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서론
제 2 장 본론
제 1 절 웹 스타일 가이드란
1. WebStyle guide 정의
(1) 사이트의 목표 정의와 계획
(2) 정보 구성
(3) 사이트 디자인
(4) 사이트 구축
(5) 사이트 마케팅
(6) 평가와 유지
2. 왜 WebStyle guide인가
3. WebStyle guide 구성요소
(1) 시각디자인 측면
(2) 정보 구조적 측면
제 2 절 구청 홈페이지 분석
1. URL 분석
2. 메뉴 분석
3. 인터넷 민원서비스 분석
4. 행정기관의WebStyle guide 작성이 필요한 이유
(1) 일관성 있는 홈페이지 운영
(2) 비용절감
(3) 관리인력 양성
제 3 장 결론
제 2 장 본론
제 1 절 웹 스타일 가이드란
1. WebStyle guide 정의
(1) 사이트의 목표 정의와 계획
(2) 정보 구성
(3) 사이트 디자인
(4) 사이트 구축
(5) 사이트 마케팅
(6) 평가와 유지
2. 왜 WebStyle guide인가
3. WebStyle guide 구성요소
(1) 시각디자인 측면
(2) 정보 구조적 측면
제 2 절 구청 홈페이지 분석
1. URL 분석
2. 메뉴 분석
3. 인터넷 민원서비스 분석
4. 행정기관의WebStyle guide 작성이 필요한 이유
(1) 일관성 있는 홈페이지 운영
(2) 비용절감
(3) 관리인력 양성
제 3 장 결론
본문내용
성이 필요한 이유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으나 크게 세 가지로 생각해 보았다. 일관성 있는 홈페이지 운영, 비용절감 그리고 관리인력 양성이 그 것이다.
1. 일관성 있는 홈페이지 운영
우선 현재 운영되는 구청 홈페이지에 어떠한 일관된 정책을 찾아 볼 수 없다. 각 자치구 별로 독자적인 운영을 하고 있다. 또한 각자 운영되는 구청 홈페이지에 과연 일관된 정책이 존재하느냐에 대해서도 의문이 간다. 사실 상당수 자치구 홈페이지가 자체 제작이 아니라 외주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다 보니 주체적인 입장에서 홈페이지를 운영하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초기 확실한 웹 스타일 가이드가 존재한다면 홈페이지 관리가 매우 손쉬울 것이다.
2. 비용절감
비용적인 문제도 고려해 볼 수 있다. 현재 통합 데이터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차후 모든 민원데이터가 일원화되거나 상호연결 될 때 구청 홈페이지도 이들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모든 홈페이지는 공통적인 일정 부분이 존재해야 한다. 이 부분에서 비용이 발생한다. 차후 데이터베이스가 사용될 때 모든 홈페이지를 새로 보수한다면 매운 비용부담이 클 것이다. 따라서 각 자치구 별로 웹 스타일 가이드를 배포하야 일정한 통제를 하면 나중에 적은 비용으로 유비보수가 가능할 것이다.
3. 관리인력 양성
현재 많은 홈페이지가 외주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따라서 약간에 시스템 상의 문제가 생기거나 혹은 작은 업데이트 시 혼란을 겪을 수 있다. 웹 스타일 가이드가 있으면 전체 홈페이지의 구조를 알 수 있고 업데이트 시 주의할 점도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자체 인력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이 경우 웹 스타일 가이드를 중심으로 자체 관리인력 양성도 가능하다.
제 3 장 결론
이번 연구를 하면서 느낀 점은 민간부분과 공공부문에 정보화 격차가 심하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부로 느끼는 행정서비스 부분에서 이 문제점이 더욱 드러난다. 정부가 IT분야를 집중 육성하면서 정작 국민을 위한 행정 서비스 분야에 대해서는 소홀히 하지 않고 있나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각 구청 홈페이지가 서로 간에 어떠한 연계점도 없이 제 각기 운영되고 있다. 차후 서로 연계된 서비스 제공 시 모든 홈페이지가 다시 구축되어야 하는 것은 불을 보듯이 뻔하다. 이미 민간부분은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고 채널을 다양화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민원서비스도 중앙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고 각 구청에서 공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질 것이다.
아직 홍보 중심에 홈페이지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차후 여러 어플리케이션이 도입되면 구청 홈페이지의 위상도 달라지고 관리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 시기는 수 년 안에 곧 도래할 것이다. 그 때 서둘러 대비하기보다는 지금부터 각 구청별로 미리 관련 인력을 확보하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일련에 정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관된 홈페이지 운영이 필요 할 것이다. 그 일관된 정책이 바로 웹 스타일 가이드이다.
웹 스타일 가이드를 중심으로 웹 사이트를 관리한다면 이러한 변화에도 적응하기 쉬우며 지속적인 관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미 대규모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민간기업들은 웹 스타일 가이드를 도입해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운영은 이미 효율적인 유저어빌러티와 홈페이지 자체의 가치를 높여주고 있다. 따라서 어느 민간 부분보다 거대한 공공부문에 홈페이지에 웹 스타일 가이드를 도입한다면 많은 이점이 있을 것이다. 또한 웹 스타일 가이드를 활용하여 공무원들에 정보화 의식도 고취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1.단행본
이유숙, "웹 스타일 가이드", e-bizgroup working paper No.23, 2001
Patrick J. Lynch, Sarah Horton, "웹 스타일 가이드", 안그라픽스, 1999
애미 조 킴, "성공적인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 전략". 안그라픽스, 2001
이해석, "웹 사이트 기획을 하기 위한 15가지이야기", 비비컴, 2000
2..홈페이지
http://info.med.yale.edu/caim/manual/ Yale University
http://wwwdb.csu.edu.auCharles Sturt University
http://www.dongjak.seoul.kr 동작구 홈페이지
http://www.mapo.seoul.kr 마포구 홈페이지
http://www.jongro.seoul.kr 종로구 홈페이지
http://gu.tongdaemun.seoul.kr 동대문구 홈페이지
http://www.nowon.seoul.kr 노원구 홈페이지
http://www.kumchon.seoul.kr 금천구 홈페이지
http://chungnang.seoul.kr 중랑구 홈페이지
http://www.songdong.seoul.kr 성동구 홈페이지
http://www.songbuk.seoul.kr 성북구 홈페이지
http://gu.seodaemun.seoul.kr 서대문구 홈페이지
http://tobong.seoul.kr 도봉구 홈페이지
http://www.yangchon.seoul.kr 양천구 홈페이지
http://www.kuro.seoul.kr 구로구 홈페이지
http://gu.kangseo.seoul.kr 강서구 홈페이지
http://www.kangdong.seoul.kr 강동구 홈페이지
http://www.kangnam.seoul.kr 강남구 홈페이지
http://www.Kangbuk.seoul.kr 강북구 홈페이지
http://www.chunggu.seoul.kr 중구 홈페이지
http://www.seocho.seoul.kr 서초구 홈페이지
http://songpa.seoul.kr 송파구 홈페이지
http://www.unpyong.seoul.kr 은평구 홈페이지
http://www.yongsan.seoul.kr 용산구 홈페이지
http://gu.yongdungpo.seoul.kr 영등포구 홈페이지
http://www.kwangjin.seoul.kr 광진구 홈페이지
http://www.kwanak.seoul.kr 관악구 홈페이지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으나 크게 세 가지로 생각해 보았다. 일관성 있는 홈페이지 운영, 비용절감 그리고 관리인력 양성이 그 것이다.
1. 일관성 있는 홈페이지 운영
우선 현재 운영되는 구청 홈페이지에 어떠한 일관된 정책을 찾아 볼 수 없다. 각 자치구 별로 독자적인 운영을 하고 있다. 또한 각자 운영되는 구청 홈페이지에 과연 일관된 정책이 존재하느냐에 대해서도 의문이 간다. 사실 상당수 자치구 홈페이지가 자체 제작이 아니라 외주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다 보니 주체적인 입장에서 홈페이지를 운영하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초기 확실한 웹 스타일 가이드가 존재한다면 홈페이지 관리가 매우 손쉬울 것이다.
2. 비용절감
비용적인 문제도 고려해 볼 수 있다. 현재 통합 데이터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차후 모든 민원데이터가 일원화되거나 상호연결 될 때 구청 홈페이지도 이들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모든 홈페이지는 공통적인 일정 부분이 존재해야 한다. 이 부분에서 비용이 발생한다. 차후 데이터베이스가 사용될 때 모든 홈페이지를 새로 보수한다면 매운 비용부담이 클 것이다. 따라서 각 자치구 별로 웹 스타일 가이드를 배포하야 일정한 통제를 하면 나중에 적은 비용으로 유비보수가 가능할 것이다.
3. 관리인력 양성
현재 많은 홈페이지가 외주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따라서 약간에 시스템 상의 문제가 생기거나 혹은 작은 업데이트 시 혼란을 겪을 수 있다. 웹 스타일 가이드가 있으면 전체 홈페이지의 구조를 알 수 있고 업데이트 시 주의할 점도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자체 인력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이 경우 웹 스타일 가이드를 중심으로 자체 관리인력 양성도 가능하다.
제 3 장 결론
이번 연구를 하면서 느낀 점은 민간부분과 공공부문에 정보화 격차가 심하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부로 느끼는 행정서비스 부분에서 이 문제점이 더욱 드러난다. 정부가 IT분야를 집중 육성하면서 정작 국민을 위한 행정 서비스 분야에 대해서는 소홀히 하지 않고 있나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각 구청 홈페이지가 서로 간에 어떠한 연계점도 없이 제 각기 운영되고 있다. 차후 서로 연계된 서비스 제공 시 모든 홈페이지가 다시 구축되어야 하는 것은 불을 보듯이 뻔하다. 이미 민간부분은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고 채널을 다양화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민원서비스도 중앙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고 각 구청에서 공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질 것이다.
아직 홍보 중심에 홈페이지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차후 여러 어플리케이션이 도입되면 구청 홈페이지의 위상도 달라지고 관리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 시기는 수 년 안에 곧 도래할 것이다. 그 때 서둘러 대비하기보다는 지금부터 각 구청별로 미리 관련 인력을 확보하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일련에 정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관된 홈페이지 운영이 필요 할 것이다. 그 일관된 정책이 바로 웹 스타일 가이드이다.
웹 스타일 가이드를 중심으로 웹 사이트를 관리한다면 이러한 변화에도 적응하기 쉬우며 지속적인 관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미 대규모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민간기업들은 웹 스타일 가이드를 도입해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운영은 이미 효율적인 유저어빌러티와 홈페이지 자체의 가치를 높여주고 있다. 따라서 어느 민간 부분보다 거대한 공공부문에 홈페이지에 웹 스타일 가이드를 도입한다면 많은 이점이 있을 것이다. 또한 웹 스타일 가이드를 활용하여 공무원들에 정보화 의식도 고취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1.단행본
이유숙, "웹 스타일 가이드", e-bizgroup working paper No.23, 2001
Patrick J. Lynch, Sarah Horton, "웹 스타일 가이드", 안그라픽스, 1999
애미 조 킴, "성공적인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 전략". 안그라픽스, 2001
이해석, "웹 사이트 기획을 하기 위한 15가지이야기", 비비컴, 2000
2..홈페이지
http://info.med.yale.edu/caim/manual/ Yale University
http://wwwdb.csu.edu.auCharles Sturt University
http://www.dongjak.seoul.kr 동작구 홈페이지
http://www.mapo.seoul.kr 마포구 홈페이지
http://www.jongro.seoul.kr 종로구 홈페이지
http://gu.tongdaemun.seoul.kr 동대문구 홈페이지
http://www.nowon.seoul.kr 노원구 홈페이지
http://www.kumchon.seoul.kr 금천구 홈페이지
http://chungnang.seoul.kr 중랑구 홈페이지
http://www.songdong.seoul.kr 성동구 홈페이지
http://www.songbuk.seoul.kr 성북구 홈페이지
http://gu.seodaemun.seoul.kr 서대문구 홈페이지
http://tobong.seoul.kr 도봉구 홈페이지
http://www.yangchon.seoul.kr 양천구 홈페이지
http://www.kuro.seoul.kr 구로구 홈페이지
http://gu.kangseo.seoul.kr 강서구 홈페이지
http://www.kangdong.seoul.kr 강동구 홈페이지
http://www.kangnam.seoul.kr 강남구 홈페이지
http://www.Kangbuk.seoul.kr 강북구 홈페이지
http://www.chunggu.seoul.kr 중구 홈페이지
http://www.seocho.seoul.kr 서초구 홈페이지
http://songpa.seoul.kr 송파구 홈페이지
http://www.unpyong.seoul.kr 은평구 홈페이지
http://www.yongsan.seoul.kr 용산구 홈페이지
http://gu.yongdungpo.seoul.kr 영등포구 홈페이지
http://www.kwangjin.seoul.kr 광진구 홈페이지
http://www.kwanak.seoul.kr 관악구 홈페이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