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재고자산의 뜻
2. 재고자산감모손실
3. 재고자산평가손실
(1) 재고자산평가단위
(2) 회계처리
4. 재고자산평가방법
5. 실제사례를 통한 재고자산 평가방법의 영향력 분석
2. 재고자산감모손실
3. 재고자산평가손실
(1) 재고자산평가단위
(2) 회계처리
4. 재고자산평가방법
5. 실제사례를 통한 재고자산 평가방법의 영향력 분석
본문내용
말재고액 = 432천원
⑦ 참깨(1㎏) 기말재고액 = 3,965천원
⑧ 배추 기말재고액 = ( 346 1,523 ) = 527천원
기말재고액의 합계액 = 260,817천원
매출원가 = 판매가능재고자산원가 - 기말재고액
= 1,355,884천원 - 260,817천원
= 1,095,067천원
(4) 구매품에 대한 실지재고조사법 - 후입선출법에 의한 품목별 기말재고 및 매출원사 계산
판매가능재고자산원가 = 기초재고액 + 기중매입액
= 52,918천원 + 280,229천원
= 333,147천원
① 후치왕 입제 기말재고액
= ( 4,100 2,830 ) + ( 4,400 + 356 ) = 13,169천원
② 리바이직드 유제 기말재고액
= ( 2,920 6,410 ) + ( 3,270 7,540 ) = 43,373천원
③ 마세트 입제 기말재고액
= ( 1,470 3,780 ) + ( 1,600 690 ) = 6,661천원
④ 등유 기말재고액
= ( 199 34,350 ) = 6,836천원
⑤ 경유(고)기말재고액
= ( 145 18,270 ) = 2,649천원
기말재고액의 합계액 = 87,782천원
매출원가 = 판매가능재고자산원가 - 기말재고
= 33,147천원 - 87,782천원
= 245,365천원
(5) 계속기록법에 의한 이동평균법과 실지재고조사법에 의한 후입선출법의 요약손익계산서 내용의 상호비교 - 추가 자료내용
. 기초현금 : 423,166천원
. 기초이익잉여금 : 441,614천원
(단위 : 천원)
구 분
계속기록법
-이동평균법(A)
실지재고조사법
- 후입선출법(B)
대 비
(A - B)
매 출 액
1,359,039
1,359,039
0
(판매품)
( 1,097,028 )
( 1,097,028 )
( 0 )
(구매품)
( 262,011 )
( 262,011 )
( 0 )
매출원가
1,329,640
1,340,432
10,792
(판매품)
( 1,088,106 )
( 1,095,067 )
( 6,961 )
(구매품)
( 241,534 )
( 245,365 )
( 3,831 )
매출총이익
29,399
18,607
10,792
법인세(10%)
2,939
1,860
1,079
당기순이익
26,460
16,747
9,713
출자배당 및 이용고배당(20%)
5,292
3,349
1,943
후입선출법 적용에 따른 사외(社外) 유출금액 감소액
= ( 2,939천원 + 5,292천원 ) - ( 1,860천원 + 3,349천원)
= 3,022천원
(6) 단위농협의 '92 결산재구제표 항목에 미치는 결과분석
구 분
계속기록법
- 이동평균법(A)
실지재고조사법
- 후입선출법(B)
대 비
( A - B )
기 말 재 고 액
359,391
348,599
10,792
매 출 총 이 익
29,399
18,607
10,792
법 인 세
2,939
1,860
1,079
덩 가 순 이 익
26,460
16,747
9,713
이 익 잉 영 급
468,074
458,361
9,713
사 외 유 출 금 액
8,231
5,209
3,022
현 금
249,622
350,701
1,079
① 기말재고액은 판매가능재고자산원사 1,689,031천원(1,355,884천원 + 333,147천원)에서 요약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를 차감하여 산출한 금액임.
② 매출총이익, 법인세 및 당기순이익은 요약손이익계산서에서 산출한 금액임.
③ 이익잉여금은 기초이익잉여금 441,614천원에 각각의 당기순이익을 합한 금액임.
④ 현금은 기초현금 + 매출액 - 기중매입액 - 법인세의 산식을 이용하여 산출한 금액임.
기말재고자산
앞에서 살펴 본바와 같이 후입선출법이 이동평균법보다 현금흐름은 높은 반면에 당기순이익과 사외유출금액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지금처럼 계속해서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입장에서의 재고자산평가 방법은 뒤의 자료에 의해서 다시 한 번 분석이 됨으로써 실지재고조사법에 의한 후입선출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사실상 실지재고조사법은 감모손실을 파악 할 수 없는 위험과 재고자산을 실시 하기 전에는 실지재고액을 알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한 단점보완을 위해서는 계속기록법에 의한 후입선출법의 적용이 더욱 바람직하며 특히, 농협처럼 재고자산의 규모가 큰 ('92년말 중앙회재고자산 - 7,094억원. 단위농협 재고자산 - 6,190억원)경우에는 기중에 재고관리를 위하여 자주 현재 재고액을 파악하고자 하므로 계속기록법에 의한 후입선출법 적용의 필요성은 더욱더 크다 하겠다.
⑦ 참깨(1㎏) 기말재고액 = 3,965천원
⑧ 배추 기말재고액 = ( 346 1,523 ) = 527천원
기말재고액의 합계액 = 260,817천원
매출원가 = 판매가능재고자산원가 - 기말재고액
= 1,355,884천원 - 260,817천원
= 1,095,067천원
(4) 구매품에 대한 실지재고조사법 - 후입선출법에 의한 품목별 기말재고 및 매출원사 계산
판매가능재고자산원가 = 기초재고액 + 기중매입액
= 52,918천원 + 280,229천원
= 333,147천원
① 후치왕 입제 기말재고액
= ( 4,100 2,830 ) + ( 4,400 + 356 ) = 13,169천원
② 리바이직드 유제 기말재고액
= ( 2,920 6,410 ) + ( 3,270 7,540 ) = 43,373천원
③ 마세트 입제 기말재고액
= ( 1,470 3,780 ) + ( 1,600 690 ) = 6,661천원
④ 등유 기말재고액
= ( 199 34,350 ) = 6,836천원
⑤ 경유(고)기말재고액
= ( 145 18,270 ) = 2,649천원
기말재고액의 합계액 = 87,782천원
매출원가 = 판매가능재고자산원가 - 기말재고
= 33,147천원 - 87,782천원
= 245,365천원
(5) 계속기록법에 의한 이동평균법과 실지재고조사법에 의한 후입선출법의 요약손익계산서 내용의 상호비교 - 추가 자료내용
. 기초현금 : 423,166천원
. 기초이익잉여금 : 441,614천원
(단위 : 천원)
구 분
계속기록법
-이동평균법(A)
실지재고조사법
- 후입선출법(B)
대 비
(A - B)
매 출 액
1,359,039
1,359,039
0
(판매품)
( 1,097,028 )
( 1,097,028 )
( 0 )
(구매품)
( 262,011 )
( 262,011 )
( 0 )
매출원가
1,329,640
1,340,432
10,792
(판매품)
( 1,088,106 )
( 1,095,067 )
( 6,961 )
(구매품)
( 241,534 )
( 245,365 )
( 3,831 )
매출총이익
29,399
18,607
10,792
법인세(10%)
2,939
1,860
1,079
당기순이익
26,460
16,747
9,713
출자배당 및 이용고배당(20%)
5,292
3,349
1,943
후입선출법 적용에 따른 사외(社外) 유출금액 감소액
= ( 2,939천원 + 5,292천원 ) - ( 1,860천원 + 3,349천원)
= 3,022천원
(6) 단위농협의 '92 결산재구제표 항목에 미치는 결과분석
구 분
계속기록법
- 이동평균법(A)
실지재고조사법
- 후입선출법(B)
대 비
( A - B )
기 말 재 고 액
359,391
348,599
10,792
매 출 총 이 익
29,399
18,607
10,792
법 인 세
2,939
1,860
1,079
덩 가 순 이 익
26,460
16,747
9,713
이 익 잉 영 급
468,074
458,361
9,713
사 외 유 출 금 액
8,231
5,209
3,022
현 금
249,622
350,701
1,079
① 기말재고액은 판매가능재고자산원사 1,689,031천원(1,355,884천원 + 333,147천원)에서 요약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를 차감하여 산출한 금액임.
② 매출총이익, 법인세 및 당기순이익은 요약손이익계산서에서 산출한 금액임.
③ 이익잉여금은 기초이익잉여금 441,614천원에 각각의 당기순이익을 합한 금액임.
④ 현금은 기초현금 + 매출액 - 기중매입액 - 법인세의 산식을 이용하여 산출한 금액임.
기말재고자산
앞에서 살펴 본바와 같이 후입선출법이 이동평균법보다 현금흐름은 높은 반면에 당기순이익과 사외유출금액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지금처럼 계속해서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입장에서의 재고자산평가 방법은 뒤의 자료에 의해서 다시 한 번 분석이 됨으로써 실지재고조사법에 의한 후입선출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사실상 실지재고조사법은 감모손실을 파악 할 수 없는 위험과 재고자산을 실시 하기 전에는 실지재고액을 알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한 단점보완을 위해서는 계속기록법에 의한 후입선출법의 적용이 더욱 바람직하며 특히, 농협처럼 재고자산의 규모가 큰 ('92년말 중앙회재고자산 - 7,094억원. 단위농협 재고자산 - 6,190억원)경우에는 기중에 재고관리를 위하여 자주 현재 재고액을 파악하고자 하므로 계속기록법에 의한 후입선출법 적용의 필요성은 더욱더 크다 하겠다.
추천자료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차이와 조정방안
BSC의 기업 적용 사례--금융업의 K사와 제조업의 L사를 중심으로-
[재무재표이론]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차이와 조정방안
회계변경과 오류수정
손익의귀속시기
제품원가계산목적의 원가배분
원가행동의 유형에 따른 원가의 종류,조업도와 총원가의 자료로부터 고저점법(high-low meth...
분식회계에 대하여
기업 재무구조 분석 (포스코강판)
경영분석(재무분석, 기업경영분석)의 개념, 지표, 경영분석(재무분석, 기업경영분석)의 수익...
원광대 재무관리2장 연습문제
(재무회계) 전산세무 2급 서브노트
중급재무관리 연습문제 (16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