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머리말
2. 본문
(1) 신도
(2) 와(和)
3. 맺음말
1. 머리말
2. 본문
(1) 신도
(2) 와(和)
3. 맺음말
본문내용
깨뜨리는 자에게 잔인하다는 특성을 가진다. 어떤이들은 이러한 일본 특유의 집단주의가 2차세계대전 당시의 각국에 대한 일본의 잔인한 만행들을 뒷받침 해 준다고 한다. 자신의 집단에 속하지 않은자, 즉 자국민이 아닌 타국민들에게 그렇게 까지 잔인한 짓을 저지를수 있었던 것이 바로 자신의 집단에 속하지 못한 자들에게 냉혹한 일본인 특유의 집단주의의 습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같은 와(和)의 부정적인 영향을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바로 요즘 일본사회에 문제가 되고 있는 이지메 현상이다. 다른사람을 자살로 까지 몰고갈 정도로 냉혹한 이지메현상은 그들특유의 집단주의의 특성을 너무나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지메의 피해자인 사람들을 보면 그들은 그 집단에서 '보통' 이라고 말해지는 사람들에 비해 신체적인 측면이라던지 정신적, 능력적인 면에서 '부족'한 사람들이다. '남들보다 몸이 약하다' , '남들에 비해 운동이나 공부를 못한다' 등등의 '보통' 의 기준에 못미치는 사람들인 것이다. 이들은 전체적으로 그 집단의 능력치를 떨어뜨리므로 '조화'를 깨뜨리는 자들이다. 그러나 이지메를 당하는 사람들은 비단 약자들 뿐만은 아니다. '모난 돌이 정맞는다'라는 우리 속담에도 있듯이 '보통'에 비해 너무 뛰어난 자들 또한 이지메의 대상이 된다. 어쨌던 그들에게 있어서 '보통'의 기준을 지키지 못하는 것은 모두 조화를 깨뜨리는 일인 것이다.
미야자키 하야오와 더불어 일본의 대표적인 감독이라 할수 있는 다카하타 이사오 감독의 1988년작 '반딧불의 묘'를 보면 미국의 공습에 부모를 잃은 남매가 주변의 무관심과 냉대속에 죽어가는 모습이 그려진다. 공습에 어머니를 잃고 아이들은 친적집에 맡겨지는데 친척아주머니는 아이들을 차갑게 대한다. 여기에서 자신의 집단에 속하지 않은자에게 냉정한 집단주의적 특성을 엿볼수 있다. 친척이라고는하지만 그 아주머니에게 있어서 그들은 가족이 아닌 것이다. 이미 부모님이 안계신다는 사실만으로 그들은 '보통'에서
벗어난 아이들이다. 게다가 아이들은 친적집에 있으면서 아무런 일도 하지 않는다. 친척 아주머니의 눈에는 그것이 못마땅했던 것이다. "형도 누나도 나라를 위해 열심히 일하고 있는데 너는 집에서 밥만 축내고 있잖니"라는 그녀의 말에서 집단의 조화를 깨뜨리는 자를 거부하는 '와(和)'의 부정적인 측면을 엿볼수 있다. '모두들 하고 있는 일에 참여하지 않는다.' 이것은 집단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그다지 좋지 않은 일인 것이다. 또한 후에 그 친척집을 나온 아이들은 먹고살기 위해 공습이 일어난 틈을타 빈집에서 식량을 털어오는 일을 한다. 이러한 일 또한 와(和)를 깨뜨리는 일 인 것이다.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그것을 용납지 않았고 결국 어린남매는 사람들의 무관심과 냉대속에서 비참하게 죽어갔던 것이다.
3. 맺음말
지금까지 일본의 가장 대표적인 전통 사상중 두가지를 일본 애니메이션계의 거장 두사람의 작품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껏 '일본' 하면 '전쟁을 일으킨 나라', '우리나라를 침략했던 나라' '정신대 문제' 등을 떠올리며 의식적으로 그들에게 거리를 두어 왔었다. 그러나 앞서도 말했듯이 더 이상은 모른척하고 외면할수 만은 없는 것이다. 같은 아시아권에 속하는 나라로서 또 바로 옆에 있는 이웃의 나라로서 세계는 우리에게 협력과 공존을 요구하고 있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서로를 잘 아는 일이 중요할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그들의 전통과 역사에 대해 공부하는 것은 조금이라도 더 그들을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참고자료>
송락현의 애니스쿨
기타 웹상의 여러 싸이트들
이같은 와(和)의 부정적인 영향을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바로 요즘 일본사회에 문제가 되고 있는 이지메 현상이다. 다른사람을 자살로 까지 몰고갈 정도로 냉혹한 이지메현상은 그들특유의 집단주의의 특성을 너무나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지메의 피해자인 사람들을 보면 그들은 그 집단에서 '보통' 이라고 말해지는 사람들에 비해 신체적인 측면이라던지 정신적, 능력적인 면에서 '부족'한 사람들이다. '남들보다 몸이 약하다' , '남들에 비해 운동이나 공부를 못한다' 등등의 '보통' 의 기준에 못미치는 사람들인 것이다. 이들은 전체적으로 그 집단의 능력치를 떨어뜨리므로 '조화'를 깨뜨리는 자들이다. 그러나 이지메를 당하는 사람들은 비단 약자들 뿐만은 아니다. '모난 돌이 정맞는다'라는 우리 속담에도 있듯이 '보통'에 비해 너무 뛰어난 자들 또한 이지메의 대상이 된다. 어쨌던 그들에게 있어서 '보통'의 기준을 지키지 못하는 것은 모두 조화를 깨뜨리는 일인 것이다.
미야자키 하야오와 더불어 일본의 대표적인 감독이라 할수 있는 다카하타 이사오 감독의 1988년작 '반딧불의 묘'를 보면 미국의 공습에 부모를 잃은 남매가 주변의 무관심과 냉대속에 죽어가는 모습이 그려진다. 공습에 어머니를 잃고 아이들은 친적집에 맡겨지는데 친척아주머니는 아이들을 차갑게 대한다. 여기에서 자신의 집단에 속하지 않은자에게 냉정한 집단주의적 특성을 엿볼수 있다. 친척이라고는하지만 그 아주머니에게 있어서 그들은 가족이 아닌 것이다. 이미 부모님이 안계신다는 사실만으로 그들은 '보통'에서
벗어난 아이들이다. 게다가 아이들은 친적집에 있으면서 아무런 일도 하지 않는다. 친척 아주머니의 눈에는 그것이 못마땅했던 것이다. "형도 누나도 나라를 위해 열심히 일하고 있는데 너는 집에서 밥만 축내고 있잖니"라는 그녀의 말에서 집단의 조화를 깨뜨리는 자를 거부하는 '와(和)'의 부정적인 측면을 엿볼수 있다. '모두들 하고 있는 일에 참여하지 않는다.' 이것은 집단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그다지 좋지 않은 일인 것이다. 또한 후에 그 친척집을 나온 아이들은 먹고살기 위해 공습이 일어난 틈을타 빈집에서 식량을 털어오는 일을 한다. 이러한 일 또한 와(和)를 깨뜨리는 일 인 것이다.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그것을 용납지 않았고 결국 어린남매는 사람들의 무관심과 냉대속에서 비참하게 죽어갔던 것이다.
3. 맺음말
지금까지 일본의 가장 대표적인 전통 사상중 두가지를 일본 애니메이션계의 거장 두사람의 작품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껏 '일본' 하면 '전쟁을 일으킨 나라', '우리나라를 침략했던 나라' '정신대 문제' 등을 떠올리며 의식적으로 그들에게 거리를 두어 왔었다. 그러나 앞서도 말했듯이 더 이상은 모른척하고 외면할수 만은 없는 것이다. 같은 아시아권에 속하는 나라로서 또 바로 옆에 있는 이웃의 나라로서 세계는 우리에게 협력과 공존을 요구하고 있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서로를 잘 아는 일이 중요할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그들의 전통과 역사에 대해 공부하는 것은 조금이라도 더 그들을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참고자료>
송락현의 애니스쿨
기타 웹상의 여러 싸이트들
추천자료
재패니메이션 성공요인과 한국 애니메이션의 방향
미야자키 하야오와 지브리 애니메이션
일본문화/일본문화 특징/ 일본의 민속/일본사회
[애니메이션]만화, 캐릭터산업의 분석과 법적보호 및 활성화 방안
월트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분석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추진배경,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긍정적 효과...
일본대중문화(일본문화)의 현황, 일상생활 속의 일본대중문화(일본문화), 일본대중문화개방(...
[엔터테인먼트]엔터테인먼트산업(음반산업), 엔터테인먼트산업(애니메이션산업), 엔터테인먼...
외국어교육 일본어교과의 중요성과 목표, 외국어교육 일본어교과의 중학교교육과정, 외국어교...
[경쟁력강화, 노동시장, 산업육성]노동시장의 경쟁력강화, 산업육성의 경쟁력강화, 애니메이...
[일본방송, 일본방송 개방, 일본방송 보도태도, 제작과 유통, 가이드라인, 방송프로그램]일본...
21세기 문화 트렌드(트랜드) 읽기, 만화와 애니메이션 산업
너의 이름은 [영화 애니메이션 감상문] (감독 신카이 마코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