동 자료 총서, 7권
마산상공회의소, 1987, 마산상공회의소 90년사
박문정, 1996, "마산 수출자유지역의 경제적 성과와 장기발전 구상", 경남대학교 경남지역문제연구원 편, 마산 창원지역 연구 (경남대 출판부): 69-108
부마 민주항쟁 기념사업회, 1989, 부마민주항쟁 10주년 기념 자료집 (부마민주항쟁 기념사업회)
편집부 엮음, 1984, 80년 전후 격동의 한국사회 I: 최현대사 자료선 (사계절)
한국기독교 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1987, 1970년대 민주화 운동 IV (서울)
한국기독학생총연맹, 1977, 마산수출자유지역 현장 르뽀 (미간행)
Berk, Richard A., 1974a/1984, "집합행동의 방법론적 문제", 김영정 편, 집합행동론 (진흥문화사): 81-100
Berk, Richard A., 1974b/1984, "집합행동의 사회적 원인론: 콘하우저, 스멜저, 기타", 김영정 편, 집합행동론 (진흥문화사): 134-165
Cable, Sherry, and Beth Degutis, 1997, "Movement Outcomes and Dimensions of Social Change: The Multiple Effects of Local Mobilizations", Current Sociology, 45, 3 (Jul.): 121-135
Carley, Michael, 1997, "Defining Forms of Successful State Repression of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A Case Study of the FBI's Cointelpro and the American Indian Movement", Research in Social Movement, Conflict and Change, 20: 151-176
The Committee for Justice and Peace fo South Korea, National Organization of Catholic Priests to Realize Social Justice, 1976, "A Fact-Finding Survey on the Masan Free Export Zone", AMPO, 8, 1 & 2
Crowley, Stephen, 1994?, "Barriers to Collective Action: Steelworkers and Mutual Dependence in the Former Soviet Union", World Politics, :589-615
Grant II, Don Sherman, and Michael Wallace, 1991, "Why do Strikes Turn Violen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6, 5 (Mar.): 1117-50
Kane, Anne E., 1997, "Theorizing Meaning Construction in Social Movements: Symbolic Structures and Interpretation During the Irish Land War, 1879-1882", Sociological Theory, 15, 3 (Nov.): 249-276
Kelly, Caroline, and Sara Breinlinger, ?, The Social Psychology of Collective Action: Identity, Injustice and Gender (Taylor & Francis)
Koo, Hagan, 1990, "From Farm to Factory: Proletarianization in Korea",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5 (Oct.): 669-681
Maheu, Louis, ed., 1995, Social Movements and Social Class: the Future of Collective Action (London: Sage)
Minkoff, Debra C., 1997, "The Sequencing of Social Movement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2 (Oct.): 779-799
de la Roche, Roberta Senechal, 1996, "Collective Violence as Social Control", Sociological Forum, 11, 1: 97-128
Urry, John, 1994, Consuming Places (London: Routledge)
추천자료
학교생활지도의 인식과 원리, 학교생활지도의 과정과 주안점, 학교생활지도의 절약생활지도, ...
집단사회사업 실천방법을 통한 청소년복지 개입과정 (청소년복지론 기말고사 레포트)
초등1)읽기 <읽기과 교수-학습 과정안> - 5. 생각을 펼쳐요(84~87쪽 (2/2)차시) 대집단 : 글...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의 유형, 전승성, 아기장수설화(...
[의사결정] 의사결정의 개념(정의), 과정(순서), 유형(분류), 집단의사결정
만2세 영역별 보육활동 계획안을 작성하시오. - 표준보육과정 6가지 영역, 자유선택활동, 대...
「의사결정」 의사결정의 개념, 의의, 전제, 중요성. 특성, 오류, 의사결정의 유형, 의사결정...
[유아교육과정] <영유아 활동계획안> 활동명 : 동물콜라주 | 생활주제 : 동물 | 주제 : 동물...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성(創意性) - 창의성의 의의, 창의성발현의 과정, 문제해결(의사결정)...
청소년 집단상담 프로그램(진로탐색 과정에 있는 청소년)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집단상담의 주요개념과 기법, 상담자의 역할, 상담과정과 ...
거시적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문제와 표...
지역사회복지론_거시적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
[사회복지실천 접근방법] 집단사회사업과 지역사회조직(정의와 특징, 유형, 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