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양아록은..
Ⅱ. 본론
1. 양아록의 가치를 감식하는 방법
(1) 저자
(2) 저자의 생물연대
(3) 책의 제목
(4) 책의 내용
(5) 예비적으로 학습해야 할 내용
2. 양아록 발견의 의의
Ⅲ. 결론
양아록을 읽고나서..
(온고지신과 식견확립의 중요성)
양아록은..
Ⅱ. 본론
1. 양아록의 가치를 감식하는 방법
(1) 저자
(2) 저자의 생물연대
(3) 책의 제목
(4) 책의 내용
(5) 예비적으로 학습해야 할 내용
2. 양아록 발견의 의의
Ⅲ. 결론
양아록을 읽고나서..
(온고지신과 식견확립의 중요성)
본문내용
러나 요즘은 인성교육은 도외시하고 오로지 학력위주의 교육에 집착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우리는 미래를 주도할 인간육성에 필요한 보다 구체적이고 선진적인 교육개혁의 수립과 이상적인 교육방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 '양아록'은 16세기 중반 아동교육문제를 세심하면서 사실적으로 표현했다. 시는 성정의 발로로 개인적 정서와 생활 주변사를 다루어 왔다. '양아록'은 인간의 주요관심사인 자손 교육문제까지도 시로 취급할 수 있는 사례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시가 인간의 세세한 측면까지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한 예술수단이라는 점을 확인했으며 '양아록'은 양아를 중심으로 한 것이라서 양아와 관련된 풍속은 물론 그 당시의 생활풍속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양아록'은 현재까지 학계에 보고된 자료 중에서 자손교육의 체험은 사실적으로 표현한 최고의 일기성 시편으로 아동교육사와 풍속사회사의 귀중한 연구자료 로서 그 의의가 있다.
Ⅲ. 결론
'양아록'을 읽고나서.. (온고지신과 식견확립의 중요성)
우리는 이 책을 통하여 단순히 조선시대의 육아책 이라는 사실에만 관심을 쏟는 것이 아니고 온고지신의 중요성과 식견확립의 중요성을 깨달아야 한다. 온고지신이란 옛것을 연구하여 새로운 것을 안다는 뜻의 창조적 학문연구의 기본원리이며 식견이란 축적된 지식을 통해 어떤 대상을 올바르게 감식, 평가 할 수 있는 인식능력을 말한다. 고로 고도의 식견을 확립해야 고도의 학문을 할 수 있다.
식견확립으로 인해 4백 50여 년 동안 잠자고 있던 '양아록'은 발견된 것이다. '양아록'은
친필수고의 상태로 자손으로 대물림 되어오다가 이상주 교수님에 의해 학계에 처음 소개된 책이다. 이 경우가 바로 식견확립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본보기라 할 수 있다. 보통 사람들의 경우 식견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 '양아록'을 보았다면 그냥 스쳐 지나갔을 일이지만 이상주 교수님의 경우에는 식견이 축적 되어 있었기 때문에 '양아록'의 진가를 알아보고 학계에 소개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상주 교수님의 식견에 의해 발견된 '양아록'을 통해 우리는 식견의 중요성을 알고 식견을 넓히기 위하여 더욱더 노력해야 할 것이며 또한 '양아록'을 통해 온고지신의 중요성을 잊지 않고 옛것을 통해 새로운 것을 아는 힘을 길러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이문건 저, 이상주 역주, [양아록(養兒綠)], 태학사, 1997
네이버, http://www.naver.com
또 '양아록'은 16세기 중반 아동교육문제를 세심하면서 사실적으로 표현했다. 시는 성정의 발로로 개인적 정서와 생활 주변사를 다루어 왔다. '양아록'은 인간의 주요관심사인 자손 교육문제까지도 시로 취급할 수 있는 사례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시가 인간의 세세한 측면까지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한 예술수단이라는 점을 확인했으며 '양아록'은 양아를 중심으로 한 것이라서 양아와 관련된 풍속은 물론 그 당시의 생활풍속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양아록'은 현재까지 학계에 보고된 자료 중에서 자손교육의 체험은 사실적으로 표현한 최고의 일기성 시편으로 아동교육사와 풍속사회사의 귀중한 연구자료 로서 그 의의가 있다.
Ⅲ. 결론
'양아록'을 읽고나서.. (온고지신과 식견확립의 중요성)
우리는 이 책을 통하여 단순히 조선시대의 육아책 이라는 사실에만 관심을 쏟는 것이 아니고 온고지신의 중요성과 식견확립의 중요성을 깨달아야 한다. 온고지신이란 옛것을 연구하여 새로운 것을 안다는 뜻의 창조적 학문연구의 기본원리이며 식견이란 축적된 지식을 통해 어떤 대상을 올바르게 감식, 평가 할 수 있는 인식능력을 말한다. 고로 고도의 식견을 확립해야 고도의 학문을 할 수 있다.
식견확립으로 인해 4백 50여 년 동안 잠자고 있던 '양아록'은 발견된 것이다. '양아록'은
친필수고의 상태로 자손으로 대물림 되어오다가 이상주 교수님에 의해 학계에 처음 소개된 책이다. 이 경우가 바로 식견확립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본보기라 할 수 있다. 보통 사람들의 경우 식견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 '양아록'을 보았다면 그냥 스쳐 지나갔을 일이지만 이상주 교수님의 경우에는 식견이 축적 되어 있었기 때문에 '양아록'의 진가를 알아보고 학계에 소개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상주 교수님의 식견에 의해 발견된 '양아록'을 통해 우리는 식견의 중요성을 알고 식견을 넓히기 위하여 더욱더 노력해야 할 것이며 또한 '양아록'을 통해 온고지신의 중요성을 잊지 않고 옛것을 통해 새로운 것을 아는 힘을 길러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이문건 저, 이상주 역주, [양아록(養兒綠)], 태학사, 1997
네이버, http://www.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