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읽고 미국을 이해하는 것을 계속하고 싶다. 수업을 들으면서 읽었던 책들과 보았던 DVD들은 정확하게 이것저것하면서 말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미국이라는 나라가 어떤 나라이고 어떻게 구성되었고 발전하고 있는지, 어떤 모습을 가지고 있고, 어떤 생각들을 가지고 있는지를 대략적으로나마 이해할 수 있었던 것처럼, 이 책을 통해서 좀 더 미국을 이해하고 알고 싶다.
앞에서 언급한대로 미국의 사법제도와 민주주의 제도에 집중하고자 하는데, 사법제도를 통해서 미국사회에 정착되어 있는 제도가 어떤 것이고 그리고 장단점이 무엇인지 나름대로의 생각을 정리해보고 싶다. 더불어서 아직도 많이 미숙한 한국의 민주주의에 미국의 민주주의에서 어떤 것을 가져올 수 있고, 그리고 가져올 것이 설령 없다면, 미국의 민주주의를 어떻게 발전시키고 이룩해왔는지를 앎으로써 한국의 민주주의 미래발전에 기여하고 싶다는 생각이 있다.
한국은 나라는 개념보다는 우리라는 개념이 지배적인 통념이다. 분명 미국과는 다른 것이다. 그렇기에 미국의 민주주의를 한국에 받아들인다는 것은 분명 어렵거나 안 되는 것일 수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미국의 근간은 자주성을 바탕으로 한 타운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민주주의」 이 책 두 권을 읽음으로써 미국을 이해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한국 사회를 이해하고 발전적인 한국의 미래상을 제시하고 싶다. 그것이 바로 내가 꿈꾸는 나의 꿈과도 연결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추가부분]
문득 첫 수업 시간에 교수님께서 하셨던 말씀이 생각난다. 미국이라는 나라는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의 몇 천개의 고민을 가지고 있지만, 그 몇 배, 몇 십 배의 노력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고 한다. 토크빌이 책에서 그런 말을 한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토크빌이 결론에서 문제점들과 한계들을 극복하고 안하고는 미국인들의 손에 달려있다고 하였는데, 미국인들은 그런 문제점과 한계가 무엇인지 알고 있고, 그것들을 해결하고 극복하기 위해 지금도 수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유럽에서 건너온 아메리카로 건너온 청교도들이 그곳에는 개념 자체가 약하게 살아있던 평등을 아메리카에 가져왔고 그 외에도 자유를 가져왔는데, 그것은 그냥 가지고 온 것이 아니라 평등과 자유가 부족하고 없던 상황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아메리카로 왔고, 아메리카에서 그런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해 가는 과정 속에 평등과 자유가 나왔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현재 미국이 겪고 있는 문제점과 한계 역시 극복하고 헤쳐 나가는 과정 속에서 또 다른 무언가가 나와서 해결하고 미국의 민주우의가 계속해서 더 튼튼하고 건실하게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그렇게 해온 나라이고 그러기에 충분한 역량을 갖춘 나라이기 때문이다.
한국도 미국처럼 우리의 문제점과 한계를 인식하고 폭넓은 사고로 극복하고 해결할 수 있는 역량과 자질을 키워나가야 할 것이다. 고민하고 노력했을 때 문제점과 한계는 반드시 극복될 것이고 그렇게 했을 때, 진정한 국가 발전 역시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앞에서 언급한대로 미국의 사법제도와 민주주의 제도에 집중하고자 하는데, 사법제도를 통해서 미국사회에 정착되어 있는 제도가 어떤 것이고 그리고 장단점이 무엇인지 나름대로의 생각을 정리해보고 싶다. 더불어서 아직도 많이 미숙한 한국의 민주주의에 미국의 민주주의에서 어떤 것을 가져올 수 있고, 그리고 가져올 것이 설령 없다면, 미국의 민주주의를 어떻게 발전시키고 이룩해왔는지를 앎으로써 한국의 민주주의 미래발전에 기여하고 싶다는 생각이 있다.
한국은 나라는 개념보다는 우리라는 개념이 지배적인 통념이다. 분명 미국과는 다른 것이다. 그렇기에 미국의 민주주의를 한국에 받아들인다는 것은 분명 어렵거나 안 되는 것일 수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미국의 근간은 자주성을 바탕으로 한 타운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민주주의」 이 책 두 권을 읽음으로써 미국을 이해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한국 사회를 이해하고 발전적인 한국의 미래상을 제시하고 싶다. 그것이 바로 내가 꿈꾸는 나의 꿈과도 연결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추가부분]
문득 첫 수업 시간에 교수님께서 하셨던 말씀이 생각난다. 미국이라는 나라는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의 몇 천개의 고민을 가지고 있지만, 그 몇 배, 몇 십 배의 노력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고 한다. 토크빌이 책에서 그런 말을 한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토크빌이 결론에서 문제점들과 한계들을 극복하고 안하고는 미국인들의 손에 달려있다고 하였는데, 미국인들은 그런 문제점과 한계가 무엇인지 알고 있고, 그것들을 해결하고 극복하기 위해 지금도 수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유럽에서 건너온 아메리카로 건너온 청교도들이 그곳에는 개념 자체가 약하게 살아있던 평등을 아메리카에 가져왔고 그 외에도 자유를 가져왔는데, 그것은 그냥 가지고 온 것이 아니라 평등과 자유가 부족하고 없던 상황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아메리카로 왔고, 아메리카에서 그런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해 가는 과정 속에 평등과 자유가 나왔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현재 미국이 겪고 있는 문제점과 한계 역시 극복하고 헤쳐 나가는 과정 속에서 또 다른 무언가가 나와서 해결하고 미국의 민주우의가 계속해서 더 튼튼하고 건실하게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그렇게 해온 나라이고 그러기에 충분한 역량을 갖춘 나라이기 때문이다.
한국도 미국처럼 우리의 문제점과 한계를 인식하고 폭넓은 사고로 극복하고 해결할 수 있는 역량과 자질을 키워나가야 할 것이다. 고민하고 노력했을 때 문제점과 한계는 반드시 극복될 것이고 그렇게 했을 때, 진정한 국가 발전 역시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