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진층 포말 ABSTRACT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ABSTRACT

- TABLE OF CONTENTS

1.INTRODUCTION
1-1.실험의 목적
1-2. 실험 이론

2.EXPERIMENTAL

3.RESULTS & DISCUSSION
3-1.Raw Data
3-2.RESULTS
3-2-1. 고체입자의 밀도() 측정
3-2-2. 공극률 측정() 측정
3-2-3. 계산 과정
3-2-3-1. 공탑 속도()
3-2-3-2. 충전층의 레이놀드 수() 와 ΔP 결정
3-2-3-3. ΔP와 유속(ν)와의 관계
3-3.DISCUSSION

4.REFERENCES

본문내용

n`` )}
=~ {cm ``cdot`` sec}over{0.018 times 10^-2 `g} right | {}over{(`1``-`0.2401`)} right | {267 ``times`` 10^-4 `cm}over{} right | {1.166 ``g}over{cm^3} right | {6.288 ```cm}over {sec}
=~227.604 ~times~ 6.288 =1431.174
N_{Re`,`p} > 1000
이다.
P의 결정
{N}_{Re,P} ~ > ~1000
이므로 Burke-Plummer eq.을 도입하면,
DELTA P ~=~{1.75`` rho`` {nu} ^{2}``L}over{D_p ``phi``g_c}·{(`1``-`` epsilon`` )}over{ epsilon`^3}
=~{(1.75)``( 1.166)`` (6.288) ^{2}``(10.2)}over{(267 10^-4` 1) ``(980)}·{(`1``-``0.2401`` )}over{ 0.2401`^3}
= 1726.65
Q=7일때, v=7.336[cm/s] L=10.9
{N}_{Re,p}~=~ {D_p ` `nu`` rho } over { mu ``(`1``-`` epsilon`` )}
=~ {cm ``cdot`` sec}over{0.018 times 10^-2 `g} right | {}over{(`1``-`0.2401`)} right | {267 ``times`` 10^-4 `cm}over{} right | {1.166 ``g}over{cm^3} right | {7.336```cm}over {sec}
=~227.604 ~times~ 7.336 =1669.703
N_{Re`,`p} > 1000
이다.
P의 결정
{N}_{Re,P} ~ > ~1000
이므로 Burke-Plummer eq.을 도입하면,
DELTA P ~=~{1.75`` rho`` {nu} ^{2}``L}over{D_p ``phi``g_c}·{(`1``-`` epsilon`` )}over{ epsilon`^3}
=~{(1.75)``( 1.166)`` (7.336) ^{2}``(10.9)}over{(267 10^-4` 1) ``(980)}·{(`1``-``0.2401`` )}over{ 0.2401`^3}
= 2511.45
Q=8일때, v=8.384[cm/s] L=11.8
{N}_{Re,p}~=~ {D_p ` `nu`` rho } over { mu ``(`1``-`` epsilon`` )}
=~ {cm ``cdot`` sec}over{0.018 times 10^-2 `g} right | {}over{(`1``-`0.2401`)} right | {267 ``times`` 10^-4 `cm}over{} right | {1.166 ``g}over{cm^3} right | {8.384```cm}over {sec}
=~227.604 ~times~ 8.384 =1908.231
N_{Re`,`p} > 1000
이다.
P의 결정
{N}_{Re,P} ~ > ~1000
이므로 Burke-Plummer eq.을 도입하면,
DELTA P ~=~{1.75`` rho`` {nu} ^{2}``L}over{D_p ``phi``g_c}·{(`1``-`` epsilon`` )}over{ epsilon`^3}
=~{(1.75)``( 1.166)`` (8.384) ^{2}``(11.8)}over{(267 10^-4` 1) ``(980)}·{(`1``-``0.2401`` )}over{ 0.2401`^3}
= 3551.11
Q=9일때, v=9.432[cm/s] L=12.7
{N}_{Re,p}~=~ {D_p ` `nu`` rho } over { mu ``(`1``-`` epsilon`` )}
=~ {cm ``cdot`` sec}over{0.018 times 10^-2 `g} right | {}over{(`1``-`0.2401`)} right | {267 ``times`` 10^-4 `cm}over{} right | {1.166 ``g}over{cm^3} right | {9.432```cm}over {sec}
=~227.604 ~times~ 9.432 =2146.76
N_{Re`,`p} > 1000
이다.
P의 결정
{N}_{Re,P} ~ > ~1000
이므로 Burke-Plummer eq.을 도입하면,
DELTA P ~=~{1.75`` rho`` {nu} ^{2}``L}over{D_p ``phi``g_c}·{(`1``-`` epsilon`` )}over{ epsilon`^3}
=~{(1.75)``( 1.166)`` (9.432) ^{2}``(12.7)}over{(267 10^-4` 1) ``(980)}·{(`1``-``0.2401`` )}over{ 0.2401`^3}
= 4837.16
3-2-3-3. P와 유속( )와의 관계
Table.2.공탑의 속도와 P.
실험 횟수
공탑의 속도[cm/s]
P
3
3.144
445.46
4
4.192
779
5
5.24
1128.53
6
6.288
1726.65
7
7.336
2511.45
8
8.384
3551.11
9
9.432
4837.16
Table .2.은 공탑의 속도와 P의 값을 비교해 기록하였다.
Figure 2. 공탑속도와 P의 관계
3-3.DISCUSSION
이번 실험에서는 충진층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유량에 따라서 압력과 그때의 충진층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입자들 사이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서 충전층의 레이놀드 수(
N_{Re`,`p}
) 와 P 을 계산하는 여러 식을 알게 되었다.
실험 시 오차원인을 생각해 보면 가장 큰 원인은 실험의 횟수가 부족하여 실험값의 오차를 줄이지 못한 것에 있었고 또한 실험의 값을 측정할 때 사람의 눈으로 압력이나 유동층의 높이를 측정하여 보는 위치에 따라 값이 달라졌다. 그리고 유량을 올리고 내리는데 손을 사용해서 하다보니 정확한 유량을 줄 수 없어서 실험마다 실험값이 차이가 나게 되었다.
4.REFERENCES
1) 정경락 편저, 화학공학실험Ⅰ,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부, 실험 11.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06.15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55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