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허나 2개의 그림자가 생기며, 주광선이 2개이므로 실내분위기가 양분된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고측창은 실내체육관이나 전시미술관등에 사용되는 창이다. 구석공간에도 빛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천장이 높은 건물에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제한이 있다.
측창계획에 있어서 여러 가지 사항을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는 창의 기능을 생각한다면 쉽게 이해가 가능하다. 창의 기능중 하나가 채광이다. 측창계획에 있어 자연광을 어떠한 공간에 얼마의 양을 들여보내는가의 결정이 창의 위치와 크기가 결정이 된다. 물론 인공조명으로 실내공간의 조도를 조절할수 있으나 자연광을 이용한 조명이 그린디자인의 출발이기 때문이다. 창의 기능중 하나인 환기 또한 중요하다. 실내의 탁한 공기를 내보내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들여보내는 것이 쾌적한 공간을 만들기 때문이다. 전망 등의 시선확보도 중요하다. 외부로부터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야 하며 내부의 사람이 외부의 환경을 봄에 있어 시선이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창도 벽의 일부이므로 벽의 기능도 가져야 한다. 즉 방음, 방풍, 방열이 가능해야 한다.
※ 참고 문헌
● 브리태니커 백과 사전
● 이경회, 건축환경계획, 문운당, 1997
고측창은 실내체육관이나 전시미술관등에 사용되는 창이다. 구석공간에도 빛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천장이 높은 건물에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제한이 있다.
측창계획에 있어서 여러 가지 사항을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는 창의 기능을 생각한다면 쉽게 이해가 가능하다. 창의 기능중 하나가 채광이다. 측창계획에 있어 자연광을 어떠한 공간에 얼마의 양을 들여보내는가의 결정이 창의 위치와 크기가 결정이 된다. 물론 인공조명으로 실내공간의 조도를 조절할수 있으나 자연광을 이용한 조명이 그린디자인의 출발이기 때문이다. 창의 기능중 하나인 환기 또한 중요하다. 실내의 탁한 공기를 내보내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들여보내는 것이 쾌적한 공간을 만들기 때문이다. 전망 등의 시선확보도 중요하다. 외부로부터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야 하며 내부의 사람이 외부의 환경을 봄에 있어 시선이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창도 벽의 일부이므로 벽의 기능도 가져야 한다. 즉 방음, 방풍, 방열이 가능해야 한다.
※ 참고 문헌
● 브리태니커 백과 사전
● 이경회, 건축환경계획, 문운당, 199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