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원 개관
2. 지도의 실제
3. 수업 지도안
4. 평가 - 수행평가지, 동료 평가지, 교사 평가지
5. 참고 자료 - 평균대 운동
2. 지도의 실제
3. 수업 지도안
4. 평가 - 수행평가지, 동료 평가지, 교사 평가지
5. 참고 자료 - 평균대 운동
본문내용
문에 불안하며 또한 자세도 불안전하게 되기 쉽다. 그러므로 스피드를 붙여서 걸을 필요가 없다. 뒤로 내딛는 발로 평균대를 확인하여 자연스럽게 안정된 걸음을 되풀이해야 한다.
5. 엇걸어 걷기
: 발을 옆을 이동하며 엇걸어 걷는다. 시선은 진행 방향을 본다. 엇걸기는 넓이가 넓으면 중심 이동이 엉클어진다. 그러므로 좁은 엇걸기로 걷는다. 엇걸기는 앞, 뒤의 엇걸기가 있다. 뒤로 할 때는, 허리를 진행방향으로 조금 비틀면 중심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다.
6. 뛰어 올라 두 다리 벌리며 배면 버티기
: 양팔을 힘차게 밀고 떼는 동시에 두 다리를 벌려 넘는 동작이 일치되도록 한다
7. 쪼그려 앉아 걷기
: 평균대 위에 무릎으로 짚고 다리를 앞으로 내민다. 앞으로 내민 다리에 체중을 옮기면서, 다른 발을 평균대 위에서 떼고 앞으로 내어 놓는다. 다리에 체중을 옮기고 같은 동작을 하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중심의 높이는 되도록 일정하게, 또한 상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걸어간다. 앞으로 무릎 굽혀 걷기 동작을 익히면서 뒤로 무릎 굽혀 걷기 동작도 해본다.
8. 앞 평균 잡기
: 팔, 얼굴, 발의 위치, 허벅다리 관절의 유연성, 가슴 부위의 유연성 등 각기 갖고 있는 요소와 창조성으로 여러 가지 자세를 이룬다. 아름다운 선을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 팔의 들기 맞춤에 의해서 여러 가지 평균잡기가 가능하다. 발의 각도는 넓히고 상체는 젖혀야 한다.
<여러 가지 균형 잡기>
9. 앞 뒤 다리 벌려 앉기
: 상체 팔의 위치에 따라 변화있는 앞, 뒤 다리 벌려 앉기가 된다. 이 앉기는 많은 훈련이 필요하다. 다리 벌려 몸 굽혀 앉은 자세는 허벅다리 관절의 유연 연습을 많이 하여야 한다. 평균대 위에서 하반신의 조임이 필요하다.
10. 옆으로 다리 벌려 앉기
: 앞, 뒤 다리 벌려 앉기가 되어도 옆으로 벌려 앉기는 대단히 어렵다. 이 동작이 가능한 사람은 앞 뒤 다리벌려 앉기는 쉽게 된다. 익힘에 노력이 필요하다.
11. V자형 앉기
: 흔히 V자형 자세로 불린다. 배, 등의 근력이 필요하다.
12. 포즈
: 포즈란 댄스적인 어떤 자세이다. 현재로는 순간적으로 정지하는 경향이 있다. 한 순간 중에도 아름다움을 나타내야 한다. 한발, 두발로 서는 포즈, 한팔, 두 팔로 버티는 포즈, 한무릎, 두 무릎으로 서는 포즈 등이 있다.
13. 버티기
: 버티기 자세는 기술적으로 곤란한 것은 아니나 이 자세가 연기 중 너무 많으면 슬로우 템포의 느낌이나 무거운 느낌을 주므로 좋지 않다. 다리 벌려 허리 띄워 버티기, 허리 띄워 버티기, 몸 접어 버티기, 뒤 버티기, 앞 버티기, 앞, 뒤 다리 벌려 버티기 등의 버티기 자세는 물구나무 서기 동작으로부터 연속할 수 있다.
14. 옆으로 물구나무 서기
: 들어올리는 발을 머리 위에 멈추고, 차 올리는 발을 재빨리 들어 올린 발에 맞춘다. 들어올린 발의 공중감각을 체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조자는 연기자의 등 뒤에 서서, 두 손을 위로 올리고 어깨를 보조한다.
15. 한 발 무릎 굽혀 물구나무 서기
: 물구나무 서서 앞 뒤로 다리를 벌린다. 세로의 평균대에서 물구나무서기이며, 정지한 후 천천히 다리를 앞 뒤로 벌린다. 가로의 평균대 위치에서도 물구나무서기를 하도록 한다.
16. 돌기 (방향 바꾸기)
17. 구르기
: 상체의 앞 굽히기와 중심 이동이 요점이다. 뒷 발을 찰 때 너무 세게 차지 않는 것이 좋다. 목으로 버티며, 겨드랑이에 힘을 주어 몸의 안정을 유지한다. 보조자는 평균대 옆에 서서 연기자의 허리를 받쳐준다.
18. 옆돌기
: 허리나 팔을 구부리면 몸의 밸런스가 흐트러진다. 그러므로 손 가까이 발을 내리고, 두 번째 짚는 손은 되도록 평균대를 오래 잡고 중심이 발에 옮겨진 다음 손을 뗀다.
19. 앞돌기
: 몸의 띄우지 않고 회전해야 한다. 들어올리는 발을 빨리 대 위에 딛고, 차는 발도 빨리 내려딛는다. 발을 절대로 옆으로 벌리지 않는다.
20. 고양이 뛰기
: 발 구름을 강하게 한 후, 팔을 들고 무릎을 가슴에 끌어당기고 몸 전체를 끌어 올리듯이 하고 뛴다. 무릎을 가슴에 끌어당기는 순간 허리를 내리지 않는 것이 요점이다.
21. 사슴 뛰기
: 앞 발의 충분한 무릎 굽힘과 뒷발의 무릎 폄을 수평으로 하면서 뒤로 올리는 것이 요점이다. 내려딛기 때 몸을 부드럽게 하여야 한다.
22. 앞뒤로 다리 벌려 뛰기
: 뛸 때 배의 근육을 수축시키며 두 다리의 벌린 각도가 180 이상이 되도록 한다.
23. 가위 뛰기
: 가위와 같이 몸 앞에서 빠른 속도로 발을 서로 엇갈리게 한다.
24. 뒤돌아 내리기
: 손 짚고 뒤로 돌아 내려 딛으며 몸을 띄운다. 발을 세게 차고 팔을 세게 흔드는 동작이 요점이다. 뒤로 몸을 젖힐 때 무릎이 앞으로 나가지 않게 연습한다.
19. 앞 공중 돌아 내리기
: 점프와 쪼그리기의 타이밍이 중요하다. 높이가 있으므로 점프의 감각을 충분히 체득해야 한다. 보조자는 연기자 옆에 서서, 연기자의 가슴과 등을 받쳐준다.
20. 뒤 공중 돌아 내리기
: 차는 방향을 비껴 뒤 위로 찬다. 끌어당기는 시기, 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을 터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발을 차는 방향이 위쪽이면 땅에 내려 딛을 때, 착지시 뜀틀이나 평균대에 머리를 스치는 경우가 나타나 부상이 예상된다. 보조자는 팔을 위로 올려 연기자의 허리를 회전 방향으로 민다.
21. 여러 동작 연결하기
: 평균대 운동의 기본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동작을 구성하여 아름답게 표현하는 활동으로서 부드럽게 동작이 연결 되도록 한다.
참고자료
http://www.jinwon.es.kr/dataroom/data/%C3%BC%C0%B0%BC%F6%BE%F7%BE%C8.hwp
http://web.cnei.or.kr/jsp/board/upload/mtea02/%C1%DF2.hwp
http://211.34.13.3/newhome/center_frame/data/elementary/datae56/file/%C6%F2%B1%D5%B4%EB%BF%EE%B5%BF%BC%F6%BE%F7%BE%C8.hwp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5학년
기계체조지도서, 1995
체조, 1998, 권운택 저
5. 엇걸어 걷기
: 발을 옆을 이동하며 엇걸어 걷는다. 시선은 진행 방향을 본다. 엇걸기는 넓이가 넓으면 중심 이동이 엉클어진다. 그러므로 좁은 엇걸기로 걷는다. 엇걸기는 앞, 뒤의 엇걸기가 있다. 뒤로 할 때는, 허리를 진행방향으로 조금 비틀면 중심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다.
6. 뛰어 올라 두 다리 벌리며 배면 버티기
: 양팔을 힘차게 밀고 떼는 동시에 두 다리를 벌려 넘는 동작이 일치되도록 한다
7. 쪼그려 앉아 걷기
: 평균대 위에 무릎으로 짚고 다리를 앞으로 내민다. 앞으로 내민 다리에 체중을 옮기면서, 다른 발을 평균대 위에서 떼고 앞으로 내어 놓는다. 다리에 체중을 옮기고 같은 동작을 하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중심의 높이는 되도록 일정하게, 또한 상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걸어간다. 앞으로 무릎 굽혀 걷기 동작을 익히면서 뒤로 무릎 굽혀 걷기 동작도 해본다.
8. 앞 평균 잡기
: 팔, 얼굴, 발의 위치, 허벅다리 관절의 유연성, 가슴 부위의 유연성 등 각기 갖고 있는 요소와 창조성으로 여러 가지 자세를 이룬다. 아름다운 선을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 팔의 들기 맞춤에 의해서 여러 가지 평균잡기가 가능하다. 발의 각도는 넓히고 상체는 젖혀야 한다.
<여러 가지 균형 잡기>
9. 앞 뒤 다리 벌려 앉기
: 상체 팔의 위치에 따라 변화있는 앞, 뒤 다리 벌려 앉기가 된다. 이 앉기는 많은 훈련이 필요하다. 다리 벌려 몸 굽혀 앉은 자세는 허벅다리 관절의 유연 연습을 많이 하여야 한다. 평균대 위에서 하반신의 조임이 필요하다.
10. 옆으로 다리 벌려 앉기
: 앞, 뒤 다리 벌려 앉기가 되어도 옆으로 벌려 앉기는 대단히 어렵다. 이 동작이 가능한 사람은 앞 뒤 다리벌려 앉기는 쉽게 된다. 익힘에 노력이 필요하다.
11. V자형 앉기
: 흔히 V자형 자세로 불린다. 배, 등의 근력이 필요하다.
12. 포즈
: 포즈란 댄스적인 어떤 자세이다. 현재로는 순간적으로 정지하는 경향이 있다. 한 순간 중에도 아름다움을 나타내야 한다. 한발, 두발로 서는 포즈, 한팔, 두 팔로 버티는 포즈, 한무릎, 두 무릎으로 서는 포즈 등이 있다.
13. 버티기
: 버티기 자세는 기술적으로 곤란한 것은 아니나 이 자세가 연기 중 너무 많으면 슬로우 템포의 느낌이나 무거운 느낌을 주므로 좋지 않다. 다리 벌려 허리 띄워 버티기, 허리 띄워 버티기, 몸 접어 버티기, 뒤 버티기, 앞 버티기, 앞, 뒤 다리 벌려 버티기 등의 버티기 자세는 물구나무 서기 동작으로부터 연속할 수 있다.
14. 옆으로 물구나무 서기
: 들어올리는 발을 머리 위에 멈추고, 차 올리는 발을 재빨리 들어 올린 발에 맞춘다. 들어올린 발의 공중감각을 체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조자는 연기자의 등 뒤에 서서, 두 손을 위로 올리고 어깨를 보조한다.
15. 한 발 무릎 굽혀 물구나무 서기
: 물구나무 서서 앞 뒤로 다리를 벌린다. 세로의 평균대에서 물구나무서기이며, 정지한 후 천천히 다리를 앞 뒤로 벌린다. 가로의 평균대 위치에서도 물구나무서기를 하도록 한다.
16. 돌기 (방향 바꾸기)
17. 구르기
: 상체의 앞 굽히기와 중심 이동이 요점이다. 뒷 발을 찰 때 너무 세게 차지 않는 것이 좋다. 목으로 버티며, 겨드랑이에 힘을 주어 몸의 안정을 유지한다. 보조자는 평균대 옆에 서서 연기자의 허리를 받쳐준다.
18. 옆돌기
: 허리나 팔을 구부리면 몸의 밸런스가 흐트러진다. 그러므로 손 가까이 발을 내리고, 두 번째 짚는 손은 되도록 평균대를 오래 잡고 중심이 발에 옮겨진 다음 손을 뗀다.
19. 앞돌기
: 몸의 띄우지 않고 회전해야 한다. 들어올리는 발을 빨리 대 위에 딛고, 차는 발도 빨리 내려딛는다. 발을 절대로 옆으로 벌리지 않는다.
20. 고양이 뛰기
: 발 구름을 강하게 한 후, 팔을 들고 무릎을 가슴에 끌어당기고 몸 전체를 끌어 올리듯이 하고 뛴다. 무릎을 가슴에 끌어당기는 순간 허리를 내리지 않는 것이 요점이다.
21. 사슴 뛰기
: 앞 발의 충분한 무릎 굽힘과 뒷발의 무릎 폄을 수평으로 하면서 뒤로 올리는 것이 요점이다. 내려딛기 때 몸을 부드럽게 하여야 한다.
22. 앞뒤로 다리 벌려 뛰기
: 뛸 때 배의 근육을 수축시키며 두 다리의 벌린 각도가 180 이상이 되도록 한다.
23. 가위 뛰기
: 가위와 같이 몸 앞에서 빠른 속도로 발을 서로 엇갈리게 한다.
24. 뒤돌아 내리기
: 손 짚고 뒤로 돌아 내려 딛으며 몸을 띄운다. 발을 세게 차고 팔을 세게 흔드는 동작이 요점이다. 뒤로 몸을 젖힐 때 무릎이 앞으로 나가지 않게 연습한다.
19. 앞 공중 돌아 내리기
: 점프와 쪼그리기의 타이밍이 중요하다. 높이가 있으므로 점프의 감각을 충분히 체득해야 한다. 보조자는 연기자 옆에 서서, 연기자의 가슴과 등을 받쳐준다.
20. 뒤 공중 돌아 내리기
: 차는 방향을 비껴 뒤 위로 찬다. 끌어당기는 시기, 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을 터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발을 차는 방향이 위쪽이면 땅에 내려 딛을 때, 착지시 뜀틀이나 평균대에 머리를 스치는 경우가 나타나 부상이 예상된다. 보조자는 팔을 위로 올려 연기자의 허리를 회전 방향으로 민다.
21. 여러 동작 연결하기
: 평균대 운동의 기본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동작을 구성하여 아름답게 표현하는 활동으로서 부드럽게 동작이 연결 되도록 한다.
참고자료
http://www.jinwon.es.kr/dataroom/data/%C3%BC%C0%B0%BC%F6%BE%F7%BE%C8.hwp
http://web.cnei.or.kr/jsp/board/upload/mtea02/%C1%DF2.hwp
http://211.34.13.3/newhome/center_frame/data/elementary/datae56/file/%C6%F2%B1%D5%B4%EB%BF%EE%B5%BF%BC%F6%BE%F7%BE%C8.hwp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5학년
기계체조지도서, 1995
체조, 1998, 권운택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