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속의 물리현상을 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지구가 자전하므로 상공위에 떠 있으면 다른곳으로 이동하지 않을까?
*날계란은 왜 서서 회전하지 못할까?
*수천톤이나 되는 배는 어떻게 해서 물위에 뜰까?
*프로야구에서는 왜 나무로 만든 방망이를 쓸까요?
*분무기의 원리

본문내용

0도 정도 구부린다. 빨대의 한쪽 부분을 컵에 담그고, 컵 밖으로 나와있는 반대쪽 부분을 입으로 훅! 불어본다. 물이 분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빨대의 구부린 각도를 크게 또는 작게 하여 실험을 하여보고, 굵기가 다른 빨대를 사용하여 실험해보자. 어느 정도의 각도에서 물이 가장 잘 분사되는지, 또 굵기에 따라 분사되는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도 탐구해볼 수 있다.
 물이 뿜어져 나오는 원리는 무엇인가? 스위스의 과학자 베르누이(1700-1782)는 ‘기체나 액체의 속력이 높을수록 압력이 낮아진다’는 베르누이의 정리를 발표하였다. 이 원리에 의하면 빨대를 세게 불 때 압력이 낮아져서 컵 속에 있던 물이 빨려 올라오게 되는 것이다.
 비행기가 뜨는 현상도 이 원리로 설명된다. 비행기 날개의 단면은 위쪽이 둥글게 되어 있어서 위 부분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속도가 날개의 아래쪽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속도보다 빠르다. 그렇기 때문에 날개 위쪽의 압력이 아래쪽보다 낮아서 위쪽으로 향하는 힘이 발생하고 비행기는 그 힘으로 뜨는 것이다.
 이 밖에도 투수가 던진 공이 커브를 그리면서 날아가는 현상이나 바나나 킥 등도 베르누이의 정리로 설명될 수 있는 것들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6.22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5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