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영화 "매트릭스"에서 보여지는 포스트모더니즘
- 현실과 매트릭스의 관계
- "매트릭스"에서 보여지는 포스트모더니즘 세계의 미래와 한계
- 인간은 기계를 통제할 수 있는가 ?
- 시뮬라크르, 시뮬라시옹: <매트릭스>는 소비사회의 디지털화
- <매트릭스> 1편의 마지막 장면.
- "키 메이커에 대한 단상" : <매트릭스>는 IT기술의 상징
- 문제의 장면.
- 현실과 매트릭스의 관계
- "매트릭스"에서 보여지는 포스트모더니즘 세계의 미래와 한계
- 인간은 기계를 통제할 수 있는가 ?
- 시뮬라크르, 시뮬라시옹: <매트릭스>는 소비사회의 디지털화
- <매트릭스> 1편의 마지막 장면.
- "키 메이커에 대한 단상" : <매트릭스>는 IT기술의 상징
- 문제의 장면.
본문내용
그 앞에 작동하고 있는 보안프로그램인 세리프(sheriff)의 인증이 필요하다. 세리프(sheriff)는 누구나 상대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개키를 상징한다. (제미있는 것은 보안에서 공개키를 표시할 때 노란색 열쇠로 표현된다. 따라서, 그의 노란색 광채는 공개키의 암시라고 볼 수 있다.) 단, 싸워보아야만 그가 누구인지를 인증할 수 있기 때문에 쿵후대결을 암호해독이라고 볼 수 있다. 쿵후실력으로 인증을 받은 니오(Neo)는 백도어를 통해 오라클(Oracle)이라는 프로그램에 접속하게 된다.
그에 반해 키 메이커는 비밀키를 상징한다. 그는 짝이 맞는 키를 만들어서 무수히 많은 비밀키를 들고 다닌다. 아키텍트를 만나러 가는 장면에서 니오(Neo)가 키메이커가 만든 키를 문에 꽂을 때 키가 문에 꼭 맞는다는 것을 클로우즈업된 화면으로 보여주는 것은 비밀키를 이용하여 인증을 받았고 접근이 허용되었다는 것을 말해주는 상징적인 장면이다.
따라서 키메이커를 보면서 웃는 이들 중에는 키메이커의 왜소함이나 아날로그 방식의 키를 만드는 그의 모습에 단순히 웃는 경우도 있겠지만, 아하! 하며 그 상징성에 흥미를 느끼며 즐거워하는 프로그래머들도 꽤 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그에 반해 키 메이커는 비밀키를 상징한다. 그는 짝이 맞는 키를 만들어서 무수히 많은 비밀키를 들고 다닌다. 아키텍트를 만나러 가는 장면에서 니오(Neo)가 키메이커가 만든 키를 문에 꽂을 때 키가 문에 꼭 맞는다는 것을 클로우즈업된 화면으로 보여주는 것은 비밀키를 이용하여 인증을 받았고 접근이 허용되었다는 것을 말해주는 상징적인 장면이다.
따라서 키메이커를 보면서 웃는 이들 중에는 키메이커의 왜소함이나 아날로그 방식의 키를 만드는 그의 모습에 단순히 웃는 경우도 있겠지만, 아하! 하며 그 상징성에 흥미를 느끼며 즐거워하는 프로그래머들도 꽤 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추천자료
포스트모더니즘과 모더니즘의 비교 및 미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하여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비교
[포스트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 이란?
포스트모더니즘의 의미와 특징에 대한 고찰(포스트모던)
포스트모더니즘 개념과 특징, 포스트모더니즘의 갈래,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배경, 포스트모...
[모더니즘미술론A+] 하버마스와 리오타르의 논쟁: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배경, 포스트모더니즘의 중요성, 포스트모더니...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과 그 소설에 대하여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과 그 소설에 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