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역학(Epidemiology)
2. 병인론
1) 압박
2) 쓸리는 힘(shearing force)
3) Neurotrophic factor
4) 영양결핍과 빈혈
3. 세균학적 측면
4. 감별진단
5. 예방
6. 피부간호
7. 체위 변경계획 적응
8. 체위 변경계획
2. 병인론
1) 압박
2) 쓸리는 힘(shearing force)
3) Neurotrophic factor
4) 영양결핍과 빈혈
3. 세균학적 측면
4. 감별진단
5. 예방
6. 피부간호
7. 체위 변경계획 적응
8. 체위 변경계획
본문내용
체위 변경이 욕창예방과 치료를 돕는다. 잦은 체위 변경은 피부 압박과 자극을 줄이고 안위를 증진하며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그러나 욕창예방에 있어서 환자 스스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스스로 움직일 수 없다면 간호사가 규칙적인 간격으로 체위를 바꾸어 준다.
8. 체위 변경계획
계획대로 2시간마다 처음에는 앙와위, 좌측위, 복부, 우측위 등으로 체위를 바꾸어준다. 식사할 때는 등으로 기대는 자세와 같은 대상자의 활동에 맞는 편안한 체위로 계획을 맞춘다.
체위변경에 대한 계획을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 시계 2개를 이용하여 계획표를 기록하면 편리하다.
참고문헌
김명자 외 여러명/ 기본간호학 (상)/ 현문사/ 1999/ p473 ∼ p475
최신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1999/ p201
그러나 욕창예방에 있어서 환자 스스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스스로 움직일 수 없다면 간호사가 규칙적인 간격으로 체위를 바꾸어 준다.
8. 체위 변경계획
계획대로 2시간마다 처음에는 앙와위, 좌측위, 복부, 우측위 등으로 체위를 바꾸어준다. 식사할 때는 등으로 기대는 자세와 같은 대상자의 활동에 맞는 편안한 체위로 계획을 맞춘다.
체위변경에 대한 계획을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 시계 2개를 이용하여 계획표를 기록하면 편리하다.
참고문헌
김명자 외 여러명/ 기본간호학 (상)/ 현문사/ 1999/ p473 ∼ p475
최신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1999/ p201
추천자료
무의식 환자 간호
치매노인의 합병증 간호
중환자실 뇌수종 간호 케이스
뇌졸중 재활 간호
석고붕대에 대하여 간호
NSICU에서 이용되는 기본간호술
무균술의 정의와 간호 감염방지
(실습일지) 간호학과 실습일지
호지킨 림프종 간호중재 (Hodgkin's lymphoma)
[지역사회간호학][보건소사업][정신보건사업][결핵관리사업][영유아예방접종][건강증진]문헌고찰
[성인간호학] 경막 외 출혈 EDH (Epidural Hemorrahge) 실습 케이스스터디
[ICU 간호과정] 진단명 : scalp wound infection / 주호소 : fever. op wd infection
경막외혈종케이스(간호과정:두개내 혈종과 관련된 뇌조직관류장애,두통과 관련된 통증,수술과...
Rectal ca 간호과정 (A급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