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 서 론
Ⅱ . 목회상담에 대한 이해
A . 목회상담의 어원과 용어적 의미
B . 목회상담의 역사적 고찰
1 . 구약의 상담
2 . 신약의 상담
3 . 초대교회의 상담
C . 목회상담의 정의
1 . 일반상담의 정의
2 . 목회상담의 정의
Ⅲ . 목회상담의 목표
A . 목회상담은 기독교에 대하여 올바른 인식을 시켜주는 것이다.
B . 체휼하시는 그리스도를 깨닫게 한다.
C . 사죄와 구원의 확신을 갖도록 해 주는 것이다.
D . 영적으로 성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E . 진정한 자유인이 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F . 예수 그리스도의 상담의 목표
Ⅳ . 예수님의 상담원리
A . 예수는 인간 자체에 최고의 가치를 두었다.
B .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다루었다.
C . 끝없는 용서와 사랑이다.
Ⅴ . 성경을 사용한 상담
A . 하나님 말씀 사용의 필수성
B . 신.구약 성경은 신앙과 행위에 정확한 무오한 유일의 법칙이다.
C . 성경적 상담의 목표
D . 성경적 상담의 방법
Ⅵ . 예수님의 상담사례
A . 니고데모와의 상담
B . 간음중에 잡혀온 여인과의 상담
C . 나인성과부의 아들의 죽음
D . 베드로와의 만남
Ⅵ . 결 론
Ⅱ . 목회상담에 대한 이해
A . 목회상담의 어원과 용어적 의미
B . 목회상담의 역사적 고찰
1 . 구약의 상담
2 . 신약의 상담
3 . 초대교회의 상담
C . 목회상담의 정의
1 . 일반상담의 정의
2 . 목회상담의 정의
Ⅲ . 목회상담의 목표
A . 목회상담은 기독교에 대하여 올바른 인식을 시켜주는 것이다.
B . 체휼하시는 그리스도를 깨닫게 한다.
C . 사죄와 구원의 확신을 갖도록 해 주는 것이다.
D . 영적으로 성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E . 진정한 자유인이 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F . 예수 그리스도의 상담의 목표
Ⅳ . 예수님의 상담원리
A . 예수는 인간 자체에 최고의 가치를 두었다.
B .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다루었다.
C . 끝없는 용서와 사랑이다.
Ⅴ . 성경을 사용한 상담
A . 하나님 말씀 사용의 필수성
B . 신.구약 성경은 신앙과 행위에 정확한 무오한 유일의 법칙이다.
C . 성경적 상담의 목표
D . 성경적 상담의 방법
Ⅵ . 예수님의 상담사례
A . 니고데모와의 상담
B . 간음중에 잡혀온 여인과의 상담
C . 나인성과부의 아들의 죽음
D . 베드로와의 만남
Ⅵ . 결 론
본문내용
하는 새로운 세계(거듭남의 삶)로 몰입하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요한복음 3:1-21
B. 간음중에 잡혀온 여인
요한복음 8:1-11
과의 상담
예수는 간음중에 잡힌 여인을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과는 다른 관점에서 대화하셨다. 예수는 더 이상 그녀를 정죄할 필요가 없었다. 그 이유는 율법에서 이미 그녀를 정죄하였고 예수님은 용서를 통하여 복음의 본질(예수 그리스도자신)이 무엇인지를 알려야 했기 때문이다. 예수는 본질상 사랑과 용서의 복음이시고 그 여인에게는 새로운 삶의 용기가 필요하였기 때문이다.
오세범, 「목회상담이 교회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제대학 목회학박사 학위논문, 1997).
C. 나인성 과부의 아들의 죽음
누가복음 7:1-17
외아들의 죽음 앞에서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슬픔을 당한 어머니와 나인성중에 모든 사람들에게 준 죽음에 대한 충격으로 인한 암울한 분위기 속에 찾아가셔서 죽은 청년을 말씀으로 일으켜 살려 놓은 사건을 통하여 죽음의 공포와 절망의 눈물을 거두고 하나님은 인간의 모든 생명의 주관자이심과 동시에 예수님 자신이 참 삶의 구주임을 알게 하였다. 동시에 예수가 인류의 희망임을 체험케 하고 능력자임을 확신케 하였다.
D. 베드로와의 만남
마태복음 4:18-23
고기잡는 베드로는 갈릴리 바다에 관한한 누구보다도 그 바다속을 손바닥 들여다 보듯하는 사람이었다. 그는 어떤 날 어떤 시에 어느 장소에 고기가 몰려든다는 것에 통달한 사람이다. 그러던 그가 전혀 한 마리의 고기도 잡지 못하고 실망과 좌절에 빠져있던 상황에 예수가 찾아왔다. 예수는 베드로의 경험을 전혜 의식하지 않았다. 예수님의 명령에 이치에 맞지 않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그 방법은 베드로로 하여금 자기의 경험을 포기하지 않는 예수님이 필요로 하는 제자가 될 수 없었다. 경험은 없었지만 경험보다는 예수님의 주권적 사역을 통하여 베드로를 순종의 제자로 만들었다. 또한 주님의 제자가 되는데는 세상적 삶의 도구나 방법은 버리지 않으면 안되었다. 결국 베드로에게 예수만 필요했고 그 속에 예수만 남게 되었다.
Ⅶ . 결 론
우리는 상담시대에 살고 있다. 상담실 혹은 후생 문제 연구소가 각급 학교에 설치되고 복잡한 거리에서도 간판을 보게 된다. 물론 상담간판이다. Counseler를 찾아가는 사람도 점차로 늘어가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대처하기 위한 전문적인 상담학 교육도 점차로 뿌리를 뻗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시점에서 목회상담학이 신학교육에 힘 있게 등장하고 교회의 목회자들 가운데서도 목사가 하는 일이 설교, 심방, 교육, 행정을 주목회로 생각했던 시대는 지났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목회자들은 목회상담에 대해 상실하고 있다. 그것은 상담에 전문인으로서 전문의식이 없기 때문에 상담이 결여가 된 것이라고 보여진다.
우리는 상담 중에서도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님의 상담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회의 소외계층에게 찾아 오시고 또한 약자에게 찾아오셔서 그들에게 힘을 불어 넣어주고 그들에게 용기를 불어 넣으면서 그들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시는 예수님의 상담 기법은 너무도 훌륭한 기법이다. 우리는 예수의 상담기법을 이용해서 목회상담을 이끌어 나가고 또한 우리의 목회방향이 과거에 얽매이지 않고 현 시대를 즉시하고 현 시대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그런 목회방향을 알고 그 곳으로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담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제 우리는 목회상담이 현대 목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음을 부인할 수 없으며 교회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우리 현재 교회들이 예수님처럼 소외계층, 약자들에게 쉼터가 되어주고 목회상담을 통해 그들에게 힘이 되어준다면 현재 교회는 크게 발전할 것이라고 확신된다.
참고자료
1.김득룡, 현대목회실천론 신강 (서울 : 총신대학출판부, 1990)
2.김진호, 교리와 장정 (서울 : 기독교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2003)
3.김재술, 목회상담의 이론과 실재 (서울 : 세종문화사, 1980)
4.김희보, 구약의 족장들 (서울 : 총신대학 출판부. 1978)
5.김태묵, 목회자의 상담, 「목회와 신학」제3집 (서울 : 장로회신학대학, 1970)
6.김태묵, 기독교 학교에 있어서 카운슬링,「기독교교육」(서울 : 대한기독교교육협회,1995)
7.박국배, '상담자 예수의 상담방법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8.송증복, "예수의 상담원리 연구",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75)
9.이정희, 상담자 예수 (서울, 그린파스츄어,1993)
10.오성춘, '목회상담학'(신학연구도서시리즈 12권) (서울 :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년1월)
11.오세범, '목회 상담이 교회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제대학 목회학박사학위논문, 1997)
12.오세종, 설교자료집 (서울 :삼필문화사, 1991)
13.정정숙, 기독교상담학 (서울 : 도서출판베다니, 1994)
14.정정숙, 기독교 상담의 신학적 이해 (신학지남, 제59권 2집 1992년 여름호)
15.황의영, 목회상담원리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70)
16.Carroll A. Wise, Pastoral counseling 이환신 역, 「목회상담」(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69)
17.Gray R. Collins, Christian Counseling, 피현희·이혜련 역, 「크리스챤 카운슬링」
(서울 :두란노서원, 1995)
18.Howard J. Clinebell, Growth Counseling, 이종헌 역, 「성장상담」(서울 : 한국신학연구소,1988)
19.Howard J. Clinebell, Basic Type of Pastor Counseling, 박근원 역 , 「현대목회상담학」
(서울 : 전망사, 1979)
20.Jone B. Cobb, 이기춘 역 「과정신학과 목회신학」,(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82)
21.Lawrence J.crabb, '성경적 상담', Geri R. Colesn편 (Grand Rapids : Zondervan,1984)
22.개역성경
요한복음 3:1-21
B. 간음중에 잡혀온 여인
요한복음 8:1-11
과의 상담
예수는 간음중에 잡힌 여인을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과는 다른 관점에서 대화하셨다. 예수는 더 이상 그녀를 정죄할 필요가 없었다. 그 이유는 율법에서 이미 그녀를 정죄하였고 예수님은 용서를 통하여 복음의 본질(예수 그리스도자신)이 무엇인지를 알려야 했기 때문이다. 예수는 본질상 사랑과 용서의 복음이시고 그 여인에게는 새로운 삶의 용기가 필요하였기 때문이다.
오세범, 「목회상담이 교회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제대학 목회학박사 학위논문, 1997).
C. 나인성 과부의 아들의 죽음
누가복음 7:1-17
외아들의 죽음 앞에서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슬픔을 당한 어머니와 나인성중에 모든 사람들에게 준 죽음에 대한 충격으로 인한 암울한 분위기 속에 찾아가셔서 죽은 청년을 말씀으로 일으켜 살려 놓은 사건을 통하여 죽음의 공포와 절망의 눈물을 거두고 하나님은 인간의 모든 생명의 주관자이심과 동시에 예수님 자신이 참 삶의 구주임을 알게 하였다. 동시에 예수가 인류의 희망임을 체험케 하고 능력자임을 확신케 하였다.
D. 베드로와의 만남
마태복음 4:18-23
고기잡는 베드로는 갈릴리 바다에 관한한 누구보다도 그 바다속을 손바닥 들여다 보듯하는 사람이었다. 그는 어떤 날 어떤 시에 어느 장소에 고기가 몰려든다는 것에 통달한 사람이다. 그러던 그가 전혀 한 마리의 고기도 잡지 못하고 실망과 좌절에 빠져있던 상황에 예수가 찾아왔다. 예수는 베드로의 경험을 전혜 의식하지 않았다. 예수님의 명령에 이치에 맞지 않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그 방법은 베드로로 하여금 자기의 경험을 포기하지 않는 예수님이 필요로 하는 제자가 될 수 없었다. 경험은 없었지만 경험보다는 예수님의 주권적 사역을 통하여 베드로를 순종의 제자로 만들었다. 또한 주님의 제자가 되는데는 세상적 삶의 도구나 방법은 버리지 않으면 안되었다. 결국 베드로에게 예수만 필요했고 그 속에 예수만 남게 되었다.
Ⅶ . 결 론
우리는 상담시대에 살고 있다. 상담실 혹은 후생 문제 연구소가 각급 학교에 설치되고 복잡한 거리에서도 간판을 보게 된다. 물론 상담간판이다. Counseler를 찾아가는 사람도 점차로 늘어가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대처하기 위한 전문적인 상담학 교육도 점차로 뿌리를 뻗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시점에서 목회상담학이 신학교육에 힘 있게 등장하고 교회의 목회자들 가운데서도 목사가 하는 일이 설교, 심방, 교육, 행정을 주목회로 생각했던 시대는 지났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목회자들은 목회상담에 대해 상실하고 있다. 그것은 상담에 전문인으로서 전문의식이 없기 때문에 상담이 결여가 된 것이라고 보여진다.
우리는 상담 중에서도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님의 상담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회의 소외계층에게 찾아 오시고 또한 약자에게 찾아오셔서 그들에게 힘을 불어 넣어주고 그들에게 용기를 불어 넣으면서 그들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시는 예수님의 상담 기법은 너무도 훌륭한 기법이다. 우리는 예수의 상담기법을 이용해서 목회상담을 이끌어 나가고 또한 우리의 목회방향이 과거에 얽매이지 않고 현 시대를 즉시하고 현 시대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그런 목회방향을 알고 그 곳으로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담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제 우리는 목회상담이 현대 목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음을 부인할 수 없으며 교회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우리 현재 교회들이 예수님처럼 소외계층, 약자들에게 쉼터가 되어주고 목회상담을 통해 그들에게 힘이 되어준다면 현재 교회는 크게 발전할 것이라고 확신된다.
참고자료
1.김득룡, 현대목회실천론 신강 (서울 : 총신대학출판부, 1990)
2.김진호, 교리와 장정 (서울 : 기독교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2003)
3.김재술, 목회상담의 이론과 실재 (서울 : 세종문화사, 1980)
4.김희보, 구약의 족장들 (서울 : 총신대학 출판부. 1978)
5.김태묵, 목회자의 상담, 「목회와 신학」제3집 (서울 : 장로회신학대학, 1970)
6.김태묵, 기독교 학교에 있어서 카운슬링,「기독교교육」(서울 : 대한기독교교육협회,1995)
7.박국배, '상담자 예수의 상담방법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8.송증복, "예수의 상담원리 연구",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75)
9.이정희, 상담자 예수 (서울, 그린파스츄어,1993)
10.오성춘, '목회상담학'(신학연구도서시리즈 12권) (서울 :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년1월)
11.오세범, '목회 상담이 교회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제대학 목회학박사학위논문, 1997)
12.오세종, 설교자료집 (서울 :삼필문화사, 1991)
13.정정숙, 기독교상담학 (서울 : 도서출판베다니, 1994)
14.정정숙, 기독교 상담의 신학적 이해 (신학지남, 제59권 2집 1992년 여름호)
15.황의영, 목회상담원리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70)
16.Carroll A. Wise, Pastoral counseling 이환신 역, 「목회상담」(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69)
17.Gray R. Collins, Christian Counseling, 피현희·이혜련 역, 「크리스챤 카운슬링」
(서울 :두란노서원, 1995)
18.Howard J. Clinebell, Growth Counseling, 이종헌 역, 「성장상담」(서울 : 한국신학연구소,1988)
19.Howard J. Clinebell, Basic Type of Pastor Counseling, 박근원 역 , 「현대목회상담학」
(서울 : 전망사, 1979)
20.Jone B. Cobb, 이기춘 역 「과정신학과 목회신학」,(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82)
21.Lawrence J.crabb, '성경적 상담', Geri R. Colesn편 (Grand Rapids : Zondervan,1984)
22.개역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