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선가의 그림 '십우도'
1. 심우(尋牛)
2. 견적(見跡)
3. 견우(見牛)
4. 득우(得牛)
5. 목우(牧牛)
6. 기우귀가(騎牛歸家)
7. 망우재인(忘牛在人)
8. 인우구망(人牛俱忘)
9. 반본환원(返本還源)
10. 입전수수(入전垂手)
1. 심우(尋牛)
2. 견적(見跡)
3. 견우(見牛)
4. 득우(得牛)
5. 목우(牧牛)
6. 기우귀가(騎牛歸家)
7. 망우재인(忘牛在人)
8. 인우구망(人牛俱忘)
9. 반본환원(返本還源)
10. 입전수수(入전垂手)
본문내용
리가 찾는 ‘소’는 대개벽의 정신(精神)을 소유하여 천지의 질서를 바로잡는 진리(眞理)의 주체(主體)이다.
개벽의 열쇠, 생명의 활방(活方)을 가진 절대자이다.
이를 우리나라의 예언용어[秘訣]에서는‘소의 성품(性稟)을 가진 진인’이라는 뜻으로 우성진인(牛性眞人)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진인(眞人)은 도대체 어떠한 경지를 표현하는 말일까?
동양의 한자문화권에서의 진인(眞人)은 철인(哲人), 성인(聖人), 불타(佛陀) 등을 뛰어넘는
신성(神聖)의 반열을 뜻하며 조화권능의 영역을 아우른다.
그러므로 한민족의 정신사 한가운데에는 언제나 이 진인(眞人)의 출세를 갈망하고 있으며,
이것이 비결 곳곳에 예정된 미래로 자리잡고 있다.
결국 선가의 그림 '십우도'의 참뜻은 미륵부처님을 찾아야 산다는 것이다.
개벽의 열쇠, 생명의 활방(活方)을 가진 절대자이다.
이를 우리나라의 예언용어[秘訣]에서는‘소의 성품(性稟)을 가진 진인’이라는 뜻으로 우성진인(牛性眞人)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진인(眞人)은 도대체 어떠한 경지를 표현하는 말일까?
동양의 한자문화권에서의 진인(眞人)은 철인(哲人), 성인(聖人), 불타(佛陀) 등을 뛰어넘는
신성(神聖)의 반열을 뜻하며 조화권능의 영역을 아우른다.
그러므로 한민족의 정신사 한가운데에는 언제나 이 진인(眞人)의 출세를 갈망하고 있으며,
이것이 비결 곳곳에 예정된 미래로 자리잡고 있다.
결국 선가의 그림 '십우도'의 참뜻은 미륵부처님을 찾아야 산다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