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열병의 약물치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정신분열병의 약물치료
1. 정신분열병의 생물학적 원인과 약물치료의 필요성
2. 정신분열병의 재발 및 약물의 지속적 투여의 필요성
3. 항정신병약물의 부작용 및 해결책
4. 기타 약물치료에 관한 궁금증

본문내용

약물의 종류를 바꿔야 할 때도 있다. 따라서 임신의 징후가 있거나 임신이 확인되었을 때는 반드시 담당 정신과 의사와 상의하여야만 한다.
12. '항정신병 약물을 투여하게 되면 성기능에 장애가 오거나, 성욕을 느끼지 못하는 것은 아닌가'
.항정신병약물을 투여할 경우에 약 50% 정도에서 성기능 장애를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약물을 복용하는 남녀 환자에서 성욕이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 이러한 성기능에 대한 부작용을 환자나 보호자들이 호소하지 않는 경우가혼하다. 만약 이러한 부작용이 있는 경우에는 환자 흑은 가족이 반드시 정신과 의사에게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약물을 투여하여 성기능의 불편감을 호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13. '환자가 규칙적으로 약물을 복용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어떻게 할 것인가'
환자가 규칙적으로 약물을 복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장시간 효과가 있는 약물을 사용하게 되는데 한번의 주사로서 약 2주에서 4주간의 효과가 지속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약물을 데포형 주사제라고 한다. 따라서 환자는 병원에 자주 가지 않아도 되며, 매일 약물을 복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이런 데포형 주사제는 부작용이 흔하므로 주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또한 한번 부작용이 발생하면 그 기간이 길어 오랜 시간 환자가 고통스러워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정신과 의사들은 이런 데포형 주사제의 사용을 환자가 약물을 잘 먹지 않아 경구용 약물의 투여가 곤란한 경우로만 국한하여 사용하고 있다.
출처 http://www.megapass.co.kr/%7Eyism38/spr5.htm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6.23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8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